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노자심득] 언제가 네 앞의 뒤를 만나게 된다...머물지 않았는데, 어찌 떠난다 하는가?

노자의 원형 세계관,

 

노자의

그런 도를 따르면

있음에는

반드시

없음이 따름을 알고,

그 없음이 있어,

비로소

있음의 존재 값이

정해짐을 안다.

 

그래서 이 도리를 알고

따르는 이는

있음을 통해

없음을 알고

없음의 유용함을 안다.

있음의 가치를 안다.

 

그렇게 있고, 없음이 어울려

성장하는 게

만물이 성장하는 이치다.

 

없음에 힘써

있음이 쓰이도록 하는 걸

우리는

“공(功)을 이뤘다” 한다.

 

없음에 힘쓰니

뭘 한다

말할 게 없고,

그래

공을 이뤘다고

뭘 했다

말 할 게 없다.

 

말하지 않았다고

위하지 않은 게

아니다.

 

말 보다

행동으로 위하고

때로는

행동하기 보다

참고 지켜봄으로써

위하는 게

 

진정한 위함임을 안다.

진정한 사랑이 놓아줄 수 있는 사랑이듯,

진정한 위함은 

유로써

또 무로써 

다함이라는 것을 안다.

 

그저

있음(有) 앞(前)에

없음(無)을 있어

 

순서가 생기고

원형의 세계에서 

앞뒤가 

계속 나가

언젠가 

내 앞에 있는 뒤를 

만나게 된다는 것을 

알게 된다.

 

그래서 노자는

시작을

시작이라 하지 않고

그 끝을

끝이라고도 않는다.

 

시작이 없으니

끝도 없다.

 

오직 머물지 않아야,

떠남도 없는 것이다.

 

“是以圣人居无为之事,行不言之教,万物作而弗始也,为而弗志也,成功而弗居也。夫唯弗居,是以弗去。”(시이성인거무위지사, 행부언지교, 만물작이불시야, 위이불지야, 성공이불거야, 부유불거)

"고로

성인 무로써 위함을 다하고

말없이 가르침을 행한다.

만물이 작용하도록 

조작한 적도,

뜻대로 움직인 적도 없으니

만물이 성장한들

내 몫이라,

내 영향이라

할 게 있는가?

처음부터 그렇게

지켜만 봤으니

앞으로 지켜만 볼 뿐이다.

머물지 않았는데,

어찌 떠난다 하는가?"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