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한국인 부부, 코로나19 확진

해외여행 하지 않은 지역 내 감염

해외여행을 하지 않은 80대 부부가 코로나19 감염자로 확인되면서 한국 정부가 비상이다.

이들 부부는 해외여행을 하지 않아 감염 경로가 확인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국내 첫 ‘깜깜이 환자’라는 점에서 감염경로가 밝혀지느냐 마느냐에 따라 향후 방역태세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무엇보다 이들 부부가 접촉한 이들이 100여명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져 방역당국을 긴장시키고 있다.

16일 방역당국과 연합통신 등에 따르면 한국에서 29번째와 30번째 코로나19 환자가 발생했다. 이들은 부부 사이다.

방역당국 관계자는 17일 “남성인 29번째 환자는 15일 가슴통증 등으로 고려대 안암병원 응급실을 찾았다가 확진판정을 받았다”고 밝혔다. 응급실에서 폐의 문제를 발견해 바이러스 감염을 확인하게 된 것이다.

현재 이 환자의 부인 역시 확진판정을 받은 상태다. 이들 부부는 최근 해외 여향을 하지 않았다. 이 경우 이 부부는 지역에서 모르는 사이 감염된 것일 가능성이 크다. 즉 지역감염이 진행되고 있다는 방증이다.

지역 감염이 경로관리가 되지 않으면 대형 감염 사태를 낳을 수 있다.

이에 우리 역시 외국인의 출입국을 잠정 봉쇄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하지만 우리 정부는 중국과의 관계를 고려해 출입 봉쇄조치에는 소극적인 상황이다.

중국은 강력한 봉쇄조치로 코로나에 대응하고 있다.

장하성 주중대사는 “‘친척보다 가까운 이웃이 낫다’는 속담이 있다”며 “중국은 한국의 가까운 이웃이며, 중국의 어려움은 한국의 어려움”이라고 말했다. 장 대사는 “한국은 중국이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에 맞서 싸울 수 있도록 필요한 지원과 협조를 계속할 것”이라며 “중국은 분명히 여려움을 극복하고 더 큰 발전을 이룰 수 있을 것이라고 믿고 있다”고 말했다.

 

 

이원석기자Myphoto@haidongzhoumo.com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