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국내 면세업계, 최대 매출 기록했지만 실속은 중국이?

국내 면세업계는 지난해부터 올해 1~2월까지 사상 최대 매출을 기록한 것으로 전해졌다. 하지만 정작 중국이 이득을 챙기고 있어 실속 없다는 지적이 나왔다.

 

11일 면세업계 등에 따르면 면세업계가 주 고객인 중국 ‘다이궁(보따리상)’을 유치하기 위해 판매액의 30%가량을 중국 여행업체 등에 수수료로 지급하고 있어 최대 매출과 다르게 정작 실속을 못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여행업체에 손님을 보내주는 대가로 구매액의 20% 안팎을 송객 수수료로 지불하며, 여기에 상품을 구매한 고객에게 구매액의 10%에 해당하는 금액이 들어있는 선불카드까지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합쳐 구매액의 30%가 중국인에게 돌아가는 것이다.

 

현금처럼 사용할 수 있는 선불카드 발급 경쟁은 시장 속에서 굉장히 치열하게 이뤄지고 있다. 시장점유율 40%를 차지하는 롯데면세점은 지난달부터 선불카드를 제공하는 프로모션을 시작했고, 2~3위인 신라와 신세계면세점도 각각 선불카드 발급 공세에 나선 것으로 전해졌다.

 

선불카드의 혜택은 구매 금액이 많을수록 높아진다. 가령 3,000 달러(약 343만 원) 이상을 지불하면 40만 원 카드가 제공되는 식. 이런 획기적인 혜택은 업계에 부과되는 부담에도 불구하고 지난해 사상 최대 면세점 매출 기록인 18조 9,600억 원 중 60% 이상을 중국 보따리상에서 나오면서 더욱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중국 보따리상은 주한미군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배치에 대한 보복으로 중국 단체 관광객의 한국 방문이 제한되면서 그 빈자리를 채우기 시작한 것으로 나타났다.

 

면세업계 관계자는 “현재 국내 면세업계 상황은 마치 재주는 곰이 부리고 돈은 왕 서방이 버는 격”이라며 “중국 보따리상 유치를 위한 과열경쟁으로 국내 면세업계 전체가 손해를 보고 결국 국부가 중국으로 유출되는 결과를 낳고 있다”고 비판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