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수는 한 나라 경제 발전을 살피는 중요한 척도다. 기업이 많을수록 경제 규모가 클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최근 10년간 중국의 민영기업과 외자기업의 수가 대폭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의 경제 규모가 여전히 5% 대 수준으로 성장하고 있음을 방증하는 것이다. 성숙된 경제체에서는 기업 수가 제자리를 유지하면서 자연스럽게 성장률이 2%대 아래로 떨어지는 모습을 보여준다. 중국 기업 수 증가는 중국 경제 성장이 여전히 빠르게 이뤄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이 같은 기업수의 증가가 미래 산업으로 꼽히는 IT분야에서 두드러져 주목된다. 중국 시장감독관리총국에 따르면 중국의 민영기업은 2012년 1085만7000개에서 2022년 8월에는 4701만1000로 증가했다. 무려 4배 이상이 늘어난 것이다. 민영기업이 중국 전체 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12년 79.4%에서 93.3%로 증가했다. 이러한 민영기업의 성장은 중국의 안정적인 경제 성장, 취업률 증가, 민생 개선 등 다양한 방면에서 중요한 역할을 발휘해 중국 경제와 사회를 발전시키는 원동력이 되었다. 특히 2020년 초부터 올해 8월까지 민영기업의 수가 대폭 증가했는데, 이 시기에 설립된 민영기업은 1
국내 최대 신재생 에너지 단지로 주목받는 새만금 태양광 기업 지분의 상당수를 중국계 기업이 소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11일 국민의힘 박수영 의원실은 한국중부발전이 84억 원을 투자한 새만금세빛발전소와 16억원을 투자한 에너지코 등 특수목적법인(SPC)에 중국계 자본이 깊숙이 관여한 것으로 파악됐다고 밝혔다. 박 의원실에 따르면 육상태양광 3구역을 운영하는 새만금세빛발전소 법인등기에는 차이나에너지 그룹의 한국지사 부사장이 사내이사로, 중국계 기업과 연결된 것으로 알려진 태국인이 대표로 기재돼 있다. 주식 중 48.5%도 사실상 중국계 기업인 레나와 태국기업인 비그림파워코리아가 소유한 것으로 확인됐다. 한국계 기업의 주식을 1순위 근질권 설정하는 방식이다. 또한 군산시 옥구읍 어은리 태양광 발전소를 운영하는 에너지코는 새만금세빛발전소보다 더 많은 71%의 지분을 레나가 보유하고 있고, 마찬가지로 차이나에너지 그룹의 한국지사 부사장이 사내이사로 등재돼 있다. 현재 산업통상자원부 고시에 따르면 전기 판매업의 경우 외국인 투자 비율이 50% 미만이거나 외국인 투자가의 주식 소유가 내국인 제1 주주보다 낮아야 한다. 이들 기업이 근질권을 설정하거나 우회해 지분을 확보한
중국의 1인당 가처분 소득이 최근 10년간 1만8618위안(약 372만 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소득이 아닌, 언제든 처분 가능한 소득이 늘어난 것이다. 372만 원이면 한국 2인 가족의 한달 생활비로도 충분한 돈이다. 가처분 소득은 언제든 소비로 이어질 수 있는 소득이다. 중국의 경제 규모가 그만큼 커졌다는 의미이고, 중국 소비시장이 이제 성숙단계로 접어들고 있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중국 국가통계국이 11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21년 중국 국민의 인당 가처분소득은 3만5128위안(약 702만 원)으로 2012년의 1만6510위안(약 330만 원)보다 1만8618위안 증가했다. 누적 명목성장률은 112.8%, 연평균 명목성장률은 8.8%로 집계됐다. 가격 요인을 제외하면 누적 실질성장률은 78.0%, 연평균 실질성장률은 6.6%이다. 중국의 최근 10년간 1인당 가처분소득의 연평균 실제 성장 속도는 1인당 국내총생산의 성장 속도보다 0.5% 빨랐다. 또한 1인당 이전소득(人均转移净收入)과 순재산소득이 빠르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21년 1인당 가처분소득에서 1인당 이전소득은 6531위안으로 2012년 대비 139.4%, 연평균 10.
2022년을 정점으로 중국 인구가 감소할 것이라는 예측이 깨졌다. 출산율이 다시 소폭이지만 증가한 것이다. 중국 당국이 두 자녀 정책을 펼친 것이 주효한 것으로 보인다. 다만 출산율 증가가 지속될지는 아직 미지수라는 게 전문가들의 대체적인 지적이다. 출생률의 증가폭이 작아 인구 감소라는 대세를 거스르기는 쉽지 않아보이기 때문이다. 최근 중국 국가통계국이 ‘2022년 중국 인구 통계’를 발표했다. 해당 통계에 따르면 중국의 인구는 3가지 특징을 보이고 있다. 첫째, 인구 수가 지속해서 증가하고 있다. 출생률 하락과 고령화 등 현상으로 인해 시진핑 정부는 단독 두 자녀 정책(单独两孩, 부모 중 한 명이 외동일 경우 한 가정에 두 자녀 허용)과 전면 두 자녀 정책(全面两孩, 두 자녀 출산 허용)을 실시했다. 그 결과, 2012~2021년 연평균 출생인구는 1620만 명에 달했으며 2021년 말 중국의 인구수는 14억1260만 명에 달했다. 이는 2012년 말보다 5338만 명 증가한 수치이며, 연평균 593.1만 명 증가하여 연평균 성장률이 0.4%를 기록했다. 둘째, 성별 비중이 1:1을 향해 가고 있다. 2021년 말, 중국의 남성 인구는 7억2311만 명으로
현재 관광산업의 지표는 그 나라의 코로나19 펜데믹이 어느 수준에 왔는지 보여준다. 관광산업이 개선된다는 것은 코로나 팬데믹이 끝무렵에 왔다는 의미다. 실제 각국에서 최근 수년간 침체 수준이었던 관광산업이 조금씩 개선되면서 코로나 엔데믹의 도래를 예고하고 있다. 올해 중국 국경절 연휴(10월 1∼7일)와 관련된 관광 보고서가 7일 발표됐다. 해당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국경절 연휴의 주요 여행 형태는 현지관광(本地游, 자신이 거주하는 지역을 여행하는 것), 주변관광(周边游), 단거리관광(短途游) 등으로 나뉘었다. 7일의 연휴 기간 동안 현지관광 및 주변관광이 차지하는 비중은 65%이며, 1인당 관광 비용은 작년 국경절 연휴보다 약 30% 증가했다. 올해 국경절에 가장 인기가 많은 현지 및 주변 관광 지역은 상하이, 베이징, 광저우, 항저우, 선전, 난징, 청두, 충칭, 창사, 쑤저우, 허페이, 우한, 닝보, 시안, 지난 등 대도시에 집중되었다. 또한 올해 국경절 10대 현지관광 신 목적지에는 취안저우(泉州, 전년 대비 463% 증가), 푸톈(莆田, 415% 증가), 난핑(南平, 228% 증가), 지에양(揭阳, 100% 증가), 산웨이(汕尾, 55% 증가), 옌
홍콩이 관광객 유치에 경품까지 걸고 나섰다. '국제금융 허브'이자 '쇼핑관광의 도시'인 홍콩은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3년 가까이 국경을 걸어 잠그고 있다. 세계의 허브 도시였던 홍콩의 지위도 그만큼 변질되고 있다. 자연히 홍콩 경제는 위축되는 상황이다. 홍콩 방역 당국의 규정에 따라 여객기에 대한 운항 금지 조치를 수시로 취하면서 홍콩을 찾은 방문객 수는 팬데믹 전인 2019년 5600만 명에서 지난해 9만1400명으로 급감했다. 홍콩관광청이 향후 입국자에 대한 모든 방역 규정이 해제되면 관광객 유치를 위해 내년 초 비행기표 50만 장을 증정하는 광고 캠패인을 펼친다고 밝혔다. 6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데인 청 홍콩관광청장은 "정부가 입국자에 대한 모든 코로나19 제한을 없애면 우리는 무료 항공권 배포와 관련된 행사를 내년 초에 시작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홍콩공항공사가 코로나19 팬데믹이 완화될 경우 관광산업 촉진을 위해 캐세이퍼시픽, 홍콩익스프레스, 홍콩에어라인 등의 항공권 약 50만장을 구매할 계획으로 2020년 20억 홍콩달러(약 3580억 원)의 자금을 마련해뒀다"고 설명했다. 또 "무료 항공권은 입국 여행객에게
틱톡의 인기가 놀랍다. 중국이 만들었다는 게 믿어지지 않을 정도다. 과거 샤오미의 성공을 두고 서방에서는 '중국의 실수'라고 칭했다. 중국에서 나올 수 있는 회사가 아니라는 의미였다. 하지만 틱톡에 대해서는 다르다. 중국의 저력을 새삼 실감하기 때문이다. 중국의 짧은 영상 플랫폼 틱톡(TicToc)은 전세계 젊은 세대 사이에 페이스북(메타), 트위터, 인스타그램을 넘어서는 인기를 끌고 있다. 이미 적지 않은 젊은이들이 틱톡에 중독된 상황이다. 짧은 동영상을 과거 움짤처럼 되풀이해 보면서 웃고 있다. '아재'들이 보기에 좀 한심해 보일 수도 있지만 그 인기는 틱톡의 매출을 보면 실감하게 된다. 영국 Companies House에 따르면 2021년 틱톡의 유럽 내 영업수입은 9억9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2020년 1억7200만 달러에 비하면 크게 증가한 수치이다. 틱톡은 유럽 전역에 4396명의 직원을 두고 있다. 이는 2020년에 비해 직원이 3000명 이상 늘어난 것이다. 판매 및 마케팅 비용은 거의 90% 증가하여 6억6600만 달러에 달했으며, 관리 비용은 거의 30% 증가하여 2억1200만 달러를 기록했다. 틱톡의 유럽 지역 수입은 유럽연합의 비중이
55% 중국의 GDP성장에서 3차 산업 기여율이다. 세계 공장이라던 중국의 산업 구조 개편이 놀랍다. 이제 제조 강국에서 서비스 강국으로 거듭나고 있는 것이다. 3차 산업의 중국 경제 성장 기여가 갈수록 커지고 있다. 중국 국가통계국이 2012년 18차 당대회 이후 경제 및 사회 발전 성과에 대한 보고서를 최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13년부터 2021년까지 서비스업 등 3차산업 부가가치의 연평균 성장 속도는 7.4%에 달해 국내총생산(GDP) 연평균보다 0.8% 높았다. 경제성장에 대한 3차산업의 연평균 기여률은 55.6%로 2차 산업보다 무려 16.4%나 높았다. 3차산업의 부가가치가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21년 기준 53.3%로 2012년 대비 7.8% 상승해 국민경제에서 가장 중요한 산업으로 올라섰다. 2013년부터 2021년까지 중국의 평균 소비율은 54.2%로 2012년보다 3.1% 증가했다. 중국 경제성장에 대한 최종 소비지출의 기여율은 연평균 53.2%로 중국 경제성장의 주요 원동력이 되었다. 이제 중국은 내수로 경기를 부양할 수 있는 경지에 다다른 것이다. 말 그대로 중국 자체만으로 하나의 완전한 경제체로서 역할을 할 수 있게
'333만2000명' 중국의 대학원생 수다. 어머어마한 숫자다. 중국은 유교국으로 전통적으로 학력을 중시해왔다. 학력이 자녀의 미래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고 믿고 실천하고 있다. 중국 정부의 개혁개방으로 생활수준이 높아지면서 공부를 석사, 박사과정까지 지원하는 가정이 늘어났다. 자연히 대학생 수 못지 않게 대학원생의 수도 늘어났다. 최근 중국 교육부는 2012년부터 올해까지 중국 교육계의 변화를 정리한 통계를 발표했다. 이 발표에 따르면 2012년부터 지금까지 중국에서는 학생들을 위한 일련의 정책이 끊임없이 실행되어 왔고 교육의 질이 안정적으로 제고되었다. 그 결과 2021년 전국 의무교육 단계의 체육, 예술, 노동기술 과정에 종사하는 교사가 각각 67만4000명, 83만 명, 10만9000명으로 10년 전에 비해 각각 55.4%, 52.3%, 18.3% 증가했다. 또한 학생들은 교육의 균형을 유지하고 있는데, 전국 95% 학교의 학생들이 매일 1시간 동안 체육 시간을 가지고 있으며, 87%의 학생이 초, 중, 고등학교에서 예술교육을 받고 있다. 특히 90% 이상의 학생은 규정된 시간내에 서면 숙제를 완성할 수 있는 수준에 도달했고, 92% 이상의 학생들은
'7000억 위안' 141조7800억 원가량으로 중국 밀키트 시장의 규모다. 식품 산업의 한 분야가 이 정도 규모인 것이다. 본래 중국은 전통적으로 '요리의 나라'라 불려왔다. 요식업은 중국에서 가장 중요한 산업 가운데 하나다. 일단 사람은 먹어야 사는 데 중국 인구가 세계에서 가장 많은 14억 명이다. 자연히 요식업 시장 규모 자체가 세계 최대 수준이다. 그런 중국의 요식업은 최근 경제 발전과 더불어 갈수록 고급화하고 있다. 시장 규모 자체가 세계 최대인 상황에서 돈이 쏠리니, 경쟁이 촉발되고 경쟁이 가열되다 보니 자연히 더 고급, 더 독특한 요리들이 나오는 것이다. 다르지 않으면, 더 맛있지 않으면 소비자를 사로 잡을 수 없다는 게 중국 요식업의 불후의 명제가 되고 있다. 요리의 나라, 전통적인 중국의 명성이 되살아나고 있는 것이다. 2022년 중국 요식업 연간 보고서(2022中国餐饮业年度报告)가 발표됐다. 이번 보고서에는 2021년 중국 31개 성(省)의 요식업 발전 상황과 전반적인 요식업 발전 방향 등에 대해 조사한 내용을 담았는데 특히 밀키트에 관련된 통계가 주목을 받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중국의 밀키트 산업은 소비 수요가 굉장히 많으며 앞