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아프리카에 액 68조 재정지원 약속...정치와 경제 위기 두마리를 한 번에 잡으려는 시도? 하

실제로 중국 경제도 힘들지만, 아프리카 각국에 대한 어떤 재정 지원도 아프리카에 경제 공동체 건설에 성공하지 못했다.

중국 역시 이 같은 점을 잘 알고 있다. 이 사실은 중국의 아프리카 투자 현황에서도 잘 나타난다. 보스턴 대학의 글로벌 개발 정책 센터의 최신 데이터에 따르면 중국이 국영 정책 은행을 통해 아프리카에 전통적으로 대출한 금액이 2000년 약 1억 달러에서 2016년 288억 달러로 급증해 아프리카 최대의 양자 채권국이 됐다. 그러나 그 숫자는 특히 팬데믹 기간 동안 감소하여 2022년에는 약 10억 달러로 떨어졌고 2023년에는 46억 달러로 증가에 그쳤다.

이 기간 중국은 단순 재정지원이 아닌 '공공-민간 파트너십' 모델로 투자 형식을 추구했다는 점이 특징이다.

블룸버그는 보고서는 니의 시만두 철광석 광산을 ‘공공-민간 파트너십’ 모델의 한 사례 꼽았다. 이 광산에는 중국 바오우 철강 그룹(China Baowu Iron and Steel Group)과 중국 알루미늄 코퍼레이션(Aluminum Corporation of China)이라는 두 회사가 광산의 40%를 통제하고 있다.

하지만 두 회사 모두 중국 당국의 통제를 받는 국영기업들이다.

특히 국가의 재정 지원과 달리 이런 형태의 투자 계약은 세부 조건이 외부에 알려지지 않는다. 결국 문제가 생길 경우, 국제법에 무지한 쪽이 일방적인 손실을 보는 구조가 나올 수 있다.

서구 사회가 중국이 아프리카를 ‘빚의 덫’에 가두고 있다고 우려하는 대목이다. 실제로 미국 남아프리카공화국 하워드 대학의 아프리카 연구 센터 부소장인 피보르쿨레 박사는 최근 외신과 한 인터뷰에서 “민간 계약의 경우 아프리카 쪽에서 투자 유치를 위해 양보를 하는 경우가 많다”고 지적했다.

결국 아프리카 투자는 성공보다 실패, 성공하더라도 아프리카 현지 불만은물론, 국제적 비난까지 감수해야 하는 위험한 투자다.

무엇보다 중국의 경제는 높은 실업률과 부동산 경기 침체로 인한 지방정부의 재정악화 등으로 침체의 병세가 짙어지는 상황이다.

그럼에도 중국이 투자를 해 얻는 이익은 무엇일까? 일단 유엔에서 중국 지지표의 획득이다. 중국-아프리카 협력 포럼에 참여한 국가 수만 53개국이다.

국제 사회에서 53개 국가의 지지를 받는 일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이에 중국의 이번 아프리카에 대한 재정지원이 경제 실익보다 정치적 이익을 택했다는 분석이 나오는 이유다.

하지만 정말 그럴까?

현실 문제 인식을 새롭게 하면 중국의 또 다른 속셈이 보인다.

지금 중국의 경제 위기가 경제문제 아니라 정치문제라고 보는 것이다. 중국의 경제는 ‘세계의 공장’이라는 타이틀로 글로벌 제조의 중추역할을 맡은 데 이어 기술 확보를 통해 중국만의 새로운 생태계 구조를 가져가면서 급속히 성장했다.

제조업의 중추가 되는 것은 미국 입장에서 환영했지만, 문제는 중국이 기술 강국으로 새로운 산업 생태계를 만들어가는 것이다.

기존 산업 생태계의 정점에 있는 미국 입장에서는 껄끄러울 수밖에 없는 것이다. 안 그래도 미국은 중국과 무역에서 막대한 손실을 보고 있는데 산업 생태계의 정점 자리마저 한 자리를 중국에게 내주는 것이 미국 입장에서는 마뜩치 않다.

미국 입장에서 중국은 제조업 역시 막대한 정부 지원으로 인한 불공정한 경쟁을 유발을 했고, 기술 역시 미국 등 서구 기업들이 막대한 연구비용을 들여 개발한 것을 도적질 하고 있다는 인식을 갖게 된 것이다.

결과적으로는 미국은 중국 제조품에 대해 관세를 올리는 것으로 무역 갈등의 포문을 열었다. 초기 중국의 일방적인 패배가 예상됐으나, 중국은 미국의 제재를 피해가며 ‘기술 굴기’를 이어가고 있다.

이런 관점에서 보면, 중국이 겪는 현 경제 위기는 경제 자체적인 원인 이외 글로벌 패권 다툼이라는 국제 정치의 논리가 작용하고 있을 수 있는 것이다.


사회

더보기
중 교육부, 학교에서 서예 등을 통한 한자 쓰기 교육 강화하도록 주문
“한자 쓰기 교육을 강화하라!” 중국 교육 당국이 전국에 이 같이 통지했다. 특히 서예를 통한 전통문화 계승에 힘써 달라고 당부했다. 사실 서예는 한자를 학습하는 가장 좋은 도구다. 아름다운 글씨를 쓰면서 자연스럽게 한자를 익히고, 고전을 필사하면서 읽게 되는 장점이 있다. 국가 차원의 서예교육 강화라는 점에서 한국 서예인들의 부러움을 사는 대목이다. 30일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교육부는 지난 25일 웹사이트를 통해 전국 학교에 이 같은 내용의 ‘초·중등학교 표준화 한자 쓰기 교육 강화에 관한 고시’를 통보했다. 중국 매체들은 이번 《통지》가 “시진핑 신시대 중국 특색 사회주의 사상의 지도 하에 도덕적 인품 함양과 인민 육성의 기본 임무를 관철하고 교사와 학생의 언어 및 문화 소양을 향상시킬 것을 요구한다”고 전했다. 매체들에 따르면 이번 통지는 학생들이 글을 쓸 때 올바른 앉는 자세와 펜 잡는 자세를 익히고 좋은 글쓰기 습관을 기르도록 훈련해야 함을 분명히 명시하고 있다. 또 표준화된 한자의 문자와 쓰기 능력을 올바르게 익히고, 쓰기 능력을 향상시키며, 한자에 포함된 역사적, 문화적 가치를 깊이 이해하도록 지도하도록 하고 있다. 통지는 총 8개의 기본

문화

더보기
홍콩에서 연애 게임 캐릭터와 실제 현실에서 만나는 '이차원 연애' 유행
남자 친구 만들기 게임이 현실 속에 실행된다면? 게임 캐릭터같은 남자친구랑 하루의 완벽한 데이트를 즐길 수 있다면 당신은 얼마를 지불 할 수 있나요? 좀 이상하게 들리는 질문이다. 돈을 주고 남자 친구를 만들고, 아무리 잘해준다고 해도 연애의 만족감을 느낄 수 있을까? 하지만 요즘 세대는 다르다. 홍콩에서 완벽한 남자 역을 사는 일일 데이트 ‘이차원 연애’가 유행하고 있다. 이차원이라 하는 것은 현실 3차원 속의 연애가 아니라, 2차원 게임 속의 연애를 현실로 이어간다는 의미를 포함한 것이다. 그런데 이 이차원 연애의 남자 친구들은 겉모습만 남자이지 실은 여성이 남자처럼 꾸미고 대행 역할을 해주는 게 특징이다. 그래서 홍콩에서 이 ‘이차원 연애’를 ‘cos-위탁’이라고 부른다고 BBC중국어 방송은 전했다. 코스프레의 코스와 역할을 맡기다는 위탁이 합쳐진 용어로 풀이된다. 실제 남성보다 어린 여성들이 접근하기에 여성이 더 안전해 남자 친구역을 여성이 맡게 됐다고 한다. 헌출한 키에 남성처럼 꾸미고, 데이트를 신청한 여성을 위해 하루 봉사를 한다. 대략 비용은 하루 500위안, 한화로 9만5000원 가량이다. 하루 데이트 경비는 신청한 여성이 같이 부담한다. 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