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머리는 좋으시네, 그런데 어찌 돈 내는 날만 잊을까?

옛날 중국 한 마을에 부자가 있었다. 당대에는 서당 선생을 모시면 쌀이나 먹을 것으로 수업료를 냈다.

이 마을에서는 7월 7일 칠석날에는 서당 선생을 모시고 식사를 하는 풍습이 있었다.

그런데 유독 이 마을 제일 부자는 중국 천하에 소문난 자린고비였다. 선생을 초대해 대접하는 게 싫어 칠석날이면 곡기를 끊기 시작했다.

자연히 선생을 초대할 일도 없었다. 그러자 서당 선생이 화가 났다.

‘저 놈의 부자 야박하게도 이럴 수가 있는가. 수업을 받으면 수업료를 내야지. 괘씸하구나.’

참지 못한 선생이 수업을 듣는 마을 제일 부자의 아들에게 고상하게 꾸짖었다.

“어허, 객사(서당 선생이 머무는 곳)가 처량하니, 어느새 칠석이구나!”

선생의 말을 들은 학생이 부친에게 말을 전했다. 칠석임을 알리는 서당 선생의 뜻을 부자가 모를 일이 없었다.

입가 웃음을 머금은 부자가 아들에게 말했다.

“아이고 어느새 칠석이군. 내가 선생 대접에 소홀했구나. 집안이 썰렁하니, 사람 북적이는 8월 15일 중추절에 다시 뵙자고 전해 드려라.”

결국 중추절이 됐다. 선생이 기다리고 기다렸지만 역시 자린고비 부자의 초청 소식은 없었다.

선생이 다시 부자의 아들을 불렀다. “기다린 건 아니지만 어느새 절기가 왔구나!”

아들이 이 말을 전하자 부자가 웃으며 말했다. “아이고 또 잊었구나, 다음 9월 9일 중양절에 뵙자고 전하거라.”

시간이 흘러 어느새 중양절이 됐다. 하지만 부자의 소식은 여전히 들리지 않았다.

선생이 아들을 불러 말했다. “한나라 세 영웅을 아느냐? 장량, 한신, 적인걸이다.”

아들이 이 말을 부친에게 전했다. 자린고비 부자가 크게 웃었다.

“아니 선생이 어찌 한나라 세 영웅을 잘못 아느냐? 적인걸은 당나라 사람 아니더냐?”

아들이 부친의 말을 선생에게 전했다. 선생이 반색하면 말했다.

“오 네 아버지의 기억력이 좋구나. 한나라 당나라를 명확히 아는구나.”

부친을 칭찬하자 으쓱해진 학생이 선생을 쳐다봤다. 한동안 말을 끊었던 선생이 입술을 꽉 깨물며 말했다.

“그런데 어찌 초청하는 날만 잊는다더냐?”

학생들이 박장대소했고, 학생의 얼굴이 붉어졌다.

 

 

중국의 속담은 직접 욕을 하지 않으려 하는 데 묘미가 있다. 불만이 있어도, 화가 나도 막말을 하지는 않는다.

공자의 예를 중시하는 동양에서 어찌 함부로 말을 할까?

사실 권력 때문에 생긴 현상이기도 하다.

황제에게 직언을 해 황제가 기분이라도 상하면 그야말로 경을 친다. 역사에서 잘난 척하는 몇몇이 나섰다가 자신은 물론 집안까지 몰락하는 고초를 격어야 했다.

귀족이 그러니 그 밑에 신분인 평민은 말할 것도 없다. 감히 윗 귀족에게 말을 함부로 했다가는 큰 일이 난다.

하지만 그렇다고 억울한 일을 말을 하지 않을 수 없다. 그래서 중국 우화 속에는 애둘러 상대방의 허점이나 어리석음을 꾸짖는 내용이 많다.

요즘 말 많은 게 정치인들의 막말이다. 황제시대로 돌아가면 없어지려나?

청로 박도영 기자shpark@haidongzhoumo.cm


사회

더보기
중 얄팍한 상술로서 '제로 첨가물' 도마에 올라
‘0’의 저주? 한국에서도 슈가 0, 트랜스지방 0 등 소위 ‘0’상품들이 인기를 끌고 있다. 중국도 마찬가지다. 하지만 최근 이 같은 ‘0’ 상품의 대명사였던 한 간장회사가 여론의 철퇴를 맞았다. 첨가물이 없어 첨가물 ‘0’라던 이 간장에서 중금속 카드뮴이 검출된 탓이다. ‘아니 다른 첨가물도 아니고, 중금속 카드뮴을 첨가하다니!’ 중국 네티즌들은 당연히 분노했다. 일부 네티즌들은 ‘천허0’ 간장이 무첨가 간장이 아니며, ‘천허0’는 단순한 상표명일 뿐이라고 주장하며 소비자들이 이를 무첨가 제품으로 오인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 매체에서 제조사인 천허미업식품주식회사에 취재를 하자, 고객센터 직원은 “‘천허0’는 당사의 등록 상표가 맞다”고 답변했다. 하지만 ‘천허0’가 무첨가를 의미하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명확한 답을 하지 않고 “무첨가 여부는 원재료표를 참고하면 된다”는 입장만 밝혔다. 중국 네티즌들은 ‘천허0’ 간장은 단순한 말장난일 뿐이라고 지적한다. 마치 ‘아내가 들어 있지 않은 아내빵’이나 ‘부부가 없는 부부폐채’처럼 소비자를 혼란스럽게 하는 것이라는 풍자다. 중국 현행법에 따르면 상표의 가장 기본적인 기능은 상품이나 서비스의 출처를 식별하여 소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