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한국 근현대 문학사 연구 큰 족적 김윤식 교수 별세

@뉴스원

 


국문학 연구 대가이자 1세대 문학평론가로 잘 알려진 김윤식 서울대 국어국문학과 명예교수가 25일 오후 730분 숙환으로 별세했다. 향년 82.


고인은 평생 한국문학 역사를 연구하며 '한국문학의 산증인'으로 불릴 정도로 큰 족적을 남겼다. 한국문학 연구의 기틀을 닦았으며 학술서, 비평서, 산문집, 번역서 등 총 200여권에 달하는 저서를 펴냈다.


1936년 경남 김해군 진영읍 사산리에서 태어난 고인은 서울대 사범대 국어과를 졸업하고 서울대 국어국문학과에서 전임강사와 조교수, 부교수, 교수로 30여년간 후학을 양성했다. 1962 '현대문학'을 통해 평론가로 등단한 뒤로는 팔순이 넘은 나이까지 수십년간 쉬지 않고 문예지에 발표된 거의 모든 소설 작품을 읽고 월평을 쓸 정도로 한국문학에 애정을 쏟았다. 그는 병석에 눕기 전까지도 문예지들에 실린 단편을 비평하는 등 신인 작가들에게도 관심을 기울였다. 특히 이광수를 비롯해 임화, 김동인, 이상, 염상섭, 김동리 등 한국 문학 주요 작가들의 삶을 추적하고 당시 시대를 탐구한 평전을 남겼다.


2000년에는 이듬해 교수 정년퇴임을 기념해 저서들의 서문을 모은 '김윤식 서문집'을 출간하기도 했다. 이러한 공로를 인정받아 2001년에는 대한민국황조근정훈장, 2016년에는 은관문화훈장을 받았다. 또 한국문학 작가상, 대한민국문화상, 김환태평론문학상, 팔봉비평문학상, 편운문학상, 요산문학상, 대산문학상, 만해대상(학술 부문), 청마문학상을수상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