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홍찬선의 시와 경제 31 - 이스털린 역설, 아기 낳지 않는 인구절벽과 대한민국의 미래



미하엘 천사는 “쌍둥이를 갓 낳은 산모를 데려오라”는 하느님의 심부름을 이행하지 않은 죄로 인간으로 살아야 하는 벌을 받았다. 그는 하늘에서 땅으로 유배당할 때 3가지 질문에 대한 답을 얻으면 다시 천사가 될 것이라는 숙제를 받는다. ’사람의 내부에는 무엇이 있는가‘ ‘사람에게 허락되지 않는 것은 무엇인가’ ‘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하는 질문이다.

미하엘은 가난한 구두 수선공 부부의 눈에 띄어 함께 살면서 3가지 질문에 대한 답을 얻으려고 노력한다. 그는 돈이 많아 거들먹거리고 구두장이를 깔보며 멋진 가죽 장화를 만들어달라고 하던 사람이 집으로 돌아가는 길에 갑자기 죽는 반면, 비록 내일 먹을 양식이 없고 비바람이 새는 집에 살지라도 나보다 힘들고 지친 사람을 보면 애면글면 도와주려는 따뜻한 사랑이 있어 행복한 사람들을 보면서 마침내 올바른 답을 얻어 다시 천사가 되었다.

‘사람 안에는 사랑이 있고, 사람은 자기의 몸이 필요한 것을 알지 못하며, 사람은 사랑으로 산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톨스토이의 단편소설 <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에 나오는 이야기다.

 

이스털린 역설/ 如心 홍찬선

 

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

돈일까 벼슬일까 명예일까

 

부자는 행복할까

높은 지위에 있는 사람은 즐거울까

명예에 둘러싸인 사람은 걱정이 없을까

 

사람은 보이는 것으로만 살지 않는다

꿈으로 살고 자부심으로 버티며

책임감으로 현실을 참는다

 

행복은 부자 순이 아니다.

사람은 사랑으로 살고 사랑으로 행복하다

 

리처드 이스털린(Richard Easterlin) 미 USC대학 경제학과 교수는 1946년부터 1970년까지 전 세계 30여개 국가에서 설문조사를 한 결과 국민소득이 높다고 해서 행복하게 느끼는 사람의 비율이 함께 증가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미국에서 1940~1950년대 후반까지는 소득이 늘어나면서 행복도도 높아졌지만, 1972년부터 1991년까지는 소득증가에도 불구하고 행복하다고 느끼는 사람의 비율은 오히려 낮아졌다. 소득이 늘어나면 행복도도 높아질 것이라는 ‘상식’과 다른 이런 현상을 ‘이스털린 역설’이라고 부른다.

이스털린 역설이 가장 뚜렷하게 나타나는 국가가 한국이다. 한국은 1인당 국민소득이 1만 달러를 넘는 나라 가운데 국민들이 가장 행복하지 않다고 여기는 나라다. 선진국 클럽인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가입국 가운데 자살률이 부동의 1위인 것은 이를 반증한다. 참으로 안타깝고 불편한 진실이다.

국민들이 행복하지 않고 자살하는 사람이 많은 것은 낮은 출산율과 직결된다. 통계청에 따르면 한국의 출산율은 2021년에 0.81명으로 잠정 집계됐다. 이는 전년보다 0.03명 떨어진 것으로 사상 최저다. 중국 1.15명, 일본 1.32명, 대만 0.93명보다도 훨씬 낮다. 2021년 4분기는 0.71명이었다. 출산율은 가임여성 1명이 평생 낳는 아이 수를 나타내는 숫자로, 2.04명이 돼야 현재 인구가 유지되며, 그보다 낮으면 인구가 감소한다.

실제로 대한민국 인구는 2019년 5184만9861명으로 최다를 기록한 뒤 2020년 5182만9023명, 2021년 5163만8809명으로 줄었다. 출산율은 2018년 0.98명, 2019년 0.92명, 2020년 0.84명으로 계속 낮아져 인구감소 폭은 더욱 늘어날 것이 확실하다.

 

인구절벽/ 如心 홍찬선

 

다른 산에 뒹구는 돌에게서도 배운다는

타산지석은 사전에만 나오는 죽은 말이었다

 

바로 옆 나라에서 낮은 출산율에 비명 지르며

출산비와 분유값 지원, 예방접종 무료 같은 정책을

잇따라 시행할 때 강건너 불 구경하더니

 

그 나라보다 훨씬 낮아지자

부랴부랴 아이 많이 낳으라는 대책을 쏟아내지만

오줌 눈 언 발이 동상으로 자르게 생겼다

 

아이를 많이 낳은 사람들에게 조언 구하지 않고

책상머리에서 자판만 두드리며 내놓은 대책이

돈 먹는 하마로 덩치만 키워 간다

 

타산지석을 모르니 맨날 뒷북이고

역사를 알려고 하지 않으니 꽉 막힌 불통이다

 

 

젊은이들이 아이를 낳지 않는 건 미래가 불확실하기 때문이다. 지금 살기 힘들어도 참고 견디면 아들 딸들은 나보다 더 나은 삶을 살 수 있을 것이란 희망이 있으면 아이를 낳는다. 하지만 지금도 어려운데 아이들은 더 힘들 것이라고 여기는 순간, 아이 낳는 것을 포기한다.

대학을 졸업해도 일자리를 잡기는 하늘의 별따기처럼 어렵고, 어렵사리 잡은 일자리도 언제 짤릴지 몰라 불안한데, 아이 양육비와 교육비 및 집값은 월급보다 빨리 오른다. 무엇을 믿고 아이를 낳겠는가. 아이를 낳을 수 없는 현실이 어떻게 행복할 수 있는가. 아무리 사람은 사랑으로 살며, 돈과 행복은 반드시 비례하는 게 아니라고 자위하는 것도 한두 번인데…

국민 눈높이에서 오로지 국민만을 생각하고 국민만을 위해 정치하겠다는 정치꾼들은 더 이상 국민이 믿지 않는 말풍선으로 계속 속일 수 없다. 인구절벽을 해결하지 않고서 정치경제사회 문제를 해결하기는 거의 불가능하다. 시간은 그렇게 많지 남아 있지 않다. 아이들이 웃고 우는 소리를 듣기 힘든 나라는 미래도 밝지 않다.

 

 




사회

더보기
소비자 거부에도 광고 문자 보낸 공연장 법적 재제 받아
중국에서 소비자가 분명히 거부의사를 밝혔음에도 1년이상 지속적으로 광고 문자를 보낸 문화단체가 법적 제재를 받게 됐다. 최근 중국 펑파이신문에 따르면 조웨(가명)은 자신이 산시대극장에서 공연을 관람한 이후 1년 넘게 다양한 가상의 전화번호로부터 공연 홍보 문자 메시지를 지속적으로 받아와 이를 신고하고 민사소송도 제기했다고 밝혔다. 현재 1심 법원은 공식 사과하라 판결한 상태다. 지난 1년간 조웨는 수신 거부 의사를 밝히고 관련 번호를 차단했음에도 불구하고, 스팸 메시지는 계속 이어졌다고 주장했다. 조웨는 자신이 산시대극장에 정보 수신을 위임하거나 구독한 적이 없다고 강조하며, 극장의 행위는 시민의 개인정보 및 프라이버시 권리를 침해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12315 소비자신고센터에 신고하고 경찰에 보호 요청을 했으나 별다른 성과를 얻지 못하자, 조웨는 민사소송을 제기했다. 2025년 5월 26일, 허베이성 스자좡시 차오시구 인민법원은 본 사건에 대해 1심 판결을 내렸다. 판결에 따라 산시폴리대극장관리유한회사(이하 ‘산시폴리대극장’) 및 마케팅 문자를 발송한 3개 기업은 조웨에게 홍보 문자를 발송하는 행위를 중단하고, 서면으로 사과해야 한다고 명령받았다. 202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