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쑤닝닷컴, 까루푸차이나 지분 80% 인수 완료

각종 규제로 중국에서 사업은 쉽지 않다. 특히 대형유통 사업은 무덤이다. 이마트와 롯데마트가 철수한데 이어 중국에서 확고히 뿌리내린 것으로 알려진 까르푸도 철수를 선언했다. 까르푸를 인수한 쑤닝은 환호성를 올렸지만 중국에서 철수하는 외국계 유통업체는 그야말로 입맛이 쓸수 밖에 없다.   

 

쑤닝닷컴(Suning.com·苏宁易购)이 3개월여 만에 까르푸차이나를 인수를 완료했다.
쑤닝은 지난달 27일 까르푸차이나의 중국 지분 인수 절차를 완료했다고 공시했다.
 
이에 앞서 쑤닝은 23일 까르푸의 중국 지분 80%를 현금 48억위안과 유로화로 인수하겠다고 공시했다. 쑤닝은 디아차이나와 완다(万达)백화점 등을 인수한 데 이어 까르푸도 인수했다. 쑤닝은 최근 몇 년간 오프라인 소매시장 공략을 가속화하고 있다.
  
장근동(張近東) 수닌 바우처 그룹 회장은 “까르푸의 일상 소비재 판매 경험과 공급 사슬 능력은 쑤닝의 물류 배송 네트워크, 기술력과 유기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며 “쑤닝은 까르푸 매장을 전면 디지털화하고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 어우러지는 슈퍼마켓을 구축해 고급화된 소비 수요를 더 잘 충족시킬 수 있는 능력을 갖출 것”이라고 말했다.
 
24년 전 중국 시장에 정식 진출한 까르푸는 현재 국내에 210개의 대형 종합마트와 24개의 편의점을 개설해 22개 성 및 51개 중대형 도시를 커버하고 있다. 회원은 약 3000만명, 중국 영업이익입은 300억위안에 육박했다.
 
업계에서는 쑤닝의 까르푸 중국 인수가 중국 소매 판매의 새 출발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여러 금융 기관도 이번 인수에 따른  시너지와 효율성 제고를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 중신증권(中信证券)은 까르푸 인수는 쑤닝의 공급사슬, 물류 등 각각의 경계를 허물고, 매장 생태계 전반의 소매 구성를 추진한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보고 있다.


사회

더보기
소비자 거부에도 광고 문자 보낸 공연장 법적 재제 받아
중국에서 소비자가 분명히 거부의사를 밝혔음에도 1년이상 지속적으로 광고 문자를 보낸 문화단체가 법적 제재를 받게 됐다. 최근 중국 펑파이신문에 따르면 조웨(가명)은 자신이 산시대극장에서 공연을 관람한 이후 1년 넘게 다양한 가상의 전화번호로부터 공연 홍보 문자 메시지를 지속적으로 받아와 이를 신고하고 민사소송도 제기했다고 밝혔다. 현재 1심 법원은 공식 사과하라 판결한 상태다. 지난 1년간 조웨는 수신 거부 의사를 밝히고 관련 번호를 차단했음에도 불구하고, 스팸 메시지는 계속 이어졌다고 주장했다. 조웨는 자신이 산시대극장에 정보 수신을 위임하거나 구독한 적이 없다고 강조하며, 극장의 행위는 시민의 개인정보 및 프라이버시 권리를 침해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12315 소비자신고센터에 신고하고 경찰에 보호 요청을 했으나 별다른 성과를 얻지 못하자, 조웨는 민사소송을 제기했다. 2025년 5월 26일, 허베이성 스자좡시 차오시구 인민법원은 본 사건에 대해 1심 판결을 내렸다. 판결에 따라 산시폴리대극장관리유한회사(이하 ‘산시폴리대극장’) 및 마케팅 문자를 발송한 3개 기업은 조웨에게 홍보 문자를 발송하는 행위를 중단하고, 서면으로 사과해야 한다고 명령받았다. 202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