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테슬라 중국서 고속질주

판매량 미국서 39% 감소할 때 중국서 64% 눌어
상하이공장 건설원가 캘리포니아보다 65% 낮아

 

테슬라가 중국에서 고속질주하고 있다. 미국에서 판매량이 39% 줄 때 중국에서는 64% 늘었다. 상하이 공장 건설원가는 캘리포니아보다 65%나 저렴해 테슬라에게 큰 이익을 가져다줄 전망이다.

 

테슬라는 갈수록 중국시장에 의존하고 있다. 테슬라의 미국 내 영업이익은 7월부터 정부 세금보조금이 반감되면서 3분기 전년 동기 대비 39% 감소했지만 중국은 64% 증가했다.

 

연속적으로 적자를 보이고, 시장 가치가 머물러있는 테슬라에게 상하이 신 공장이 매우 중요하다. 테슬라 엘론 머스크(Elon Musk) CEO는 "중국 공장이 테슬라 총 생산액을 3배로 늘어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향후 테슬라의 성장 모델도 될 것이다"고 말했다.

 

테슬라의 올해 3분기 중국 시장 점유율이 12.43%에 달해 안착하고 있다는 평가다.

 

사실상 어떤 신에너지 차 브랜드도 전기자동차 시장에서 중국의 지위를 무시할 수 없다. EV-볼륨 데이터에 따르면 2019년 상반기 전 세계 전기자동차 총 판매량은 약 113만4000대인데, 이 중 중국이 64만5000대를 판매해 전 세계 시장의 57%를 차지했다. 판매대수는 물론 증가속도도 2018년 대비 66%를 성장해, 2017년 같은 기간에 비해 100만대 가까이 급증한 놀라운 수준이다. 중국의 신에너지 차 판매 대수는 4년 연속 세계 시장 점유율 1위다.

 

테슬라에게 상하이 공장이 가져다주는 혜택은 세금뿐만이 아니다. 상하이 슈퍼 공장의 건설 원가는 미국 캘리포니아의 슈퍼 공장보다 65% 낮다. 완성차의 생산원가도 낮아져, 테슬라는 적지 않은 중국 내 공급처를 선택했다.


사회

더보기
중 얄팍한 상술로서 '제로 첨가물' 도마에 올라
‘0’의 저주? 한국에서도 슈가 0, 트랜스지방 0 등 소위 ‘0’상품들이 인기를 끌고 있다. 중국도 마찬가지다. 하지만 최근 이 같은 ‘0’ 상품의 대명사였던 한 간장회사가 여론의 철퇴를 맞았다. 첨가물이 없어 첨가물 ‘0’라던 이 간장에서 중금속 카드뮴이 검출된 탓이다. ‘아니 다른 첨가물도 아니고, 중금속 카드뮴을 첨가하다니!’ 중국 네티즌들은 당연히 분노했다. 일부 네티즌들은 ‘천허0’ 간장이 무첨가 간장이 아니며, ‘천허0’는 단순한 상표명일 뿐이라고 주장하며 소비자들이 이를 무첨가 제품으로 오인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 매체에서 제조사인 천허미업식품주식회사에 취재를 하자, 고객센터 직원은 “‘천허0’는 당사의 등록 상표가 맞다”고 답변했다. 하지만 ‘천허0’가 무첨가를 의미하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명확한 답을 하지 않고 “무첨가 여부는 원재료표를 참고하면 된다”는 입장만 밝혔다. 중국 네티즌들은 ‘천허0’ 간장은 단순한 말장난일 뿐이라고 지적한다. 마치 ‘아내가 들어 있지 않은 아내빵’이나 ‘부부가 없는 부부폐채’처럼 소비자를 혼란스럽게 하는 것이라는 풍자다. 중국 현행법에 따르면 상표의 가장 기본적인 기능은 상품이나 서비스의 출처를 식별하여 소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