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의 이야기가 안방극장에 진한 여운을 남겼다.
수목드라마 <마더>는 2010년에 일본에서 방영된 뒤 도쿄드라마어워즈 4관왕을 차지하는 등 웰메이드 드라마로 인정받은 동명의 작품을 리메이크한 것이다. 등장인물의 직업이나 비중 등 약간의 차이를 보이지만 큰 골격은 비슷하다. 차가운 선생님인 여자주인공이 친부모에게 버림받은 8세 여자 아이의 진짜 ‘엄마’가 되어가는 이야기이다.

KBS 주말 드라마 <내 딸 서영이>에서 ‘국민 딸’로 불리던 이보영은 이번 작품에서 엄마가 되었다.누군가의 딸이면서 동시에 누군가의 엄마가 되는 한 여자의 모습을 그려내고 있다. 낳아준 엄마와 길러준 엄마 사이에서 느끼는 심리적 갈등, 가짜 딸 허율 사이에서 겪게 되는 변화와 서사를 섬세하게 담아내며 작품에 깊이를 더했다.
로맨틱 코미디나 스릴러, 타임슬립 등 트렌디한 장르 드라마가 주류를 이루는 가운데 ‘모성애’는 다소 진부한 주제로 느껴진다. 하지만 여기에 원숙한 시나리오 작가의 필력이 더해진다면 달라진다. <마더>를 집필한 정서경 작가는 영화 <친절한 금자씨>, <아가씨> 등 박찬욱 감독 대표작들의 각본을 공동 작업한 베테랑 시나리오 작가이다. 박찬욱 감독은 “내 작품세계에 큰 역할을 했다”며 정서경 작가의 필력을 극찬한 바 있다.
정서경 작가는 원작의 큰 이야기 구조를 충실하게 따르면서 거기에 한국적 정서를 입혀 몰입도를 높였다. 정 작가는 “한 사람의 마음에서 ‘엄마’가 태어나는 순간이 실제 아이가 태어나는 순간처럼 감동적이고 고통스럽다는 점에 집중했다”며 한국판 <마더>의 각색 포인트에 대해 설명했다.
한편 1, 2회에 등장하는 아동 유기 및 학대 수위에 관한 의견도 밝혔다. “그런 장면들은 가해자의 입장에서 쓰이지 않았다. 작은 아이가 느끼는 공포와 수치감, 고통을 시청자들과 함께 통과하고 싶었다. 고통스러운 세계에서 탈출하고 싶은 아이가 되어 같이 손을 잡고 나가고 싶다는 느낌을 받았으면 좋겠다”고 말해 <마더>가 담고있는 사회적 메시지를 드러냈다.
이동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