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두려워하는 심리 말고, “비상 식품”이 정말 필요하니?

미국의 생필품 사재기 조짐과 관련한 중국 네티즌 반응

 코로나19 공포에 따른 생필품 사재기 조짐과 관련한 보도가 잇따르고 있다.

 

 워싱턴포스트(WP)는 '줄은 길지만, 공급은 부족. 코로나19 카오스로 촉발된 패닉 구매'라는 제목의 기사를 내보냈다.

 

 LA타임스 역시 코스트코 매장을 찾은 손님들이 화장지, 물, 쌀과 통조림과 같은 생필품을 집중적으로 구매했다고 보도했다.

 

 중국 언론에서도 현지 언론의 이 같은 기사를 인용하여 크게 보도했다.

 

 다음은 미국의 생필품 사재기 조짐과 관련한 중국 네티즌 반응이다.

 

 

이 기사는 공포에 질려 물건을 사재기하도록 부추기는 것이 아니라, 어떻게 합리적으로 비상 물품을 준비해야 하는지에 대한 이야기고, 생활 상식을 더해주어 맹목적이고 당황스러운 것을 피하게 해준다고 생각해요.

두려워하는 심리 말고, “비상 식품”이 정말 필요하니? 필요 없어지길 바라.

 

설마 단수되고 정전이 될까? 왜 통조림을 사두려고 하는 거지? 이건 허리케인 등과 같은 자연재해와는 다른데 말이야.

그러게 말이다. 많은 사람이 쌀 열 가마니를 사는데도 집안에는 응급 키트조차 없지...

 

두려운 미국인 (중국계 미국인 포함)이 총을 사고 탄알을 모으고 있지 않니?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를 만들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 즐기기 위한 소비에 주머니를 아낌없이 열고 있다. 중구 매체들은 가오카오 시험이 끝난 직후, 졸업생들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거나 부모에게서 ‘보상 선물’로 최신 스마트기기를 받는 모습이 흔해졌다고 전했다. 일부는 여름방학을 활용해 운전면허를 취득하거나 헬스장에서 체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