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한국 3월 수출 첫 500억 달러 돌파

 

3월 수출이 조업일수 감소(-0.5)에도 전년 같은 기간 대비 6.1%% 늘면서 역대 처음으로 500억 달러를 돌파했다.

수출은 17개월 연속 증가세를 실현했다.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한 '3월 수출입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수출액(통관 기준) 5158000만달러, 수입은 4472000만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6.1%, 5.0% 늘었다. 수출액에서 수입액을 뺀 무역수지는 687000만달러로 74개월 연속 흑자를 이어갔다.

 

 

이로써 우리 수출은 2016 11 2.3% 성장하며 반등한 이후 17개월 연속 증가세를 유지했다. 조업일수 감소 요인을 배제한 3월 일평균 수출로는 전년 동기 대비 8.3% 증가한 219000만달러로, 역대 3월 기준 일평균 수출 중 최대 실적을 보였다.

산업부는 "3월 수출액 중 500억달러 이상의 실적을 보인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며 "조업일수 0.5일 감소에도 불구하고 제조업 경기 호조에 따른 교역 증가, IT경기 호황 지속, 유가 및 주력품목 단가 상승 영향"이라고 평가했다.

1~3월을 합친 1분기 수출도 10.3% 증가해 2016 4분기부터 6분기 연속 증가세를 보였다.

품목별로 수출 주력품목 13개 중에 7(반도체·컴퓨터·석유화학·석유제품·일반기계·철강·섬유) 품목이 증가세를 보였다. 이 중에 반도체는 전년 동기 대비 44.2% 증가한 108억달러로 단일 품목 월간 수출액 처음으로 100억달러를 돌파했다. 국내 총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9%로 반도체 쏠림현상은 여전했다.

컴퓨터 수출액은 106000만달러(62.5%)로 사상 처음 10억달러를 돌파했고, 일반기계는 글로벌 경기호조에 따른 건설 인프라 투자 확대에 힘입어 사상 최대인 473000만달러(6.1%)를 기록했다.

최근 미국의 고율 관세 부가 논란으로 관심을 받은 철강 품목은 글로벌 수입규제 확산에도 불구하고 국제 철강단가 상승 효과로 인해 6.3% 오른 277000만달러를 기록했다.

하지만 자동차(-8.6%)·차부품(-11.1%)·무선통신기기(-15.5%)·디스플레이(-16.5%)·가전(-22.0%)·선박(-31.0%) 6개 품목 수출은 감소했다. 글로벌 경쟁 심화에 따른 판매 부진, 해외생산 확대 영향 탓이다.

지역별로 수출은 유럽연합(EU)과 중국, 일본, 아세안 지역에서 선전했다. 특히 중국(1359000만달러·16.6%)과 아세안(858000만달러·2.2%) 수출은 역대 3월 수출 중 최대 실적 기록을 기록했다.

 

강지현 기자 


 


사회

더보기
소비자 거부에도 광고 문자 보낸 공연장 법적 재제 받아
중국에서 소비자가 분명히 거부의사를 밝혔음에도 1년이상 지속적으로 광고 문자를 보낸 문화단체가 법적 제재를 받게 됐다. 최근 중국 펑파이신문에 따르면 조웨(가명)은 자신이 산시대극장에서 공연을 관람한 이후 1년 넘게 다양한 가상의 전화번호로부터 공연 홍보 문자 메시지를 지속적으로 받아와 이를 신고하고 민사소송도 제기했다고 밝혔다. 현재 1심 법원은 공식 사과하라 판결한 상태다. 지난 1년간 조웨는 수신 거부 의사를 밝히고 관련 번호를 차단했음에도 불구하고, 스팸 메시지는 계속 이어졌다고 주장했다. 조웨는 자신이 산시대극장에 정보 수신을 위임하거나 구독한 적이 없다고 강조하며, 극장의 행위는 시민의 개인정보 및 프라이버시 권리를 침해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12315 소비자신고센터에 신고하고 경찰에 보호 요청을 했으나 별다른 성과를 얻지 못하자, 조웨는 민사소송을 제기했다. 2025년 5월 26일, 허베이성 스자좡시 차오시구 인민법원은 본 사건에 대해 1심 판결을 내렸다. 판결에 따라 산시폴리대극장관리유한회사(이하 ‘산시폴리대극장’) 및 마케팅 문자를 발송한 3개 기업은 조웨에게 홍보 문자를 발송하는 행위를 중단하고, 서면으로 사과해야 한다고 명령받았다. 202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