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참 개판이네유. 정신 차리지 않으면 모두가 끝이여유.

멍! 멍! 참 보면 볼수록 가관이유. 정말 개판이유. “그냥 다 그만둬라.” 하고 싶어유. 어찌 그려유.

이게 세상이 참. 뭔 이야기인지 아시지유? 지가 요즘 전공인 중국 이야기를 못혀유. 할 말이 없지유. 눈 앞에 벌어지는 일들이 너무 황당하기만 한데 말이유.

 

보셔유. 이 독고말의 짓는 소리에 한 번은 귀좀 기울여 주셔유.

이러면 국운이 기울어유. 국회 계시는 분들, 용산에 계신 분께 묻고 싶어유? 도대체 원하는 게 뭐유?

 

뭐 말이야 많겠지만, 보니까 딱 하나여유. ‘정권, 권력’이지유.

그런데 말이지유.

그 게 나라의 국운이 기울고 나면 뭔 소용이 있남유? 다들 똑똑하다는 양반들이 왜 이러유. 이게 복잡한 방정식도 아니고, 그냥 보이잖여유.

나라가 망하고 있잖여유. 국운이 기울고 있잖여유.

멍 ~멍!

 

나라 망하는 게 보이지 않남유?

세상에 혼탁하고, 가치가 뒤섞일 때 가장 필요한 게 단순한 원칙이유. 보셔유. 나라가 왜 이 모양, 이 꼴이 됐나.

 

일단 한 가지 사실을 봐유. 우선 용산에 계신 양반이 - 뭐 이 양반 개고기 금지시킨 것만큼은 분명히 성과는 있어, 내 말하기 조심스러지만 – 뭘 했나유?

게엄을 선포했고, 군을 동원해 운영 중인 현 제도를 정지시키려 했어유. 그지유? 지도 부인을 않허잖여유. ‘고도의 통치행위’라 잖여유.

 

아이고 참 말장난도. 그게 어찌 고도의 통치유? 저급도 아주 저급한 통치행위지. 그 것도 말이라고 하남유?

그리고 뭐래유. 민주주의의 근간인 부정선거를 뿌리 뽑고, 북한 정권을 따르는 종북 세력을 척결하기 위해서 게엄이 필요하다고 생각했다잖여유.

 

그리고 군을 동원했는데, 이 놈의 군이 명령대로 못하고 국회를 다행(!!)히 무력으로 통제하지 못해 국회가 게엄 철회를 의결해 결국 게엄이 무산됐지유. 대통령이란 자가 2시간만에 철회될 게엄을 선포해 놓고 그 걸 고도의 통치행위라고 하니, 속 터져유, 안터져유!

 

환율은 치솟는 데 한국의 국정은 올 스톱됐지유. 미국의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등 글로벌 사회의 급속한 변화 속에 한국은 갑자기 엔진이 멈춘 채 표류하는 조각배 꼬라지유. 그지유?

 

그런데 보셔유. 용산은 그래서 지 살자고 머티는 이유가 있지유. 어디 국민 생각했으면 게엄을 생각할 수 있었겠나유. 애초 그런 인간이었던거유. 중국의 인터넷에서 이번 게엄을 ‘세기의 사랑’이라고 비꼬기도 했지유. 몰라유. 정말인지.

 

뭐 용산은 그렇다 치고. 그럼 더불어민주당은 뭔 꼬라지유? 방송에 나오는 국회 모습을 보면, 민주당 몇몇 의원들의 태도는 마치 ‘완장 찬 이들’같구먼유. 누가 게엄에 성공했는지 의심스러울 정도여유.

그라니 “이게 다 XXX가 꼬득여서 벌어진 일”이라는 말까지 나오지유.

 

조각 그림 퍼즐 게임을 아시남유? 조각마다 그림 일부가 그려져 있어 움직여 하나의 그림으로 조각들을 맞추는 게임이지유?

상상해보셔유. 이 게임은 한 조각은 반드시 비워져 있어야 게임을 풀 수 있어유. 어느 조각이든 먼저 움직여야 조각들이 서로 움직이며 그림을 맞출 수 있지유.

 

가장 빨리 게임을 끝내는 방법도 있어유. 모든 조각을 비우는 거유. 그 것을 새로 그림에 맞춰 끼우면 가장 게임을 빠르게 끝낼 수 있지유.

 

보셔유. 지금 한국은 멈춰진 그림 퍼즐 게임 같아유. 누구도 양보하지 않고, 멈춰 권리만 주장하지유. 계속 이렇게 되면 결국 어쩔 수 없다는 걸 아시나유? 우리가 조각들을 비우지 않아도, 외부 힘에 의해 저절로 조각들을 비우게 되지유.

외환위기, 심지어 경술국치가 그런 경우들이유. 정신 차려유. 역사에 당신 이름이 어떻게 기록될지, 두렵지 안남유?

 

멍! 독고였시유. 개소리여유.

 

 

 


사회

더보기
중국 '전문 학사' 제도 상용화되나
중국에서 ‘전문학사’ 양성이 새로운 화두가 되고 있다. 최근 정저우철도직업기술대학이 2025년 단독 시험 모집 요강에서 여러 전공에서 학사 졸업생을 모집한다고 명확히 밝혔다. 대졸자를 대상으로 새롭게 전문 직업교육을 하는 과정이다. 이에 따라 ‘학사→전문학사(본승전)’ 현상이 뜨거운 화제로 떠올랐다. 사실, 직업대학이 학사 출신을 모집한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었다. 광둥 영남직업기술대학은 최근 2년간 기술 자격증을 다시 취득하려는 학사 및 석사 졸업생을 모집했고, 누적 인원이 150명을 넘었다. 산둥 칭다오 기술사양성학원은 2009년부터 ‘대학생 기능사반’을 개설해 지금까지 10여 기를 운영했으며, 이들 중에는 산둥대, 베이징과학기술대 등 ‘985’, ‘211’ 대학 출신 학사 졸업생도 있었다. 단지 고등직업학교가 단독 모집에서 학사생을 모집하는 데 그치지 않고, 일부 학사생들이 다시 전문 기술을 배우기 위해 ‘재진학’을 선택하기도 했다. 심지어 최근 몇 년간 직업학사 교육이 점차 자리 잡으면서, 일부 고득점 수험생들이 명문대를 포기하고 직업학사대학을 택하기도 했으며, 이는 사회 전반의 직업교육에 대한 편견을 지속적으로 뒤집고 있는 흐름이었다. 이러한 현상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