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홍찬선의 시와 경제 31 - 이스털린 역설, 아기 낳지 않는 인구절벽과 대한민국의 미래



미하엘 천사는 “쌍둥이를 갓 낳은 산모를 데려오라”는 하느님의 심부름을 이행하지 않은 죄로 인간으로 살아야 하는 벌을 받았다. 그는 하늘에서 땅으로 유배당할 때 3가지 질문에 대한 답을 얻으면 다시 천사가 될 것이라는 숙제를 받는다. ’사람의 내부에는 무엇이 있는가‘ ‘사람에게 허락되지 않는 것은 무엇인가’ ‘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하는 질문이다.

미하엘은 가난한 구두 수선공 부부의 눈에 띄어 함께 살면서 3가지 질문에 대한 답을 얻으려고 노력한다. 그는 돈이 많아 거들먹거리고 구두장이를 깔보며 멋진 가죽 장화를 만들어달라고 하던 사람이 집으로 돌아가는 길에 갑자기 죽는 반면, 비록 내일 먹을 양식이 없고 비바람이 새는 집에 살지라도 나보다 힘들고 지친 사람을 보면 애면글면 도와주려는 따뜻한 사랑이 있어 행복한 사람들을 보면서 마침내 올바른 답을 얻어 다시 천사가 되었다.

‘사람 안에는 사랑이 있고, 사람은 자기의 몸이 필요한 것을 알지 못하며, 사람은 사랑으로 산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톨스토이의 단편소설 <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에 나오는 이야기다.

 

이스털린 역설/ 如心 홍찬선

 

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

돈일까 벼슬일까 명예일까

 

부자는 행복할까

높은 지위에 있는 사람은 즐거울까

명예에 둘러싸인 사람은 걱정이 없을까

 

사람은 보이는 것으로만 살지 않는다

꿈으로 살고 자부심으로 버티며

책임감으로 현실을 참는다

 

행복은 부자 순이 아니다.

사람은 사랑으로 살고 사랑으로 행복하다

 

리처드 이스털린(Richard Easterlin) 미 USC대학 경제학과 교수는 1946년부터 1970년까지 전 세계 30여개 국가에서 설문조사를 한 결과 국민소득이 높다고 해서 행복하게 느끼는 사람의 비율이 함께 증가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미국에서 1940~1950년대 후반까지는 소득이 늘어나면서 행복도도 높아졌지만, 1972년부터 1991년까지는 소득증가에도 불구하고 행복하다고 느끼는 사람의 비율은 오히려 낮아졌다. 소득이 늘어나면 행복도도 높아질 것이라는 ‘상식’과 다른 이런 현상을 ‘이스털린 역설’이라고 부른다.

이스털린 역설이 가장 뚜렷하게 나타나는 국가가 한국이다. 한국은 1인당 국민소득이 1만 달러를 넘는 나라 가운데 국민들이 가장 행복하지 않다고 여기는 나라다. 선진국 클럽인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가입국 가운데 자살률이 부동의 1위인 것은 이를 반증한다. 참으로 안타깝고 불편한 진실이다.

국민들이 행복하지 않고 자살하는 사람이 많은 것은 낮은 출산율과 직결된다. 통계청에 따르면 한국의 출산율은 2021년에 0.81명으로 잠정 집계됐다. 이는 전년보다 0.03명 떨어진 것으로 사상 최저다. 중국 1.15명, 일본 1.32명, 대만 0.93명보다도 훨씬 낮다. 2021년 4분기는 0.71명이었다. 출산율은 가임여성 1명이 평생 낳는 아이 수를 나타내는 숫자로, 2.04명이 돼야 현재 인구가 유지되며, 그보다 낮으면 인구가 감소한다.

실제로 대한민국 인구는 2019년 5184만9861명으로 최다를 기록한 뒤 2020년 5182만9023명, 2021년 5163만8809명으로 줄었다. 출산율은 2018년 0.98명, 2019년 0.92명, 2020년 0.84명으로 계속 낮아져 인구감소 폭은 더욱 늘어날 것이 확실하다.

 

인구절벽/ 如心 홍찬선

 

다른 산에 뒹구는 돌에게서도 배운다는

타산지석은 사전에만 나오는 죽은 말이었다

 

바로 옆 나라에서 낮은 출산율에 비명 지르며

출산비와 분유값 지원, 예방접종 무료 같은 정책을

잇따라 시행할 때 강건너 불 구경하더니

 

그 나라보다 훨씬 낮아지자

부랴부랴 아이 많이 낳으라는 대책을 쏟아내지만

오줌 눈 언 발이 동상으로 자르게 생겼다

 

아이를 많이 낳은 사람들에게 조언 구하지 않고

책상머리에서 자판만 두드리며 내놓은 대책이

돈 먹는 하마로 덩치만 키워 간다

 

타산지석을 모르니 맨날 뒷북이고

역사를 알려고 하지 않으니 꽉 막힌 불통이다

 

 

젊은이들이 아이를 낳지 않는 건 미래가 불확실하기 때문이다. 지금 살기 힘들어도 참고 견디면 아들 딸들은 나보다 더 나은 삶을 살 수 있을 것이란 희망이 있으면 아이를 낳는다. 하지만 지금도 어려운데 아이들은 더 힘들 것이라고 여기는 순간, 아이 낳는 것을 포기한다.

대학을 졸업해도 일자리를 잡기는 하늘의 별따기처럼 어렵고, 어렵사리 잡은 일자리도 언제 짤릴지 몰라 불안한데, 아이 양육비와 교육비 및 집값은 월급보다 빨리 오른다. 무엇을 믿고 아이를 낳겠는가. 아이를 낳을 수 없는 현실이 어떻게 행복할 수 있는가. 아무리 사람은 사랑으로 살며, 돈과 행복은 반드시 비례하는 게 아니라고 자위하는 것도 한두 번인데…

국민 눈높이에서 오로지 국민만을 생각하고 국민만을 위해 정치하겠다는 정치꾼들은 더 이상 국민이 믿지 않는 말풍선으로 계속 속일 수 없다. 인구절벽을 해결하지 않고서 정치경제사회 문제를 해결하기는 거의 불가능하다. 시간은 그렇게 많지 남아 있지 않다. 아이들이 웃고 우는 소리를 듣기 힘든 나라는 미래도 밝지 않다.

 

 




사회

더보기
숏폼 중독, 중국에서는 노인 중독 문제도 심각
중국에서 노령층의 숏폼 드라마 중독현상이 갈수록 심화하는 것으로 나타나 우려되고 있다. 중국 매체들은 최근 이 같은 현상을 지적하며, 실버족의 건강한 모바일 접근에 대해 다양한 방법을 모색하고 나섰다. 중국 매체들이 지적하는 대표적인 중독은 짧은 동영상과 단막극에 지나치게 몰입해 건강을 해치거나, 합리적이지 않은 방식으로 라이브 커머스에 참여하고, '보상'이나 '캐시백'에 현혹되어 장시간 앱을 사용하는 등의 문제가 나타났다. 중국 매체에 따르면 최근, 후베이성 우한시에 거주하는 60대의 천(陈) 씨는 짧은 드라마(단막극)를 보는 것에 푹 빠졌다. 어느 날 새벽, 잠에서 깼지만 다시 잠들지 못하자 남편에게 방해가 되지 않도록 이어폰을 끼고 이불 속에서 화면을 넘기며 몇 시간 동안 영상을 시청했다. 춘제(春節) 연휴 기간 동안 갑자기 눈에 압박감이 느껴지고 시력이 급격히 저하되자, 자녀가 병원에 데려갔다. 검사 결과 ‘폐쇄각 녹내장’이 급성 발작한 것으로 밝혀졌으며, 즉시 수술이 필요했다. 짧은 동영상 콘텐츠는 풍부하고 전개가 빠르며, 이에 따라 노년층 사이에서 큰 인기를 끌고 있다. 그러나 과도한 시청은 중독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정상적인 생활에 영향을 미칠

문화

더보기
중 애니 '너자-마동소해' 역대 첫 90억 위안(약 18조 원) 돌파 기록 달성
‘90억 위안’ 한화로 약 17조 9199억 원에 달하는 금액이다. 중국에서 영화 한 편이 올린 매출액이다. 중국 영화사 역대 최대 매출액이다. 글로벌 기준으로도 수위에 포함된다. 주인공은 애니메이션 영화 '너자-마동소해(哪吒之魔童閙海)'이다. 영화는 여전히 인기이고, 매출액은 여전히 늘고 있다. 중국 중앙방송총국에 따르면 애니메이션 영화 '너자-마동소해(哪吒之魔童閙海)'가 11일 기준 박스오피스 수입(예매 포함) 90억 위안(약 17조 9199억 원)을 돌파했다. 중국 영화 역사상 ‘최초로 90억 위안 돌파’ 작품이라는 영예를 안게됐다. 이로써 '너자2'는 전 세계 박스오피스 순위에서 27위, 애니메이션 영화 부문에서는 6위를 기록하며 글로벌 시장에서도 주목받고 있다. 아시아 영화로서는 유일하게 글로벌 박스오피스 상위 30위권에 진입했다. 한편 '너자-마동소해(哪吒之魔童閙海)'의 1부는 2019년 7월 26일 중국 본토에서 개봉됐다. 영화의 배경 스토리는 고대 중국 명나라 기환록인 ‘봉신연의’ 중 너자 편이다. 이를 기반으로 각색돼 영웅으로 태어났어야 할 아이가 마왕의 아들로 태어나 생기는 일화를 그렸다. 이번 영화는 그에 이어지는 것이다. 이미 1부만해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