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아프리카에 액 68조 재정지원 약속...정치와 경제 위기 두마리를 한 번에 잡으려는 시도? 하

실제로 중국 경제도 힘들지만, 아프리카 각국에 대한 어떤 재정 지원도 아프리카에 경제 공동체 건설에 성공하지 못했다.

중국 역시 이 같은 점을 잘 알고 있다. 이 사실은 중국의 아프리카 투자 현황에서도 잘 나타난다. 보스턴 대학의 글로벌 개발 정책 센터의 최신 데이터에 따르면 중국이 국영 정책 은행을 통해 아프리카에 전통적으로 대출한 금액이 2000년 약 1억 달러에서 2016년 288억 달러로 급증해 아프리카 최대의 양자 채권국이 됐다. 그러나 그 숫자는 특히 팬데믹 기간 동안 감소하여 2022년에는 약 10억 달러로 떨어졌고 2023년에는 46억 달러로 증가에 그쳤다.

이 기간 중국은 단순 재정지원이 아닌 '공공-민간 파트너십' 모델로 투자 형식을 추구했다는 점이 특징이다.

블룸버그는 보고서는 니의 시만두 철광석 광산을 ‘공공-민간 파트너십’ 모델의 한 사례 꼽았다. 이 광산에는 중국 바오우 철강 그룹(China Baowu Iron and Steel Group)과 중국 알루미늄 코퍼레이션(Aluminum Corporation of China)이라는 두 회사가 광산의 40%를 통제하고 있다.

하지만 두 회사 모두 중국 당국의 통제를 받는 국영기업들이다.

특히 국가의 재정 지원과 달리 이런 형태의 투자 계약은 세부 조건이 외부에 알려지지 않는다. 결국 문제가 생길 경우, 국제법에 무지한 쪽이 일방적인 손실을 보는 구조가 나올 수 있다.

서구 사회가 중국이 아프리카를 ‘빚의 덫’에 가두고 있다고 우려하는 대목이다. 실제로 미국 남아프리카공화국 하워드 대학의 아프리카 연구 센터 부소장인 피보르쿨레 박사는 최근 외신과 한 인터뷰에서 “민간 계약의 경우 아프리카 쪽에서 투자 유치를 위해 양보를 하는 경우가 많다”고 지적했다.

결국 아프리카 투자는 성공보다 실패, 성공하더라도 아프리카 현지 불만은물론, 국제적 비난까지 감수해야 하는 위험한 투자다.

무엇보다 중국의 경제는 높은 실업률과 부동산 경기 침체로 인한 지방정부의 재정악화 등으로 침체의 병세가 짙어지는 상황이다.

그럼에도 중국이 투자를 해 얻는 이익은 무엇일까? 일단 유엔에서 중국 지지표의 획득이다. 중국-아프리카 협력 포럼에 참여한 국가 수만 53개국이다.

국제 사회에서 53개 국가의 지지를 받는 일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이에 중국의 이번 아프리카에 대한 재정지원이 경제 실익보다 정치적 이익을 택했다는 분석이 나오는 이유다.

하지만 정말 그럴까?

현실 문제 인식을 새롭게 하면 중국의 또 다른 속셈이 보인다.

지금 중국의 경제 위기가 경제문제 아니라 정치문제라고 보는 것이다. 중국의 경제는 ‘세계의 공장’이라는 타이틀로 글로벌 제조의 중추역할을 맡은 데 이어 기술 확보를 통해 중국만의 새로운 생태계 구조를 가져가면서 급속히 성장했다.

제조업의 중추가 되는 것은 미국 입장에서 환영했지만, 문제는 중국이 기술 강국으로 새로운 산업 생태계를 만들어가는 것이다.

기존 산업 생태계의 정점에 있는 미국 입장에서는 껄끄러울 수밖에 없는 것이다. 안 그래도 미국은 중국과 무역에서 막대한 손실을 보고 있는데 산업 생태계의 정점 자리마저 한 자리를 중국에게 내주는 것이 미국 입장에서는 마뜩치 않다.

미국 입장에서 중국은 제조업 역시 막대한 정부 지원으로 인한 불공정한 경쟁을 유발을 했고, 기술 역시 미국 등 서구 기업들이 막대한 연구비용을 들여 개발한 것을 도적질 하고 있다는 인식을 갖게 된 것이다.

결과적으로는 미국은 중국 제조품에 대해 관세를 올리는 것으로 무역 갈등의 포문을 열었다. 초기 중국의 일방적인 패배가 예상됐으나, 중국은 미국의 제재를 피해가며 ‘기술 굴기’를 이어가고 있다.

이런 관점에서 보면, 중국이 겪는 현 경제 위기는 경제 자체적인 원인 이외 글로벌 패권 다툼이라는 국제 정치의 논리가 작용하고 있을 수 있는 것이다.


사회

더보기
석탄도시에서 친환경 관광도시로, 산시 다퉁의 성공적 변화에 글로벌 이목 쏠려
탄광 도시의 생존은 한국을 비롯한 각국의 주요 현안 가운데 하나다. 석탄이 주 연료이던 시절 번화했지만, 에너지원의 변화와 함께 석탄은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고 있고, 그 석탄 생산에 의존해 만들어졌던 몇몇 도시들이 생존 위기에 처한 것이다. 한국은 도박산업을 주면서 관광도시로 변모시켰다. 중국에서는 이런 정책 지원 없이 친환경 도시로 변화로 관광 도시로 변화에 성공한 곳이 있어 주목된다. 주인공은 산시성(山西省) 다퉁(大同)이다. 중국 산시성 다퉁이 과거 ‘석탄 도시’의 이미지를 벗고 친환경 관광지로 변모하고 있다. 한때 전국 최악의 대기질 도시 중 하나로 꼽혔지만 최근에는 ‘다퉁 블루(大同藍)’라는 별칭과 함께 주요 관광 도시로 선정됐다. 다퉁은 오랫동안 석탄 산업에 의존해 왔지만 환경 오염 문제로 큰 타격을 입었다. 2000년대 초반에는 전국 대기질 순위 최하위권에 머물렀다. 이후 당국은 불법 탄광을 정리하고 대형 탄광에는 자동화 설비를 도입해 분진 배출을 크게 줄였다. 일부 광산은 ‘석탄이 보이지 않는 밀폐형 관리’를 도입해 관리 수준을 높였다. 환경 기준 강화도 변화를 이끌었다. 2013년 대기오염 방지 정책 시행 이후 석탄 화력발전소에 ‘탈황·탈질

문화

더보기
중국 스스로 꼽은 3대 관광지, '만세산 무협성, 중산릉 풍경구, 시안 박물관'
“만석산 무협성, 중산릉 풍경구, 시안 박물관” 중국인들이 가장 많이 찾은 중국 관광지 ‘빅3’다. 베이징과 상하이 등도 중국 10대 인기 관광지에 포함됐다. 중궈신원왕 등에 따르면 메이투안 여행은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2025 여름휴가 핫스폿 및 트렌드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여름철 국내 인기 관광지는 베이징, 상하이, 시안, 난징, 청두, 광저우, 정저우, 충칭, 뤄양, 항저우 등이었다. 인기 관광지 TOP3는 만석산 무협성, 중산릉 풍경구, 시안 박물관이 차지했다. 보고서는 서북, 동북, 서남 지역의 여러 성(省)에서 관광 열기가 상승했다고 분석했다. 지린, 헤이룽장, 랴오닝, 신장 등은 ‘피서 여행 고속 성장 지역’으로 떠올랐다. 목적지 분포로 보면, 1·2선 도시가 여전히 선도했고, 베이징·상하이·시안이 인기 목적지 1~3위를 차지했다. 이들 도시는 중국인들의 인기 관광 목적지로 부동의 인기를 누리고 있다. 동시에 하위 도시 시장의 열기도 가파르게 상승했다고 보고서는 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00년대 이후 세대의 젊은 관광객들이 소규모·특색 있는 관광지로 깊이 들어가 새로운 여행 방식을 발굴했다. 메이투안 여행이 발표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