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킬로그램(kg)의 새로운 정의

@뉴스원

 


질량의 단위인 '킬로그램'()의 정의가 새롭게 바뀌었다. 전류, 온도, 물질의 양 단위인 '암페어'(A), '켈빈'(K), ''(mol)에 대한 정의도 이날 함께 개정됐다. 새 정의는 세계측정의 날인 내년 5 20일부터 산업계 및 학계에서 공식적으로 사용될 예정이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은 이날 프랑스 베르사유에서 열린 제26차 국제도량형총회(CGPM)에서 국제단위계(SI) 기본단위 7개 중 4개 단위의 재정의를 의결했다고 밝혔다. 국제사회는 '기준'이 되는 단위가 변하는 점을 보완하기 위해 지금껏 사용해온 4개 단위를 재정의키로 합의했다.


가령 킬로그램의 경우 1889년 백금(90%)과 이리듐(10%) 합금으로 만든 '국제 킬로그램 원기(原器)'의 질량으로 이를 정의해 왔다. 그러나 약 130년이 지난 현재 원기의 질량이 50마이크로그램() 변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반응성이 낮은 백금이라도 공기와 반응하거나 이물질이 묻는 등 시간이 흐르며 생기는 변화를 피할 수 없었던 것이다.


이에 이번 도량형 총회에서 국제사회는 언제든 변할 수 있는 '물체' 대신, 영원히 변치 않는 '상수'로 기본단위를 재정의키로 합의했다. 우선 킬로그램의 재정의에는 기본 물리상수 중 하나인 '플랑크상수'를 이용키로 했다. 플랑크상수는 빛 에너지와 파장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는 양자역학 상수다. 온도에는 볼츠만 상수를, 물질의 양은 '아보가드로 상수', 전류는 '기본 전하'를 정의에 쓰기로 했다. 이들 상수값은 여러 실험을 통해 결정한 것이다.


이번 단위 재정의가 제약이나 화학 등 연구 및 산업 분야의 정밀도를 높이는 데는 기여하지만 일상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게 표준연의 설명이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