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메모리 반도체 한국 추격 시작

마이크론 M&A 실패로 독자 개발로 선회

 

중국이 미국 마이크론 테크롤로지 인수합병에 실패하면서 메모리 반도체 독자 개발에 본격적으로 나섰다. 메모리 반도체 분야에서 한국이 절대적으로 앞서고 있는데, 추격을 할 수 있는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중국 대륙 매체가 28에 '최근에 중국 반도체 업체가 D램과 3D 낸드를 포함한 국산 메모리를 발전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앞서 중국의 자광그룹이 230억달러를 투입해 미국 반도체 업체 마이크론 테크놀러지(Micron Technology)를 인수합병하려고 했지만 실패함으로써 중국이 자기 힘으로 한국을 추격할 수 밖에 없게 됐다.

 

메모리는 전자 시스템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로서 반도체 총 시장규모의 3분의 1을 차지하고 있다. 중국 시장은 전 세계 D램 생산액의 48%와 전 세계 낸드 플래시 생산액의 35%를 소모해, 연 수입 총 액이 880억 달러로 해외 의존도가 90% 초과한 것으로 집계됐다.

 

중국 업체에 중소 용량의 메모리칩 수요 확대는 하나의 기회다. 사물인터넷과 스마트 단말기가 빠른 속도로 성장하면서 중소 용량 메모리칩에 대한 수요가 계속 확대돼 중국 메모리 업계는 중소용량 메모리칩부터 시작해 고가용성 메모리칩으로 도약할 수 있게 됐다.

 

D램과 3D낸드는 중국 시장 수요량이 가장 많은 칩 종류로, 이 핵심 기술은 구입하기 매우 어렵다. 미국은 푸졘 진화, 화웨이 등 기업을 블랙리스트에 올려 중국이 이 칩 기술을 발전하는 것을 막고 있다.

 

D램의 대량생산은 생산라인의 품질 통제와 지속적인 투자, 생산 능력 확대가 관건이며 결국 수량과 가격에서 이긴다. 중국은 막대한 시장과 정부의 집적회로 펀드 지원이 있는데, 어려움은 생산능력의 지속력, 그리고 메모리의 하강 주기에서 버틸 수 있는가에 달려 있다.

 

2분기 D램은 삼성이 45%, 하이닉스는 29%를 차지하고 있고, 낸드플래시에는 삼성이 35%, 하이닉스가 18%를 차지할 정도로 한국이 글로벌 메모리 시장을 독점하고 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를 만들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 즐기기 위한 소비에 주머니를 아낌없이 열고 있다. 중구 매체들은 가오카오 시험이 끝난 직후, 졸업생들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거나 부모에게서 ‘보상 선물’로 최신 스마트기기를 받는 모습이 흔해졌다고 전했다. 일부는 여름방학을 활용해 운전면허를 취득하거나 헬스장에서 체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