돈 싫은 사람은 없다. 돈을 벌기 싫거나, 관리하기 싫을 수 있어도 돈 자체가 싫은 사람은 없다. 돈 많은 사람을 부자라고 한다. 돈이 많아 뭐든 풍족하게 다 갖는 이들이 부자다. 하지만 정말 그게 부자일까? 가진 게 많으면 그럼 정말 부자일까? 한국 제일의 부자 이병철 회장이 남긴 임종 전의 편지가 유명하다. 소위 ‘이병철의 24개 질문’이다. 하나같이 근본적인 질문이다. 쉽게 ‘우린 왜 사냐’는 질문들이다. 그중 부자에 대한 질문이 2개 있다. 하나는 “신앙이 없어도 부귀를 누리고, 악인 중에도 부귀와 안락을 누리는 사람이 많은데, 신의 교훈은 무엇인가?” 또 다른 하나는 “성경에 부자가 천국에 가는 것을 낙타가 바늘구멍에 들어가는 것에 비유했는데, 부자는 악인이란 말인가?” 24개 질문 중 15번째와 16번째 질문, 전자는 부귀 후자는 부자에 대한 질문이다. 사실 한자 세계의 답을 너무도 간단하다. 한자의 세계에서 부(富)는 물질에 있는 게 아니다. 한자의 세계에서 부(富)는 개인의 마음속에 있다. 어떻게 마음 속에 있을까? 한자 부(富)는 춘추전국 시대 등장한다. 갑골처럼, 동물의 뼈에 새겨진 아니라, 소위 청동기에 각인 돼 있다. 자형은 집 안에 술
외로움은 홀로 있다고 느끼는 게 아니다. 문득 누군가 그리울 때 그 누군가가 몹시도 보고플 때 그 보고픈 이를 볼 수 없을 때 그 때 외로움은 검푸른 바다 밀물처럼 온 몸을 젖시어 온다. 그리움이 일상이 되면, 외로움도 일상이 된다. 일상이 된 외로움은 약도 없다. 그리운 이도 아직 나를 그리워한다는 믿음만이 외로움이 일상이 된 이를 버티게 할뿐이다. 그렇게 나온 싯구다. “持此谢高鸟,因之传远情。”(지차사고조, 인지전원정) “고마운 새야, 이 마음 전해다오” 당시인 장구령의 감우4수 중 3수다. 담담하지만 그래서 더 짙은 그리움이, 외로움이 묻어난다. 시정은 이렇다. 골목길 홀로 걸어 집에 들어와 마루에 걸터앉아 하늘을 보니, 저 높이 나는 새 “고마운 새야, 이 마음 전해주렴” 마치 저 노을이 내 마음과 같다. 누가 있어, 이 마음 알아나 줄까?
누가 있어, 돈 귀한 줄 모를까? 누가 있어, 금 좋은 걸 모를까? 귀한 건 세상이 먼저 안다. 그래서 쌓아놓은 금덩이는 도적을 부르고 쌓아놓은 곡식에는 쥐만 들끓는다. 그런데 우리는 정말 귀한 게 뭔지, 알기는 하는 걸까? 그저 주변에 구하기 힘든 것 주변에 없는 그런 것들을 ‘귀하다’ 하는 건 아닐까? 심지어 주변에 없다고 착각하는 것들, 남부럽게 한다 착각하는 것을, ‘귀하다’ 착각하는 건 아닐까? 이리 생각해보자. 하늘에서 이상한 권리증을 하나 받았다. 이 권리증을 제시만 하면, 내가 그냥 자동차 공장에 가서 차를 가져올 수 있고, 내가 그냥 어느 식당이든 들어가서 내가 원하는 걸 마음껏 먹을 수 있다. 그런데도 돈이 귀하고, 금이 귀한 게 될까? 내가 은행에 가서 달라고 하면 은행원이 그 자리에서 그냥 인쇄를 해 돈을 주고, 내가 마트에 가서 달라고 하면 점원이 그 자리에서 그냥 뭐든 담아서 배달해 준다면, 내가 금은방에 가서 달라고 하면 주인이 금이든, 다이아몬드든 그냥 준다면, 돈이 귀하고, 금이 귀한 걸까? 실은 귀한 건 자동차요, 곡물이다. 정말 귀한 것은 인간의 제도 속에, 인간의 계약으로 인간의 약속으로 만들어진 게 아니다. 나를 배부르게
지고 싶지 않지유? 윤석열 대통령에게 묻고 싶네유? 그쥬? 서울대 법대도 못나오고, 사법고시도 보지 못한 것들에게 지고 싶지 않지유? 저 같지 않은 것들에게 지는 게 용납이 안되쥬? 그쥬? 법률에 다 나오는데, 법이 하라는 대로 하면 되는데, 이 잡 것은 도대체 왜 이러나 싶쥬? 그쥬? 멍~멍, 개소리유. 개소리라 한 마디 할게, 들어보슈. 쪼까 도움이 될테니. 다시 물어유. 세상이 참 거시, 뭐 쉽게 조c 같지유? 술 마시면 욕이, 욕이 막 나오쥬? 그지유? 아니유? 아님 말구유. 그런데 그럼 왜 그러유? 옛날 이런 일이 있었슈. 대감 집에 불이 났는데, 아이들이 무서워 도망을 가유. 도망을 가는데 이게 집안으로 자꾸 들어가는겨. 아니 집에 불이 났는데, 자꾸 안으로 들어가니, 어쩌유. 더 위험하지. 사람들이 소리를 쳐유. “아이야, 나와라! 나와라!” 그런디, 이 사람들이 어찌나 무섭게 소리를 치는지, 아이들이 더 겁을 먹은겨. 안으로 더 도망을 가쥬. 아이고 이걸 어쩌유. 그려유. 불 붙은 집으로 도망을 가니께, 사람들이 더 난리가 나, 더 무섭게 소리를 쳐유. “나오라니까. 너 죽을래?” 겁이 나니 아이들은 자꾸 더 뒷걸음 쳐유. 사람들은 더 소리 치
필리핀과 베트남의 대중정책이 극과 극을 보여주고 있어 주목된다. 남중국해를 놓고 필리핀과 중국이 연일 물리적 충돌을 하면서 긴장을 고조시키고 있는 가운데 반해, 베트남의 신임 총서기 겸 국가 주석은 취임과 동시 중국을 찾아 교류수준을 한 층 더 높이고 나섰다. 외신들은 중국을 놓고 서로 다른 태도를 보이는 양국의 선택이 향후 어떤 결과로 이어질지 관심을 높이고 있다. 일단 서구 입장에서는 중국과 갈등을 빚으며 미국과 서구와 공동보조를 맞추는 필리핀의 선택에 더 점수를 주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토람 베트남 공산당 중앙위원회 총서기 겸 베트남 국가주석이 이번 주 중국을 국빈 방문해 지난 8월 19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회담을 가졌다. 베트남 정부는 성명을 통해 토람 총리가 방문 중 교통 발전을 위해 중국으로부터 연성 차관과 기술 지원을 모색하는 것을 언급했으며 중국과 국방 및 안보 관계를 강화하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중국과 베트남은 회담 이후 14건의 협정을 체결했는데, 그 중 양국 간 국경을 넘는 철도 건설을 촉진하는 내용이 주요 초점이 됐다. 시 주석은 토람 주석과 회담에서 "중국은 항상 베트남을 주변 외교의 우선순위"로 여겨왔다고 말했다.
1964년 6월 6일은 현 중국과 프랑스의 수교일이다. 이 수교일은 중국 내 한 인물에게는 대단히 특별한 의미가 있는 날이었다. 그는 수교일에 맞춰 처음으로 주 프랑스 대사관에 근무하는 이들에게 부탁해 ‘올리버’라는 이름의 커피숍을 찾아 커피 100여 잔 값과 300갑의 중국 담배를 가져다 주도록 했다. 수교를 기념하는 예물이라고 하기에는 너무 적은 규모였다. 도대체 어떤 인물이, 왜 이런 예물을 준비해 전달을 한 것일까? 주인공은 다름 아닌 저우언라이였다. 중국 당시의 총리, 일인지하 만인지상의 직위에 있는 인물이었다. 그럼 그는 왜 프랑스 수교를 기념에 커피 100잔 값과 담배 300갑을 선물했던 것일까? 역시 선물이 아니었다. 그럼? 사실 저우언라이가 어린 학생으로 유학시절 얻어 마시고, 얻어 피웠던 담배를 갚았던 것이다. 여기에는 중국과 프랑스의 오랜 역사가 숨어 있다. 중국과 영국, 프랑스 등은 청나라 말기부터 은원관계가 상당히 복잡하다. 영국은 중국에 아편을 밀수해 팔아먹다 아편을 불에 태운 사건을 빌미로, 중국을 침략해 전쟁을 일으켰다. 소위 ‘아편전쟁’이라 불리는 사건이다. 아편전쟁은 1839~1842년에 1차, 1856~1860년 2차 이렇게
“들에 핀 이름 없는 꽃이라고 어찌 자존심마저 없으랴.” 홀로 들녘에 핀 꽃에게 이 보다 더 강한 말이 어디 있을까? 세상에 어떤 힘도 강한 바람도 잡초를 누이기는 해도 잡초를 꺾을수는 없다. 바로 잡초의 의지, 들녘에 핀 이름 모를 잡초의 마음 한 구석 녹지 않는 얼음 한 조각이 있기 때문이다. “혼자면 혼자지 어찌 미인의 손길을 기다릴 것인가.” “草木有本心,何求美人折!”(초목유본심, 하구미인절!) 당의 시인 장구령의 감우 4수 중 제 2수다. 자연 속에 만물을 아름답게 풍성하게 만드는 참 진리를 따르는 선비가 무엇이 아쉬워 세간의 인정을 황제의 선택을 기다릴 것인가. 바로 당의 선비, 장구령의 일갈이다. 사실 시가 그린 풍경이 너무도 예쁘고 아름다워 일갈이라 하기 힘들다. 시는 봄과 가을을 대표하는 이름 난 풀 나무에서 시작한다. 봄 바람 하늘거리는 난초잎새 풍성하고, “兰叶春葳蕤”(난엽춘위유) 가을 날 달 밝은 밤엔 계수나무 무성하니, “桂华秋皎洁”(규화추교결) 이 충일의 생명들 온 세상 가득히 계절 계절 아름답고 아름답구나 “欣欣此生意,自尔为佳节”(흔흔차생의, 자이위가절) “이 숲엔 누가 살까?” 봄 숲에 가을 풀에 묻는다. “谁知林栖者”(수지임서자
1. 중국 현대사에 가장 이상한 당중앙 전체회의...운명의 제8기 12중전회 1968년 10월 13일 중국 베이징에서는 열린 중국 공산당 제 8기 중앙위원회 12차 전체회의는 중국 건국 이래 가장 독특한 회의로 꼽힌다. 전체 인원의 반수도 참석하지 못한 역대 가장 적은 수의 중앙위원, 후보위원들의 회의였기 때문이다. 당대 12중전회에 참석 대상인 중국 공산당 제 8기 중앙위원회 중앙위원 수는 총 87명이었다. 본래 97명이었으나 10명이 사망했다. 후보위원 수는 98명이었다. 그런데 8기 12중전회 참석 중앙위원수는 40명, 후보위원은 더 적은 19명에 불과했다. 어찌 보면 초라할 정도의 회의였다. 하지만 이 회의는 중국 현대사에 가장 중요한, 어쩌면 가장 불행한 정치적 결정을 하는 회의였다. 중국 중앙위원회 위원과 후보위원들은 이 회의에서 자신들 손으로 뽑았던 국가주석인 류샤오치(1898. 11. 24~1969. 11. 12)에 대한 탄핵을 의결한다. 정족수도 못채운 이 회의에서 중국 현대사의 가장 불행한 사건이 결정 되는 것이다. 류샤오치가 국가 주석이 된 사연을 알면, 무슨 말인지 안다. 먼저 중국 1대 주석인 마오쩌둥이 국가주석직을 내려놓는 원인을 알
노자의 그런 도를 따르면 있음에는 반드시 없음이 따름을 알고, 그 없음이 있어, 비로소 있음의 존재 값이 정해짐을 안다. 그래서 이 도리를 알고 따르는 이는 있음을 통해 없음을 알고 없음의 유용함을 안다. 있음의 가치를 안다. 그렇게 있고, 없음이 어울려 성장하는 게 만물이 성장하는 이치다. 없음에 힘써 있음이 쓰이도록 하는 걸 우리는 “공(功)을 이뤘다” 한다. 없음에 힘쓰니 뭘 한다 말할 게 없고, 그래 공을 이뤘다고 뭘 했다 말 할 게 없다. 말하지 않았다고 위하지 않은 게 아니다. 말 보다 행동으로 위하고 때로는 행동하기 보다 참고 지켜봄으로써 위하는 게 진정한 위함임을 안다. 진정한 사랑이 놓아줄 수 있는 사랑이듯, 진정한 위함은 유로써 또 무로써 다함이라는 것을 안다. 그저 있음(有) 앞(前)에 없음(無)을 있어 순서가 생기고 원형의 세계에서 앞뒤가 계속 나가 언젠가 내 앞에 있는 뒤를 만나게 된다는 것을 알게 된다. 그래서 노자는 시작을 시작이라 하지 않고 그 끝을 끝이라고도 않는다. 시작이 없으니 끝도 없다. 오직 머물지 않아야, 떠남도 없는 것이다. “是以圣人居无为之事,行不言之教,万物作而弗始也,为而弗志也,成功而弗居也。夫唯弗居,是以弗去。”(시이
유와 무가 생을 만들고, 길고 짧음이 모양을 만드는 게 세상의 이치다. 세상만물이 서로 하나면서 만물로 다른 이치기도 하다. 도리를 따르면 어려운 것을 어렵다고만 않고 쉬운 것을 쉽다다고만 않는다. 어려우니, 이제 쉬울 수 있고 쉬우니, 어려울 수 있는 때문이다. 하지만 이 도리를 따르기 어려우니, 그것은 쉬움은 어려움에 가려져 있고 어려움은 쉬움에 가려져 있는 탓이다. 짧은 것은 긴 것에 가려져 있고 긴 것은 짧은 것에 가려져 있다. 높고 낮음도 앞과 뒤도 그렇게 서로가 서로를 가리고 있다. 아쉽게도 우리는 그렇게 당장 드러나는 하나만 본다. 보이지 않아도 있는 것을 알면, 보이지 않아도 있는 것은 있다 할 것인데, 아쉽게도 우리는 보이지 않으면 없다고 한다. 없는 게, 무(無)란 없는 게 아닌데, 우린 보이지 않는다고 없다한다. 1과 0처럼 1다음의 0이 10이 되듯 유와 무는 유무로서로 새로운 단위의 존재가 된다. 0을 ‘없음’이란 값이 아니라 그저 ‘없다’고만 하면 그런 인식의 세상 속에는 ‘1’은 언제나 ‘1’일뿐이지, 10이나, 100이나, 1000은 있을 수가 없다. 만물이 유와 무로 이뤄지는 존재임을 자각하는 게 바로 노자의 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