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무단 주차가 사라진 이유는?

 말 한마디로 천냥 빚을 갚는다. 한국 속담이다. 사람과 사람 간의 일은 모든 게 말로 이뤄진다. 말이 그만큼 중요하다는 의미다. 

 같은 말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결과가 달라진다. 듣는 사람이 이해하는 정도, 그에 반응하는 정도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다음 이야기는 경고문에 대한 이야기다.

 오토바이와 자전거를 많이 타는 중국이나 베트남은 식당 주변마다 허락없이 세워놓은 오토바이 자전거들이 언제나 골치다.

 이럴  필요한 경고문이다. 한국에도 비슷한 문제로 고민하던 건물주가 있었다.

 건물주는 경고문을 내걸었다. “주차금지”. 그런데 누가 신경을 쓸까? 자전거, 오토바이 주인들은 이미 주차를 하면 안된다는 것을 알고도 하는 것인데…

 역시나 건물주가 경고문에서 달래도 보고, 협박도 했다. 하지만 이 무단 주차 자전거, 오토바이 행렬은 끊이지 않았다.

 어떻게 하면 과연 이들 무단 주차하는 자전거, 오토바이를 금지시킬 수 있을까?

 이럴  필요한 지혜다. 어느 날 좋은 아이디어가 생각났다. 이 경고문을 내걸자 자전거 오토바이 주차가 싹 사라졌다. 뭘까?

“여기 자전거 오토바이 버리는 , 누구나 공짜로 가져갈 수 있습니다.”

 

                                                                                                            김샛별 기자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