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윤종신 좋니

  

 

 

  

 

좋으니 사랑해서


사랑을 시작할 때


니가 얼마나 예쁜지 모르지


그 모습을 아직도 못 잊어


헤어 나오지 못해


니 소식 들린 날은 더

 

  

  

 좋은 음악은 확실히 힘이 다르다. 윤종신의 독주가 이어지고 있다. 화려한 프로모션이나 팬덤의 힘 없이 오직 ‘음악’으로만 승부한 결과라는 점에서 더욱 놀랍다. 

 6월 22일 발표 때만해도 이 노래는 음원차트 100위권에 머물렀다. 점차 입소문을 타고 70위권 안팎으로 진입하더니 KBS <유희열의 스케치북> 등을 통해 공개된 라이브 클립이 주목받으면서 10위권까지 치고 올라왔다. 

급기야 9월 1일 KBS 음악 방송 <뮤직뱅크>에서 워너원의 ‘에너제틱’을 누르고 1위에 오르기도 했다. 데뷔 27년 만에 첫 음악방송 1위를 달성한 것이다. 

 윤종신은 대표적인 ‘롱런가수’이다. 1990년 데뷔 이후 ‘환생’, ‘너의 결혼식’, ‘팥빙수’ 등 노래로 인기를 모으면서 90년대 대표 가수로 자리매김 했다. 이후에는 각종 예능 프로그램에서 ‘깐족이’ 캐릭터의 대표주자가 되어 예능 MC로도 성공했다. 이와 동시에 매월 한 곡씩 앨범을 발표하는 ‘월간 윤종신’ 프로젝트로 ‘성실한 음악인’의 면모를 보여왔다. 그의 음악에는 따스한 감성과 위로의 메시지가 담겨 있다. ‘오르막길’이나 ‘지친 하루’와 같은 곡이 그 예이다.   

 ‘좋니’는 윤종신의 전매 특허인 이별 감성을 담아낸 발라드이다. 윤종신은 이 곡에 대해 “마치 제가 이십 대 초반이었던 그 때처럼 서럽고 처절하게 이별 노래를 불러봤다”고 소개했다. 

 이 노래는 현재 노래방에서 가장 인기가 있다. 최근 노래방에 가면 10대, 20대 남성들이 하나같이 ‘좋니’를 부르는 걸 확인할 수 있다. 윤종신도 직접 노래방에 가 사람들이 ‘좋니’를 부르는 모습을 영상으로 찍어 SNS에 올리기도 했다. “네가 좀 더 아프다 행복했으면 좋겠다”며 처절하다 못해 찌질하기까지 한 감성이 세대를 뛰어 넘어 모두의 공감을 끌어낸 것이다.

 이에 한 기획사 관계자는 “요즘 중견 가수들도 신곡을 내면 아이돌처럼 이슈몰이를 먼저 생각한다. ‘좋니’가 음원차트에서 1위를 차지하는 것을 보고 음악이 우선이라는 걸 새삼 깨달았다”라며 감회를 밝혔다. 

 한편 ‘좋니’가 흥행한 뒤 이 곡이 발표된 음악 플랫폼 ‘리슨’에 대한 관심도 높아졌다. ‘리슨’은 기획사 내 좋은 음악이 있으면 수시로 발표할 수 있는 프로젝트다. ‘좋니’가 인기를 끌면서 이 플랫폼에 대한 관심도 함께 높아지기도 했다. 

 

 

글 = 이동경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