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시사 중국어] 우울한 한국 중학생

忧郁的韩国中学生
우울한 한국 중학생

 

 


据调查显示,韩国中学生每4名中就有1人患有忧郁症。
국내 중학생 4명 중 1명은 우울 증상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特别是患有失眠症的学生患上忧郁症的可能性高达2倍以上。
특히, 불면증을 겪고 있는 학생이 우울 증상을 경험할 가능성은 2배 이상 높았다.  

据韩国食品交流论坛(KOFRUM)介绍,首尔大学医院小儿精神科教授金鹏年(音译)的研究小组,以居住在首尔的457名中学生(男178名,女279名)作为研究对象,对其忧郁、白天打瞌睡和失眠症的程度和相关性进行了分析,并根据结果得出上述结论。
한국 식품 커뮤니케이션 포럼(KOFRUM)에 따르면 서울대 병원 소아정신과 김붕년 교수팀이 서울 거주 중학생 457명(남 178명, 여 279명)을 대상으로 우울ㆍ주간졸음ㆍ불면증의 정도와 상관 관계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드러났다.

该项研究结果(首尔地区中学生忧郁症状与睡眠状态的关系)刊登在了大韩神经精神医学会刊的最新一期。
이 연구 결과(서울 지역 중학생의 우울 증상과 수면 양상과의 관계)는 대한 신경 정신 의학회지 최근 호에 소개됐다.

研究结果显示,平时感到忧郁的学生占全体学生的25.9%。
연구 결과, 평소 우울감을 느끼는 학생은 전체 중학생의 25.9%에 달했다.

每4名中学生中就有1名。
중학생 4명 중 1명꼴이다.

在性别上,女学生比男学生更频繁的感到忧郁,并且程度更深。
성별로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우울감을 더 자주, 더 심하게 경험했다.

女学生的忧郁标准分数为15.4分,高于男学生的13.7分。
여학생의 우울 척도 점수는 15.4점으로 남학생(13.7점)보다 높았다.

忧郁标准分数满分为54分,分数越高意味着忧郁程度越严重。
우울 척도 점수는 54점 만점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우울 정도가 심하다는 의미다.

在此研究中,若忧郁标准分数达到22分以上,则可以说是有明显的忧郁症状。
이번 연구에선 우울척도 점수가 22점 이상이면 우울증상이 있는 것으로 평가했다.

此次研究中,平时受失眠症折磨的学生,比睡眠质量良好的学生感到忧郁的几率高达2.2倍。
이번 연구에서 평소 불면증에 시달리는 학생은 잘 자는 학생에 비해 우울감 경험 가능성이 2.2배 높았다.

也就是说,忧郁症与失眠具有相关性。
우울감과 불면증이 상관관계가 있다는 뜻이다.

患有失眠症的学生的忧郁标准分数为15.9分,高于没有失眠症的学生(13.9分)。
불면증이 있는 학생의 우울척도 점수는 15.9점으로, 불면증이 없는 학생(13.9점)보다 높았다.

此外,过度睡眠反而会对青少年的精神健康造成不良影响。
과도한 수면은 청소년의 정신 건강에 오히려 악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每天睡眠时间超过8小时的中学生的忧郁标准分数,比睡眠时间不足8小时的学生还要高出1.9分。
하루 8시간 이상 수면을 취하는 중학생의 우울 척도 점수는 수면시간이 8시간 미만인 학생에 비해 1.9점 더 높았다.


忧郁症
yōuyùzhèng
우울증
失眠症
shīmiánzhèng
불면증
可能性
kěnéngxìng
확률, 가능성
韩国食品交流论坛
Hánguó shípǐn jiāoliú lùntán
한국 식품 교류 포럼(kofrum)
小儿精神科
xiǎo'ér jīngshénkē
소아 정신과
相关性
xiāngguānxìng
상관 관계, 연관성
结论
jiélùn
결과, 결론
研究
yánjiū
연구
睡眠状态
shuìmián zhuàngtài
수면 양상, 수면 상태
医学
yīxué
의학
标准
biāozhǔn
척도, 표준
不良影响
bùliáng yǐngxiǎng
악영향, 좋지 않은 영향

 

해동주말이 한국 중학생들을 응원합니다!


 

 


사회

더보기
중 허베이 한 도시 "빨강, 파랑, 검정색 광고 금지" 조치 논란...중 네티즌, "황당하다"
‘간판에서 빨강, 파랑, 검정색 금지’ 중국 허베이성 산허시의 『산허시 도시계획건설관리 가이드라인』이 중국 사회 논란이 되고 있다. 이 가이드 라인은 “국제 및 국내 프랜차이즈 브랜드를 제외하고는 빨강, 파랑 바탕색이나 글씨 사용을 허용하지 않는다”고 명시하고 있다. 실제 중국 매체에 따르면 이 지역 일부 상점의 간판이 빨간색에서 초록색으로 바뀌었고, 일부 간판은 아예 철거됐다고 전했다. 한 상인은 “장사가 눈에 띄게 영향을 받았다”고 하소연했다. 중국 인민일보은 이에 “멀쩡히 걸려 있던 간판이 대체 누구에게 피해를 줬다는 말인가? 억지로 색상을 바꾸라고 하는 조치는 어떤 논리로 설명할 수 있을까?”라고 반문하고 있다. 신문에 따르면 실제 이 같은 간판 색상 변경을 강요한 것은 상인의 영업에 지장을 줄 뿐만 아니라, 불필요한 지출을 떠안도록 했다. 신문에서 한 상인은 “새 간판 제작에 거의 2,000위안(약 38만 8,820 원)이 들었는데, 이는 반달치 임대료에 해당한다”고 밝혔으며, 이 비용을 누가 책임질 것이냐는 의문도 제기됐다. 간판은 오랜 기간 사용되며 고객의 기억에 남는 상징이 되었고, 고객 유치에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간판이 법규를 위반하지 않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