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이명박 전 대통령 구속, 두 전 대통령 동시 구속

  

         이명박(77) 전 대통령이 결국 구속됐다. 뇌물 혐의를 완강히 부인하면서 증거 인멸과 도주 우려가 커졌기 때문이다. 전직 대통령이 구속되기는 이번이 네번째다.

 

 

 


  검찰은 22일 밤 구속영장을 발부 받아 이 전 대통령을 서울 성동구치소에 유치했다. 수인번호는 716이다. 이어 검찰은 옥중 보강 수사를 26일 진행했다. 첫 보강 수사는 ‘다스’에서 출발했다.

      검찰은 그동안 다스 미국 소송에 공무원이 동원된 직권남용 의혹에 대한 수사  실소유주 규명 수사에서 비자금 횡령, 조세포탈 혐의 등을 포착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 미국 로펌 에이킨검프에 지급된 다스 측 비용이 없다는 점을 추적하다가 삼성그룹의 소송비 대납 사건에 대한 수사에도 착수했다.

      앞서 14일 소환조사를 통해 다스 실소유주를 이 전 대통령으로 잠정 결론 지은 것으로 알려졌다. 실소유를 유지하기 위해 횡령과 조세포탈, 삼성의 소송비 대납 등 범죄혐의가 발생하게 됐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대통령은 모든 의혹과 혐의를 강력하게 부인하고 있다. 이 전 대통령은 다스 실소유주 및 차명재산 보유 의혹 등을 부인했으며 대통령 기록물  삼성그룹의 다스 소송비 대납 관련 내용이 기재된 복수의 대통령기록물에 대해서도 ‘조작됐다’는 취지로 말했다.

     이  대통령에 대한 방문조사는 여러 차례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박근혜 전 대통령의 경우에도 총 5차례 옥중 조사를 받기도 했다. 검찰은 아울러 국정원 특활비 가운데 김진모  청와대 민정2비서관이 받은 5000만원, 장다사로 전 청와대 총무기획관에게 건네진 10억원 등 의혹에 대해서도 이 전 대통령의 개입 여부를 조사할 계획이다. 


 

김샛별 기자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