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할리우드가 사랑하는 韓國계 배우들

@뉴스원

 

 

할리우드에서 아시안 붐이 일고 있다. 영화 <크레이지 리치 아시안>부터 <서치>까지, 아시아계 배우들을 주연으로 내세운 작품들이 잇따라 흥행을 거두면서 작품만큼이나, 한국계 배우들도 조명을 받게 됐다. 아시아계 및 한국계 배우들의 역할이 확대되고 기존의 전형적인 아시아인 캐릭터에서 탈피한 변화가 불러온 고무적인 결과다.

 

현재 아시안 붐을 이끌고 있는 대표적 한국계 배우 중 한 명으로는 존 조(46)가 꼽히고 있다. 존 조는 지난 1972년 한국에서 태어나 6세 당시 미국으로 이민간 한국계 미국인으로 <아메리칸 파이>, <해롤드와 쿠마>, <스타트렉 시리즈>, <콜럼버스> 등 다수 할리우드 영화에 출연했다. 그의 대표 흥행작은 단연 <서치>. <서치>는 부재 중 전화 3통만을 남기고 사라진 딸의 SNS 흔적을 통해 행방을 찾기 시작한 아빠가 발견한 뜻밖의 진실을 그린 추적 스릴러로 지난 9월 국내 극장가에서 개봉해 흥행에 성공했다. 미국에서는 지난 8 24일 제한 개봉 이후 상영관을 점차 확대해갔고 박스오피스 상위권에 랭크되기도 했다. 한국계 미국인 가정을 주인공으로 한 영화로 이례적으로 관심을 받은 작품이었다.

 

배우 수현도 영화 <어벤져스: 에이지 오브 울트론>(이하 <어벤져스2>)서 닥터 조 역을 맡은 후 오는 1114일 영화 <신비한 동물들과 그린델왈드의 범죄>(이하 <신동사2>)개봉을 앞두고 있다. <신동사2> '해리포터' 시리즈의 스핀오프인 '신비한 동물사전'을 영화화한 작품으로 수현은 내기니 역을 맡았다. 내기니는 '해리포터' 시리즈 속 가장 강력한 어둠의 마법사 볼드모트가 키우는 뱀이자 그를 죽이기 위해 파괴해야 하는 호크룩스 중 하나다. 한국 국적의 수현은 <신동사2>를 통해 <어벤져스2>에 이어 할리우드의 주목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앞서 공개된 <신동사2> 트레일러에서도 거대한 뱀으로 변하는 장면으로 강렬한 인상을 남겼던 바, 본 편에서는 어떤 존재감을 보여줄지 이목이 집중된다.

 

이밖에도 스티브 연은 봉준호 감독의 영화 <옥자>와 이창동 감독의 영화 <버닝>으로 국내 관객들에도 친숙한 한국계 미국인 배우다. 국내 영화에 출연하기 전 미국 드라마 <빅뱅 이론3>에서 세바스찬 역으로, <워킹 데드> 시리즈에서 글렌 리 역으로 얼굴을 알렸다.

 

한국계 미국인 배우 이기홍은 지난 2010년 드라마 <빅토리어스> 시즌 1으로 데뷔해 영화 <메이즈 러너> 시리즈의 민호역할로 유명해졌다. 국내에서는 영화 <특별시민>에서 서울시장 후보 양진주(라미란 분) 의원의 아들 스티브 역으로 출연하기도 했다. 내년 상반기 방송 예정인 국내 드라마 <프로메테우스>에도 출연을 확정 지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