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동의 5일 자 [오늘의 중국]입니다.
미중 무역전 2회전 이젠 펀치를 주고받았다.
미중 무역전이 2회전으로 접어들었습니다. 1회전에 쨉이었다면 2회전은 강한 주먹의 교환이었습니다.
미국은 중국이 미래 발전을 위해 추구하는 산업들을 대상으로,
중국은 대두와 자동차 등 트럼프 대통령의 지지 기반 산업 위주로 타격을 주는 조치를 취했습니다.
미국 쭉 뻗은 스트레이트 펀치였다면 중국은 아래서 꺾어 미국의 턱을 노리는 어퍼컷이었습니다.
미국 기업들에게 "아프면 너희가 가서 말려라"라는 향후 차도살인계 효과까지 노린 수법입니다.
중국이 사 드문 제때 우리에게 쓴 수법입니다. 과연 같은 효과를 낼지 주목됩니다.
환추스바오环球时报는 "강펀치로 반격, 미국 아프면 반성 좀 해봐"라고 했습니다.
미중 무역전, 아직 탐색전이다, 진짜는 아직 시작도 안 했다.
둬웨이多维가 외신 종합으로 각국 전문가들 분석을 전했습니다.
이들은 미중 무역전이 아직 탐색전 단계라고 봤습니다. 진짜는 둘 다 아직 아니라고 합니다.
일본, 미중 무역전 와중 미국에 대한 신뢰 점차 상실
미국 뉴욕타임스는 트럼프의 이랬다저랬다 외교 탓에 미중 무역전도 승리하기 힘들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실제 일본이 점차 미국에 대한 신뢰를 상실하고 있다고 보쉰博讯이 외신을 인용해 전했습니다.
중국 일대일로 공사로 해당 지역 강의 생태계 변동 생겨
중국의 일대일로 공사가 중앙아시아와 중국 변경에 집중돼 진행 중입니다.
보쉰에 따르면 공사로 인해 지역 강의 생태계가 파괴되고 있다고 합니다.
중국 지방정부 기관지, 당 기관지 런민르바오에게 반발?
무슨 일일까요?
중국 간쑤甘肃성 당 기관지가 런민르바오 산하 SNS의 비판에 크게 반발해 주목됩니다.
지역 도로 공사 부실한 뒤처리를 문제 삼으며, 간쑤성 전체 공직자들의 나태함을 꾸짖자, 지역 신문이 "작은 일로 전체를 나무란다"라고 반발을 한 것입니다.
향후 처리가 어찌 될지 주목됩니다.
해동이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