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모바일 운영체계 삼분지계]안드로이드와 애플이 양분한 모바일 운영시스템에 화웨이 정식 도전장 던져...과연 성공할 것인가?

지난 10월 말 중국에서 글로벌 IT기술자들을 모두 놀라게 한 사건이 있었다.

중국 통신 대기업 화웨이(Huawei)가 '순혈' 운영체제(OS)인 홍멍 5.0을 출시했다고 밝힌 것이다.

저녁에 이뤄진 발표는 순식간에 글로벌 IT기술자들의 이목을 끌었다. 과연 화웨이의 다음 행보는 무엇인가? 훙멍은 성공할 것인가?

이들 기술자들의 관심사였다.

 

화웨이의 발표는 한국에서는 큰 주목을 받지 못했지만, 소식이 놀라운 이유는 우선 기술문제다.

그동안 화웨이는 미국의 철저한 압박 속에 IT 주요 기술을 습득하지 못하도록 통제돼 왔다.

과연 어떻게 화웨이는 이 미국의 압박을 뚫고 모바일 운영시스템을 개발했을까? 중국 당국은 미국의 기술 이전 통제 속에 ‘중국만의’ IT기술 확보를 간절히 희망해왔다.

 

이번 화웨이의 기술 개발은 바로 이런 중국의 요구에도 부합하는 것이다. 자연히 글로벌 기술자들은 놀랐고, 중국 여론과 기술자들은 크게 반겼다.

 

“중국이 IT 기술 분야에 새로운 돌파구를 마련했다.”

화웨이의 발표 직후 쏟아진 중국 내부의 찬사다. 실제 발표 당일 저녁 기자회견장에서 상무이사 위천둥은 “훙멍 5.0의 출시는 화웨이가 새로운 혁신의 장을 열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관영매체 베이징일보는 평론에서 “'순혈 홍멍은 운영체제 분야에서 그동안 ‘남을 따라잡기 바쁘던’ 중국이 ‘남을 이제 앞서 가는’ 수준이 됐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동안 중국에서는 반도체 핵심인재 부족의 곤경을 돌파하는 큰 걸음”이라고 평했다.

중국에서는 이번 홍멍 출시로 화웨이가 그동안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에 절대적으로 의존에서 벗어날지에 관심을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중국의 운영시스템이 안드로이드와 애플이 양분한 글로벌 모바일 운영체계 시스템 시장을 파고들어 또 하나의 새로운 운영시스템으로 자리잡을 수 있을까?

과거 삼국지 젝갈공명이 유비에게 현상했던 ‘평천하 삼분지계’처럼 화웨이는 ‘훙멍 5’를 통해 글로벌 모바일 운영체제를 삼분하는 ‘삼분지계’가 성공할 수 있을까?

 

화웨이는 이 시스템이 애플의 iOS 시스템과 구글의 안드로이드(안드로이드)에 이어 세계에서 세 번째로 큰 모바일 운영체제가 되었다고 주장한다.

중국 매체들 역시 화웨이의 발표를 대대적으로 환영하며 삼분지계의 성공을 축복하고 확신하는 모습이다.

 

물론 글로벌 시장에 모바일 운영시스템이 나오지 않은 것은 아니었다. 마이크로소프트 역시 모바일 운영시스템을 만들어 출시해 놓고 있고, 한국의 삼성전자 역시 모바일 운영시스템을 개발하기도 했었다.

하지만 이번 화웨이의 ‘훙멍 5’는 다를 수 있다는 게 중국 내부의 평가다. 화웨이 ‘훙멍 5’ 성공에 배팅하는 건 중국 내부뿐이 아니다.

적지 않은 해외 기술자들이 이번 ‘훙멍 5’의 출시를 남다르게 보고 있다.

 

 

 

 


사회

더보기
중국 '전문 학사' 제도 상용화되나
중국에서 ‘전문학사’ 양성이 새로운 화두가 되고 있다. 최근 정저우철도직업기술대학이 2025년 단독 시험 모집 요강에서 여러 전공에서 학사 졸업생을 모집한다고 명확히 밝혔다. 대졸자를 대상으로 새롭게 전문 직업교육을 하는 과정이다. 이에 따라 ‘학사→전문학사(본승전)’ 현상이 뜨거운 화제로 떠올랐다. 사실, 직업대학이 학사 출신을 모집한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었다. 광둥 영남직업기술대학은 최근 2년간 기술 자격증을 다시 취득하려는 학사 및 석사 졸업생을 모집했고, 누적 인원이 150명을 넘었다. 산둥 칭다오 기술사양성학원은 2009년부터 ‘대학생 기능사반’을 개설해 지금까지 10여 기를 운영했으며, 이들 중에는 산둥대, 베이징과학기술대 등 ‘985’, ‘211’ 대학 출신 학사 졸업생도 있었다. 단지 고등직업학교가 단독 모집에서 학사생을 모집하는 데 그치지 않고, 일부 학사생들이 다시 전문 기술을 배우기 위해 ‘재진학’을 선택하기도 했다. 심지어 최근 몇 년간 직업학사 교육이 점차 자리 잡으면서, 일부 고득점 수험생들이 명문대를 포기하고 직업학사대학을 택하기도 했으며, 이는 사회 전반의 직업교육에 대한 편견을 지속적으로 뒤집고 있는 흐름이었다. 이러한 현상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