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추리의 여왕2> 열혈 형사로 변신, 대체불가 액션스타의 귀환_권상우

 “봄에 걸맞은 드라마를 보여드리겠습니다.”

 

 

 한류스타 권상우가 신작 아닌 신작을 소개하며 남다른 출사표를 던졌다.

 

 

 권상우는 KBS 2TV 새 수목극 <추리의 여왕2>로 활동을 재개했다이 작품은 지난해 권상우가 주연을 맡아 시즌1을 선보였던 작품이다당시의 인기의 힘입어 곧바로 두번째 시즌 제작에 돌입해 약 1년 만에 다시금 시청자들과 만나게 됐다.

 

 ⓒ Sue Company

 

 <추리의 여왕2>는 기존 출연진과 제작진이 다시 손을 잡고 제작되는 첫 지상파 시리즈 드라마다그는 또 다시 열혈 형사 하완상 역을 맡았다.

 

 

 "시즌1에서 아쉬웠던 것들을 시즌2에서 모두 날려버리도록 하겠습니다드라마를 촬영하다 보면 바쁘거나 힘들 때가 많아요하지만 <추리의 여왕>의 경우시즌때부터 힘들었던 일보다 재미있었던 일이 많았어요그래서 이 작품을 다시 할 수 있다는 것이 너무 큰 축복이고 행복합니다."

 


   @ news1 

 

 

 

 하완상의 상대역인 추리퀸’ 유설옥 역할 역시 지난 시즌에 이어 배우 최강희가 또 다시 연기한다전작에서 찰떡 궁합을 자랑했던 두 사람은 이제 눈빛만 봐도 통하는 사이로 발전했다하지만 시즌2에는 두 사람에 미묘한 변화가 있다오로지 사건 해결에 집중했던 전편과 달리 이번 시리즈에서는 남녀로서 마음도 주고 받는다.

 

 

 “<추리의 여왕2>에서 유설옥 역할은 최강희 아니면 아무도 못할 것 같아요. (전편에서 유부녀였던유설옥이 솔로로 돌아왔기 때문에 시즌1에서 못다한 둘만의 로맨스도 전개되면서 생활밀착형 수사가 진행될 겁니다항상 촬영 현장에서 불평 불만 안 하고 열심히 연기하는 최강희를 보면 마음이 편안해져요.”

 

 

 

  @ news1 

 

 

   

 전작의 인기에 기댄 드라마지만 <추리의 여왕2>는 강력한 상대와 경쟁을 벌여야 한다. 이미 15%가 넘는 시청률로 수목극의 강자로 자리매김한 SBS <리턴>이 상대작이다. 이에 대해 권상우는타 방송사의 수목드라마 시청률이 월등히 높은데 흐름은 저희 쪽으로 오는 것 같다라며 시청률은 ‘리턴’하는 거니까요. <추리의 여왕>으로 리턴이라며 <리턴>의 제목을 활용한 농담을 건네며 은근한 자신감을 드러내기도 했다.

 

 

 강력 사건을 해결해가는 과정을 그리기 때문에 다소 소재가 무겁지 않을까 하는 우려도 있다.   <리턴> 역시 살인사건과 이를 풀어가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기 때문에 시청층이 겹칠 수도 있다. 하지만 권상우는 <추리의 여왕2>를 소개하며 묵직한 스릴러보다는 접근하기 쉽고 밝은 드라마라고 설명했다.

 

 

 "자극적이고 소재를 다루는 드라마가 많지만 <추리의 여왕2>는 기본적으로 유쾌하고 사랑스러운 드라마예요. 코믹한 로맨스도 진행되기 때문에 웃으며 볼 수 있죠. 전작의 좋은 기억을 갖고 즐거운 분위기 속에서 촬영하고 있는 만큼 봄에 걸맞은 명랑한 드라마를 보여드릴게요."

 

 

 <추리의 여왕2>는 시즌제 드라마의 성공 사례로 남을 수 있을지도 관전 포인트다. 지상파에서는 좀처럼 시즌제 드라마가 나오지 않았기 때문에 이 작품의 성공 여부에 따라 업계의 분위기 또한 바뀔 수 있다. 케이블채널에서는 10년 넘게 16번째 시즌까지 제작된 tvN <막돼먹은 영애씨>가 최장수 시즌제 드라마였다. 공교롭게도 이 드라마의 주인공이었던 배우 김현숙은 <추리의 여왕2>에도 참여한다. 그는 주인공 두 분만 허락한다면 <막돼먹은 영애씨>처럼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속내를 드러냈다.

 

 

 이에 권상우는 “KBS<전원일기>(MBC 최장수 드라마)로 갈 수 있을까요라며 저와 최강희가 <전원일기>의 최불암, 김혜자 선생님에 도전해볼까요?”라고 농담을 건넸다.

 

 

 한편 권상우는 시리즈 전문배우로 거듭나고 있다. 드라마에 이어 영화에서는 2015년작인 <탐정:더 비기닝>에 이어 속편인 <탐정:리턴즈>의 촬영을 마쳤다. <추리의 여왕2>가 끝난 후에는 스크린에서 시리즈물을 이어가는 권상우를 만날 수 있다.

 

 

 

기사=김소리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