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노자심득]없는 것만 아닌 게 무요, 있는 것만 아닌 게 유다.

 

 

유와 무가 생을 만들고,

길고 짧음이 모양을 만드는 게 

세상의 이치다.

 

세상만물이 서로 하나면서

만물로 다른 이치기도 하다.

 

도리를 따르면

어려운 것을 어렵다고만 않고

쉬운 것을 쉽다다고만 않는다.

어려우니,

이제 쉬울 수 있고

쉬우니,

어려울 수 있는 때문이다.

 

하지만 이 도리를

따르기 어려우니,

그것은

쉬움은 어려움에 가려져 있고

어려움은 쉬움에 가려져 있는 탓이다.

 

짧은 것은 긴 것에 가려져 있고

긴 것은 짧은 것에 가려져 있다.

 

높고 낮음도

앞과 뒤도

그렇게 서로가 서로를 가리고 있다.

 

아쉽게도

우리는 그렇게

당장

드러나는 하나만

본다.

 

보이지 않아도

있는 것을 알면,

보이지 않아도

있는 것은

있다 할 것인데,

 

아쉽게도

우리는 보이지 않으면

없다고 한다.

 

없는 게,

무(無)란

없는 게 아닌데,

 

우린

보이지 않는다고

없다한다.

 

1과 0처럼

1다음의 0이 10이 되듯

유와 무는

유무로서로

새로운 단위의

존재가 된다.

 

0을 ‘없음’이란 값이

아니라

그저 ‘없다’고만

하면

그런 인식의

세상 속에는

‘1’은 언제나

‘1’일뿐이지, 10이나,

100이나, 1000은

있을 수가 없다.

 

만물이

유와 무로

이뤄지는

존재임을

자각하는 게

 

바로

노자의 도다.


사회

더보기
대규모 헬스장 부실 경영 막는 유일한 방법은? 중 상하이 사전 건전성 단속이 최고
대형 헬스장의 돌연한 폐업은 소비자들에게는 엄청난 피해다. 피해자도 다수여서 지역 사회 경제에 큰 영향을 끼친다. 중국의 헬스장은 한국보다 규모가 더 큰 경우가 적지 않다. 그런데 중국 소비자들의 소득은 아직 한국 수준에 미치지 못한다. 자연히 한국보다 그 피해가 클 수밖에 없다. 그런데 이런 중국에서 상하이 시가 묘책을 내놓고 1년간 운용 성과를 올려 주목된다. 1년 전, <상하이시 체육 발전 조례>(이하 <조례>)가 공식 시행됐다. 그 중 여러 조항은 헬스업계가 어떻게 올바르게 선불 소비 영업 활동을 진행해야 하는지를 규정하고 있었다. 이는 국내에서 처음으로 상업 부서 외의 산업 주관 부서가 법규에서 선불 소비 영업 활동에 대한 감독 방안을 제시한 사례였다. 1년이 지난 후, 헬스업계의 선불 소비에 대한 감독 세칙이 발표되었으며, 이는 상하이 헬스업계의 선불 소비 금액과 사용 가능한 서비스 기한 및 횟수를 명확히 제한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는 전국에서 처음으로 스포츠 산업의 선불 자금 ‘삼한’ 기준을 설정한 사례였다. 1월 13일, 상하이시 체육국은 여러 부서와 공동으로 <상하이시 체육 헬스업계 선불 소비 영업 활동 감독 실

문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