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술 한 잔의 여유가 바로 부(富)다.

돈 싫은 사람은 없다.

돈을 벌기 싫거나,

관리하기 싫을 수 있어도

돈 자체가

싫은 사람은 없다.

 

돈 많은 사람을 부자라고 한다.

돈이 많아

뭐든 풍족하게

다 갖는 이들이 부자다.

 

하지만

정말 그게 부자일까?

가진 게

많으면

그럼 정말

부자일까?

 

한국 제일의 부자

이병철 회장이

남긴 임종 전의 편지가

유명하다.

 

소위 ‘이병철의 24개 질문’이다.

하나같이

근본적인

질문이다.

 

쉽게

‘우린 왜 사냐’는 질문들이다.

 

그중 부자에 대한

질문이 2개 있다.

하나는

“신앙이 없어도 부귀를 누리고, 악인 중에도 부귀와 안락을 누리는 사람이 많은데, 신의 교훈은 무엇인가?”

또 다른 하나는

“성경에 부자가 천국에 가는 것을 낙타가 바늘구멍에 들어가는 것에 비유했는데, 부자는 악인이란 말인가?”

 

24개 질문 중

15번째와 16번째 질문,

전자는 부귀

후자는 부자에 대한 질문이다.

 

사실 한자 세계의 답을

너무도 간단하다.

 

한자의 세계에서

부(富)는

물질에 있는 게 아니다.

 

한자의 세계에서

부(富)는

개인의 마음속에 있다.

 

어떻게 마음 속에 있을까?

한자 부(富)는

춘추전국 시대 등장한다.

갑골처럼,

동물의 뼈에 새겨진 아니라,

소위 청동기에

각인 돼 있다.

 

자형은 집 안에

술 한 동이가 있는 모습이다.

부라는 게

집에서

일이 끝나고

술 한 잔의 여유인 것이다.

 

천금만금이 있어도,

여유가 없으면

가난한 것이고,

 

겨우 먹고 살 정도의

재산이라도

저녁에 술 한 잔의

여유를 부릴 수 있으면,

바로 네가

부자인 것이다.

 

결국 부자란,

네가 부자라면

부자이고,

네가 아니라면

아닌 것이다.

 

네 마음의 여유가 너를 부자로 만드는 것이다.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