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이제는 짧은 동영상 어플이 대세

구글, 파이어웍스 인수 검토…페북은 라소 보급

기술이 발전하면서 플랫폼도 변화하고 있다. 인터넷 초기에는 구글과 야후, 네이버 등 포털이 대세를 이루었지만 그후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이 시장을 휩쓸었다. 최근에는 짧은 동영상 플랫폼이 뜨면서 구글 등 거대 플랫폼 사업자들이 인수합병을 추진하고 있다. 


 ‘틱톡(TikTok)’ 등 짧은 동영상 어플리케이션 경쟁이 치열해 지면서 구글이 ‘파이어웍스’ 인수를 검토하고 있다. 페이스북도 멕시코 등  해외 시장을 적극 공략하기 위해 자사 동영상 프로그램인 라소(Lasso)를 보급하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은 6일 짧은 동영상 어플리케이션 시장이 폭풍전야라고 보도했다. 틱톡은 미국과 일본을 포함한 시장 입지를 굳히면서 전 세계 곳곳의 젊은이들을 열광시키고 있다.
  틱톡은 2018년 7월 전 세계 월 5억명이 넘는 가입자를 기록했다. 국제 어플리케이션 시장 연구 기관인 센서타워(Sensor Tower) 집계결과 틱톡이 2019년 9월 미국 애플앱스토어의 상위권을 지속적으로 차지하고 있다. 
 지난 6월 틱톡 및 해외판 틱톡은 애플과 안드로이드 앱스토어 내에서 전 세계 구매액 1080만달러를 달성하여 사상최대의 누적 구매액을 기록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160만달러보다 588%, 전월 대비 19% 는 수치다.
 업계에서는 틱톡 자체를 유지하면서도 현지화 수요에 맞춰 미세조정을 한 것이 주효했다고 분석한다. 실제로 틱톡이 빠르게 대세가 되고 페이스북이나 인스타그램 등 소셜 플랫폼과 정면 승부를 벌일 수 있는 기세는 모기업 바이트의 자본과 운영의 덕분이다. 
 페이스북은 2018년 11월 미국에서 라소를 출시했는데, 사용자들은 이를 이용해 15초 동안 공유된 짧은 동영상을 만들 수 있다. 많은 사람이 틱톡의 리메이크라고 생각하며, 페이스북은 이를 통해 계속해서 빠져나가는 이용자를 다시 끌어들이고 노력하고 있다. 
 구글은 틱톡의 커져가는 영향력에 맞서 동영상 제작 및 공유를 검토하고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이 5일 보도했다. 파이어웍스는 자신의 목표를 소셜 모바일 TV의 미래로 설정했는데, 올해 초 시가총액 1억달러를 돌파했다. 
 마크 엘리엇 저커버그 페이스북 CEO는 틱톡이 미국에서 호황을 누리기 시작하면서 인도 등에서 급성장한 점을 주목하며 중국의 기술 대기업이 전 세계에서 최초로 성공할 수 있는 인터넷 서비스이라고 평가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를 만들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 즐기기 위한 소비에 주머니를 아낌없이 열고 있다. 중구 매체들은 가오카오 시험이 끝난 직후, 졸업생들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거나 부모에게서 ‘보상 선물’로 최신 스마트기기를 받는 모습이 흔해졌다고 전했다. 일부는 여름방학을 활용해 운전면허를 취득하거나 헬스장에서 체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