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비트코인이 달러·금을 대체할 수 있을까

별도 결제 필요없어 편리…각국 중앙은행은 인정 안 해

비트코인에 대한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다. 2008년 10월 세상에 선보일 때만해도 ‘단순한 디지털 코드’에 불과했지만 11년이 지난 지금에는 화페는 아니더라도 자산이나 상품으로 취급을 받는 단계에 이르렀다.

 

일각에서는 비트코인의 익명성과 편리성 등으로 조만간 달러 지위를 넘볼 것이라는 전망이지만 각국 중앙은행은 그럴 일을 없을 것이라는 견해다. 많은 비판에도 불구하고 ‘시대의 코드’가 된 비트코인의 미래가 주목된다.

 

 

비트코인 지지자이자 진행자인 맥스 키이저는 7일 별도의 결제가 필요없기 때문에 비트코인이 법정 통화와 금을 대체할 것이라고 말했다.

 

맥스 키이저는 카이저 리포트(Keizer Repor)에 다른 형태의 거래는 결제 시간이 필요한데 비트코인은 필요하지 않다고 말했다. 비트코인 네트워크에서는 거래와 결제가 밀접하기 때문이다. 지갑 사이를 비트코인으로 이동한다는 것은 단지 원장을 갱신하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광부들이 거래를 확인할 때 즉시 결제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지폐든 황금이든 결제 시간이 필요하다. 비트코인의 특별한 점은 자체결제, 즉 거래가 곧 결제된다는 것이다. 거래가 성사될 때 결제도 같이 된다.

그가 이 발언을 정리한 배경은 각국 정부가 종이 법정통화와 자국 통화의 디지털 버전을 검토하기 시작했고, 각국 중앙은행은 유럽 중앙은행을 포함해 중앙은행의 디지털 화폐 발행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기 때문이다.

비록 디지털 거래는 원가와 결제 시간을 줄일 수 있지만 이러한 통화의 법정 통화 시스템과의 관련은 궁극적으로 그것들을 정치적 도구로 만들고 검열 제도와 다른 중앙화 문제들의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카이저는 암호화폐의 철저한 금지를 계속하고 있는 미국 민주당 하원의원인 브래드 셔먼(Brad Sherman)을 강하게 비판했다. 그는 달러 헤게모니에 도전하고자 하는 다른 정부들이 대조 특화의 제한을 개방하고 비트코인을 비축의 일부로 만들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사회

더보기
중 얄팍한 상술로서 '제로 첨가물' 도마에 올라
‘0’의 저주? 한국에서도 슈가 0, 트랜스지방 0 등 소위 ‘0’상품들이 인기를 끌고 있다. 중국도 마찬가지다. 하지만 최근 이 같은 ‘0’ 상품의 대명사였던 한 간장회사가 여론의 철퇴를 맞았다. 첨가물이 없어 첨가물 ‘0’라던 이 간장에서 중금속 카드뮴이 검출된 탓이다. ‘아니 다른 첨가물도 아니고, 중금속 카드뮴을 첨가하다니!’ 중국 네티즌들은 당연히 분노했다. 일부 네티즌들은 ‘천허0’ 간장이 무첨가 간장이 아니며, ‘천허0’는 단순한 상표명일 뿐이라고 주장하며 소비자들이 이를 무첨가 제품으로 오인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 매체에서 제조사인 천허미업식품주식회사에 취재를 하자, 고객센터 직원은 “‘천허0’는 당사의 등록 상표가 맞다”고 답변했다. 하지만 ‘천허0’가 무첨가를 의미하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명확한 답을 하지 않고 “무첨가 여부는 원재료표를 참고하면 된다”는 입장만 밝혔다. 중국 네티즌들은 ‘천허0’ 간장은 단순한 말장난일 뿐이라고 지적한다. 마치 ‘아내가 들어 있지 않은 아내빵’이나 ‘부부가 없는 부부폐채’처럼 소비자를 혼란스럽게 하는 것이라는 풍자다. 중국 현행법에 따르면 상표의 가장 기본적인 기능은 상품이나 서비스의 출처를 식별하여 소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