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관광지로 변화하는 인천공항

인천공항이 새로워졌다. 자체가 하나의 관광지 역할을 하는 것이다.

소위공항놀이라는 말까지 나올 정도다.

인천국제공항에 따르면 여객터미널에 배치된 인공지능 안내로봇에어스타 터치스크린을 통해 공항 이용객이 정보를 안내받고 있다.

(160) 로봇은 탑승시각을 확인하고는 영화관 공항 시설들을 안내해 준다.

인천국제공항은 인천 용유도·영종도 사이 바다를 매립해 지었다. 1·2 여객터미널이 들어선 공항 크기는 여의도의 6.6배이고, 2001 개항 1454만명이던 이용객은 올해 6800만명으로 예상된다.

인천국제공항 1터미널 중앙 1 밀레니엄홀에 길이 10m, 높이 27m 미디어타워가 설치돼 지구의 아름다운 풍경 다양한 동영상을 내보내고 있다.

공항철도 1여객터미널 인천국제공항역에서 내리면 교통센터 지하 1층에 CGV 영화관이 있다. 개봉관인 영화관은 1 97, 2 148석이다. 출국까지 여유 있는 여행객들이 시간을 보내기에 적당하다.

1터미널 지하 1 동편에는 휴식공간을 갖춘 사우나·찜질방스파온 에어 있다. 820크기의 시설은 동시에 130여명을 수용할 있으며 24시간 운영된다.

인천공항에는 국내 최초의 초소형 캡슐호텔이 있다. 1터미널 교통센터 1층과 2터미널 지하 1층에 60실씩 모두 120실이다. 1인실 6.28(1.9), 2인실 9.57(2.9) 캡슐호텔은 환승객이나 여행객들이 공항 의자나 바닥에서 쪽잠을 자는 불편을 덜어주기 위해 설치됐다.

냉난방은 물론 와이파이도 무료로 이용할 있다. 요금은 3시간 기준 1인실은 23100(시간당 7700), 2인실은 31500(시간당 1500)이다. 샤워룸이 있는 1인실은 26400, 2인실은 36000원이다. 요금을 시간제로 받아 기본요금에 1시간당 4000원의 추가 요금을 내면 된다.

2터미널 여객들의 출입국 동선에는 각종 조각품과 모빌, 조형물이 설치돼 있다. 작품 하나에 수억원 이상인 것도 있다. 승용차를 타고 2터미널에 진입하다 보면 높이 18m 남녀가 간편한 복장으로 여행을 떠나는 조각품하늘을 걷다 만난다.

2터미널 정면 입구에 설치된 길이 100m, 높이 7m 미디어아트는세계의 자연 각종 영상을 보여준다. 3 출국장 ·서편 천장에는 프랑스 현대미술을 대표하는 그자비에 베이앙의 설치미술품 ‘Great Mobile’ 있다.


사회

더보기
중 얄팍한 상술로서 '제로 첨가물' 도마에 올라
‘0’의 저주? 한국에서도 슈가 0, 트랜스지방 0 등 소위 ‘0’상품들이 인기를 끌고 있다. 중국도 마찬가지다. 하지만 최근 이 같은 ‘0’ 상품의 대명사였던 한 간장회사가 여론의 철퇴를 맞았다. 첨가물이 없어 첨가물 ‘0’라던 이 간장에서 중금속 카드뮴이 검출된 탓이다. ‘아니 다른 첨가물도 아니고, 중금속 카드뮴을 첨가하다니!’ 중국 네티즌들은 당연히 분노했다. 일부 네티즌들은 ‘천허0’ 간장이 무첨가 간장이 아니며, ‘천허0’는 단순한 상표명일 뿐이라고 주장하며 소비자들이 이를 무첨가 제품으로 오인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 매체에서 제조사인 천허미업식품주식회사에 취재를 하자, 고객센터 직원은 “‘천허0’는 당사의 등록 상표가 맞다”고 답변했다. 하지만 ‘천허0’가 무첨가를 의미하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명확한 답을 하지 않고 “무첨가 여부는 원재료표를 참고하면 된다”는 입장만 밝혔다. 중국 네티즌들은 ‘천허0’ 간장은 단순한 말장난일 뿐이라고 지적한다. 마치 ‘아내가 들어 있지 않은 아내빵’이나 ‘부부가 없는 부부폐채’처럼 소비자를 혼란스럽게 하는 것이라는 풍자다. 중국 현행법에 따르면 상표의 가장 기본적인 기능은 상품이나 서비스의 출처를 식별하여 소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