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출처: DW 뉴스 중국인들이 인천국제공항 면세구역 안에서 서로 주먹을 휘두르는 패싸움을 벌였다. 28일 인천국제공항경찰단에 따르면 이날 오전 6시께 인천공항 제1여객터미널 3층 면세점 앞에서 중국인 A(58)씨 등 5명과 같은 국적의 B(32)씨 등 4명이 서로의 멱살을 잡고 주먹을 수차례 휘둘렀다. 이들은 면세품을 사기 위해 면세점 앞에서 줄을 서서 기다리던 중 한쪽이 '새치기'를 했다는 이유로 시비가 붙었다. 경찰은 이날 오전 6시 11분께 "중국인 여러 명이 싸운다"는 신고를 받고 현장에 출동했다. 이날 싸움으로 이들 중 한 명이 코에서 피가 흐르는 상처를 입어 공항 내 의료시설에서 치료를 받았다. 패싸움을 벌인 다른 8명도 모두 인천공항 출입국 심사를 거쳐 이날 오전 7시 50분께 면세구역 바깥으로 나왔고, 이들 중 일부가 치료를 받았다. 이날 A씨와 B씨 일행은 상대방을 폭행 혐의로 고소하겠다는 의사를 경찰에 전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은 이날 오전 중국행 비행기를 타려고 보안검색과 출국심사를 거쳐 공항 면세구역에 들어갔던 것으로 경찰은 파악했다. 경찰 관계자는 "패싸움을 한 중국인들에게 항공보안법 위반 혐의를 적용할 수 있는지
사진 출처: 소후뉴스 한 남성이 길을 가고 있다가 희한한 광경을 목격하였다. 그 장면인즉슨, 한 전봇대에서 뱀 같이 생긴 물체가 무언가를 휘감고 있는 것이었다. 남성은 호기심에 가까이 가서 보러 갔더니, 뱀 한 마리가 도마뱀 한 마리를 휘감고 있었던 것이었다. 이 뱀은 도마뱀을 칭칭 휘감아서 숨통을 끊으려고 한 것이다. 사진 출처: 소후뉴스 이에 남성은 건드리지 않고 이 싸움을 조금 더 지켜본 결과, 이 도마뱀은 이제 가망이 없어 보였다. 그런데 그 순간 갑자기 도마뱀이 자신을 휘감고 있는 뱀의 몸통을 물었다. 이에 물린 뱀은 어찌할 바를 몰라 그저 버둥거릴 뿐이었고, 도마뱀은 놓지 않고 계속 물고 있었다. 사진 출처: 소후뉴스 뱀은 계속해서 버둥거리다가 결국엔 움직임이 멈췄다. 이에 남성이 보다 못해 그 뱀을 구하려고 하였으나, 도마뱀은 뱀을 물고서 놓아주지 않았다. 아마도 자신을 휘감은 뱀에 대한 원한이 컸던 모양이다. 결국 남성은 다른 한 손으로 도마뱀을 놀라게 하자, 그제서야 뱀을 놓아주고 달아났으나, 뱀은 여전히 미동조차 하지 않았다.
사진출처: DW News 10년 전 멜라민 파동으로 중국의 수많은 영유아에게 피해를 입혀, 중국 유제품의 판도를 바꾸어 버린 싼루(三鹿)그룹의 톈원화 전 회장이 다시 주목받고 있다. 지난 10년간 무기징역 판결을 받았던 그녀가 세 차례의 감형 끝에 형기를 15년 3개월로 줄었기 때문에 여전히 관심을 끌고 있다고 종합 매체 베이징시가 22일 보도했다. 그러나 베이징 징안 법률사무소 장유웨(张越) 변호사는 형법상 무기징역범의 실제 형 집행 기간이 13년보다 적어서는 안 되며, 선고시기가 무기징역 확정일(2심 판결 시점 2009년 3월 15일)부터 적용돼야 한다고 말했다. 사건 직후 톈원화 싼루원 회장은 2009년 1월 22일 무기징역형을 선고받았으며, 2009년 3월 15일 항소심 기각하고 원심을 유지하는 판결이 내려진 것으로 알려졌다. 다시 말해, 2년 3개월 더 감형돼 이르면 2022년 3월 15일 출소할 수 있다는 얘기다. 주목되는 것은 톈 씨 가족이 이미 '외래진료'를 준비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일부 언론은 허베이(河北)성 교도소가 현재 톈원화의 외래진료 계획을 갖고 있지 않다고 보도했는데, 이는 톈원화 친척의 희망사항인 것일 뿐이다. 일각에서는 톈 씨
지역 당 기관기관지가 출산률을 높일 대책이 필요하다며 '출산기금'을 조성하자고 주장해 주목된다. 출산률이 급격히 떨어지고 있는 우리나라에주는 의미도 적지 않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17일 둬웨이 등 중화권 매체 등에 따르면 장쑤성(江蘇省)당 기관지 신화르바오(新華日報)는 14일자 13면 '이데올로기 주간·싱크탱크' 칼럼에 '출산율 향상: 새로운 시대 중국 인구개발을 위한 새로운 과제'라는 제목의 글을 올렸다. 글은 난징(南京)대학 창장(長江)산업연구원 류즈뱌오(劉志彪) 원장과장예(張曄)가 공동집필한 것이다. 저자들은 "올 초 국가통계국은 2017년중국본토에서출생한 인구는 전년 대비 63만 명이 줄어든 1,723만 명이라고 발표했다. 이는 두자녀정책을 통한 출생인구 피크시기가 지나갔을 가능성을 보여준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2018년 상반기의 신생아 수는 동기대비 약 15%-20% 줄어들었는데 출생 인구가 2017년보다 크게 줄었음을의미한다"며 "설상가상으로 2010년 인구조사 데이터에 따르면 중국의 가임 가능 여성의 수가 향후 10년동안약 40% 감소할 것으로 나타났다"고 분석했다. 이들에 따르면 두자녀정책 시행으로 인한 출산 누적효과가 끝나면서 중국의
출처 : 微博 최근 한진家의 갑질 논란이 사회적으로 큰 파장을 불러오고 있는데요, 20일 한진家 조양호 회장의 아내 이명희의 갑질 영상이 언론을 통해 또 한번 공개됐습니다. 영상에서는 수행기사를 향한 이명희의 폭언과 폭력이 지속적으로 나타나, 그녀의 민낯을 그대로 보여줬습니다. 해당 영상에서 또 한번 드러난 한진家의 갑질은 대중의 분노를 일으키고 있는데요, 중국의 웨이보에도 영상이 올라오며 많은 이들의 관심을 불러모으고 있습니다. 과연 중국 네티즌들이 바라보는 한진家 이명희의 갑질 영상은 어떠할까요? 그 반응을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 한국 드라마 내용은 현실 생활에서 비롯된거야? - 고함치는 소리 들었을 때, 땅다람쥐가 생각났어 - 한국 드라마에서 봤던 모습이네, 현실도 저렇구나, 무섭다. - 한국 드라마에서도 항상 저렇지, 돈 있는 사람이 가난한 사람을 무시하잖아. 아마 현실의 한국도 이런가봐 - 진짜 귀 따갑네 - 한국인은 무엇이 평등과 존중인지 모르는걸까? 중국 네티즌들은 영상 속 이명희의 모습과 한국 드라마 속의 내용들을 관련짓는 반응들을 보이고 있습니다. 또한 한국에서는 이 같은 갑질이 사회적으로 만연한지에 대해 의문을 표하고
출처: 微博 러시아 현지 시간으로 14일, 전 세계인의 축제인 2018 러시아 월드컵이 개막했습니다. 이번 월드컵에서 중국 축구 국가대표팀은 아시아 예선에서 탈락하여 참여하지 못하지만, 축구 대표팀이 아닌 또 다른 '중국 대표팀'이 이번 월드컵을 찾아갑니다. 그럼 도대체 누가 가는걸까요? 우선, 4만에 달하는 중국 축구팬이 이번 월드컵으로 향합니다. 비록 중국 대표팀의 경기는 없지만, 이번 월드컵의 입장권 구매량 순위에서 중국이 9위를 차지했다고 하네요. 다음으로 10만 마리의 가재(小龙虾)가 러시아로 갑니다. 즉석에서 먹을 수 있게 조리된 가재를 수출한다고 하네요. 그리고 7개의 중국 기업이 이번 월드컵의 후원사로 함께하며, 9명의 중국 슈퍼리그 선수가 월드컵에 참가합니다. 또한 각종 월드컵 기념품이 중국에서 제작되었다고 하네요. 중국이 없지만, 또 중국이 함께 하는 이번 월드컵, 중국 네티즌의 반응은 과연 어떨까요?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 중국 축구 국가대표팀 : 나도 가고 싶어!! - 많은 사람들이 축구 자체가 아닌, 도박을 하려고 월드컵을 봐. 4년에 한 번 있는 월드컵에서 관심을 갖는 것이 스포츠의 매력이 아니라 각종 도박 분석이니 참 마
ⓒ VCG http://news.dwnews.com/china/news/2018-06-13/60064344.html 중국의 인터넷 매체인 후초우왕(虎嗅网)은 이번에 어쩌면 회사 역사상 가장 빠르게 기사가 통제됐었을지도 모르겠다. 베이징 시간으로 6월 13일, '보통(伯通)'이 쓴 《오늘 또 나는 돈을 못 벌었다(我又一天没挣钱了)》이라는 글은 후초우왕의 위챗 공중호(公众号)에 게재된 지 얼마 지나지 않아 곧 삭제됐다. 구글의 웹 캐시에서 살펴보면 해당 글은 고작 9명의 독자가 댓글을 남긴 뒤에 바로 삭제됐다. 한 인사는 이를 통해 오늘날 중국 정부의 인터넷 언론에 대한 통제는 전례없을 정도로 엄격하다고 분석했다. 이 같은 언론 통제가 이뤄진 것은 예상 가능한 일이었다. 《오늘 또 나는 돈을 못 벌었다》에서는 노동자의 권리를 위한 파업 운동에 대하여 이야기하며, 오늘날 중국 각지에서 발생하는 노동자들의 노사 분쟁, 기형적 노사 관계에 대한 걱정들을 언급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해당 글에서는 올해 1월에서 5월까지, 중국에서 발생한 노동자들의 집단 행동은 759건이 있었으며 이는 작년에 비하여 95% 증가한 것이라고 했다. 글쓴이는 한 걸엄 더 나아가 "4월
출처 : 微博 웨이보 상에서 글씨로 가득한 교복을 입은 학생의 모습이 담긴 동영상이 화제를 모으고 있습니다. 과연 학생에게 무슨 일이 있었을까요? 학생의 옷에는 친구들의 이름, 친구들이 남긴 말 등이 쓰여있었는데요, 졸업식을 맞이하여 교복 위에 친구들과의 추억을 함께 남긴 것으로 보이네요. 해당 동영상은 중국 네티즌들에게도 추억을 떠올리게 하는 영상이기에 많은 공감을 불러오고 있는데요, 중국 네티즌들의 반응을 웨이보 댓글로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글씨가 한 가득인 교복을 한 번도 안 빨았어. 어느 날 할머니가 내 교복이 글씨투성이인 걸 보고 아주 깔끔하게 빨래를 해주셨지 - 보세요, 앞뒤 모두 가득하게 썼습니다. - 정말 다시는 세탁할 일이 없겠구나 - 신병 훈련이 끝나고 떠날 때 내 군복 외투에 이름을 한 가득 썼었지 - 이제 막 대학교를 졸업했는데, 그 때 참 슬펐어. 또 이 동영상을 보니까 슬퍼지고 눈물이 나오려고 해. 졸업을 하며 지금까지 만난 친구들과의 헤어짐은 항상 아쉬움을 자아냅니다. 그리고 그 때 남긴 추억들은 소중하게 다가오기 마련인데요, 중국 네티즌들 역시 동영상을 통해 자신들의 추억과 그 당시의 기억을
출처:자유아시아방송 6월 9일 토요일에 자유아시아방송은 중국 화물 트럭 기사들의 생존권 투쟁을 위한 전국 단위 파업에 관한 보도를 했었습니다. 중국의 웨이췐왕의 6월 10일자 보도에 따르면, 파업이 여전히 지속되고 있다고밝혔습니다. 이번 화물 트럭 기사들의 전국적인 대규모 파업은 허난河南성 뤄허漯河에서 일어난 퇴역 군인들의 항의 투쟁 이후 나타난 집단 권익 보호 투쟁입니다. 현재 대규모 파업은 산둥山东, 장시江西, 상하이上海, 후베이湖北, 안후이安徽, 충칭重庆, 구이저우贵州, 허난河南 등 여러 성들로 전파되고있습니다. 6월 9일부터 지금까지 각 지역의 수많은 화물 트럭 기사들은 고속도로, 국도 및 주차장에 트럭을 몰고 집결하여 파업을 진행하였습니다. 그리고 이익 독점을 반대하면서 유류비를 하락할 것과 운송비를 올려줄 것, 그리고 화물 트럭 기사들에 대한 교통경찰 및 운송관리부의 임의적인 과태료 처벌을 중단할 것을촉구하였습니다. 각 지역 화물 트럭 기사들의 파업 영상은 웨이신 및 웨이보 상에 전파되었고, 중국 화물 트럭 기사들은 당국에 임의적인 과태료 처벌 금지가 포함된 10가지 주요 사항들을 제시하였습니다. 하지만 중국 당국은 현재까지 이와 관련
중국 전역에서 트럭 운전기사들의 파업이 이어지고 있다. 중국 인권사이트인 웨이췐왕(维权网)은 10일 중국 전역에서 트럭 운전사들이 자신들의 생존권 보장을 위해 총동맹 파업을 시작했다고 알렸다. 웨이췐왕에 따르면 중국 트럭 운전기사들은 지난 8일부터 정부의 마구잡이식 벌금부과와 도로통행요금 및 디젤가격 급등에 항의하며 국도와 고속도로, 주차장 등에 트럭을 세워두고 파업을 벌이고 있다. 특히 교통 공안이나 도로행정 당국이 적재중량 초과 행위에 대해 강력한 벌금 처분에 나선 것이 가장 큰 반발을 불러일으킨 것으로 알려졌다. 트럭이 공장에서 출고되면 적재 중량을 늘리기 위해 차량 개조를 하는데, 이 때 적재중량을 늘리지 않으면 트럭 운전기사들이 손실을 보게 될 수 밖에 없는 구조라는 것이 이들의 주장이다.중국 트럭 운전기사들은 자신들이 가혹한 대우를 받고 있아며 생존권을 보장해달라고 요구하고 있다. 트럭 운전기사들은 현재 산둥(山东), 상하이(上海), 후베이(湖北), 안후이(安徽), 충칭(重庆), 구이저우(贵州) 등 중국 전역에서 파업을 벌이고 있으며, 중국 내 3천만 트럭 운전기사들에게 파업참여를 호소하고 있다. 자유아시아방송(RFA)과 둬웨이(多維)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