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의료개혁에 부치는 개소리, "

 

지고 싶지 않지유?

윤석열 대통령에게 묻고 싶네유? 그쥬? 서울대 법대도 못나오고, 사법고시도 보지 못한 것들에게 지고 싶지 않지유?

저 같지 않은 것들에게 지는 게 용납이 안되쥬? 그쥬?

법률에 다 나오는데, 법이 하라는 대로 하면 되는데, 이 잡 것은 도대체 왜 이러나 싶쥬?

그쥬?

멍~멍, 개소리유. 개소리라 한 마디 할게, 들어보슈. 쪼까 도움이 될테니.

다시 물어유. 세상이 참 거시, 뭐 쉽게 조c 같지유? 술 마시면 욕이, 욕이 막 나오쥬?

그지유?

아니유? 아님 말구유.

그런데 그럼 왜 그러유?

 

옛날 이런 일이 있었슈. 대감 집에 불이 났는데, 아이들이 무서워 도망을 가유. 도망을 가는데 이게 집안으로 자꾸 들어가는겨. 아니 집에 불이 났는데, 자꾸 안으로 들어가니, 어쩌유. 더 위험하지.

사람들이 소리를 쳐유. “아이야, 나와라! 나와라!”

그런디, 이 사람들이 어찌나 무섭게 소리를 치는지, 아이들이 더 겁을 먹은겨. 안으로 더 도망을 가쥬.

아이고 이걸 어쩌유.

그려유. 불 붙은 집으로 도망을 가니께, 사람들이 더 난리가 나, 더 무섭게 소리를 쳐유.

“나오라니까. 너 죽을래?”

겁이 나니 아이들은 자꾸 더 뒷걸음 쳐유. 사람들은 더 소리 치고.

아이고 이걸 어쩌유.

사람들이 모여 머리를 맞대고 고민을 허지유. 사람들이 모이니께, 아이들은 더 겁이 나유. ‘내가 뭘 잘못혔는갑다 싶은게지유.

 

이 때 말이유. 한 노인이 나섰슈. 어리숙한 데 웃는 얼굴로 나타나 말허지유.

“얘들아 이제 우리 술래잡기 하자. 너희들은 집 밖에 숨어라. 내가 집 기둥에서 술래를 할테니”

아이들이 그제야, 그 노인 말처럼 숨기위해서 집 밖으로 나오쥬.

그렇게 잡으려 해도 도망 다니던 아이들이 지들 스스로 나온거유. 사람들은 그제야 한 숨을 놓지유. ‘아이고 살았다.’

그 노인은 당대 유명한 고승이었다지유. 불경에 나오는 이야기유.

 

아 이야기라 그렇지, 그게 쉽냐고유? 그렇지유. 쉽지 않겠지유.

하지만 중요한 교훈은 그게 아니유.

강과 유의 조화가 교훈이유. 유한 대응이 때론 어떤 강경한 대응보다 더 유효 적절할 수 있다는 거지유. 쉽게 말혀유?

 

쉽게 “지는 게 이기는 경우가 있다” 이 말이유.

개소리지유.

뭐 개가 하니께, 개소리것지유.

 

하지만 누구는 개보다 못한 이도 많어유. 법대로 하면 된다 이거쥬?

아니 법대로 뭔 법이유?

 

법은 말유. 실은 국민이 정하는 거유. 국민이 국민을 위한 법을 만들라고 대리로 국회의원들을 뽑고 대통령도 뽑는거유.

아는감유? 법을 멋대로 하지 말라고 감시기구도 만들고, 국회 감사도 하라고 하고 하는거유. 잘 알잖유? 법률 전문가인디.

그런데 왜 그려유.

 

또 물을까유? 국정 개혁은 왜 허지유? 대통령 편할려고? 의료 개혁은 왜 허지유? 역사에 남는 실적을 쌓으려고?

아니지유.

 

송나라 왕안석이 그랬지유. 잘난척하고 개혁안을 도입했는데, 백성은 도탄에 빠지고 굶어 죽는 이들이 속출했구먼유.

근대 중국에서 마오쩌둥도 그랬지유. 

철을 생산해 농업 중국에 산업화를 도입하겠다고 대국민 동원령을 내렸슈. 그래 어찌 됐거슈? 농민들이 농기구를 녹여 철을 만들어 정부에 바쳤는데, 그 농민들이 다 굶어 죽었지유. 죽지 못한 이들은 아사직전에 온몸이 부어 오르는 부종을 앓아야 했데유. 

 

이들의 특징이 뭐유? 

지 잘났다. 지가 옳다고 백성을 도탄에 내몬거유. 그게 바로 독재구먼유. 

 

개혁은 말이유. 다 국민 좋으라고 하는거유.

국민을 불편하게 하는 개혁은 개혁이 아니지유. 아직도 국민은 무지해서 미래를 잘 몰라서 그런다고 허면, 아니고, 그게 개소리유.

멍~멍!!!

 


사회

더보기
중국 '전문 학사' 제도 상용화되나
중국에서 ‘전문학사’ 양성이 새로운 화두가 되고 있다. 최근 정저우철도직업기술대학이 2025년 단독 시험 모집 요강에서 여러 전공에서 학사 졸업생을 모집한다고 명확히 밝혔다. 대졸자를 대상으로 새롭게 전문 직업교육을 하는 과정이다. 이에 따라 ‘학사→전문학사(본승전)’ 현상이 뜨거운 화제로 떠올랐다. 사실, 직업대학이 학사 출신을 모집한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었다. 광둥 영남직업기술대학은 최근 2년간 기술 자격증을 다시 취득하려는 학사 및 석사 졸업생을 모집했고, 누적 인원이 150명을 넘었다. 산둥 칭다오 기술사양성학원은 2009년부터 ‘대학생 기능사반’을 개설해 지금까지 10여 기를 운영했으며, 이들 중에는 산둥대, 베이징과학기술대 등 ‘985’, ‘211’ 대학 출신 학사 졸업생도 있었다. 단지 고등직업학교가 단독 모집에서 학사생을 모집하는 데 그치지 않고, 일부 학사생들이 다시 전문 기술을 배우기 위해 ‘재진학’을 선택하기도 했다. 심지어 최근 몇 년간 직업학사 교육이 점차 자리 잡으면서, 일부 고득점 수험생들이 명문대를 포기하고 직업학사대학을 택하기도 했으며, 이는 사회 전반의 직업교육에 대한 편견을 지속적으로 뒤집고 있는 흐름이었다. 이러한 현상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