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웨이보 반응] 2018 러시아 월드컵 속의 중국, 중국 네티즌의 반응은?

 

출처: 微博

 

러시아 현지 시간으로 14일, 전 세계인의 축제인 2018 러시아 월드컵이 개막했습니다. 이번 월드컵에서 중국 축구 국가대표팀은 아시아 예선에서 탈락하여 참여하지 못하지만, 축구 대표팀이 아닌 또 다른 '중국 대표팀'이 이번 월드컵을 찾아갑니다. 그럼 도대체 누가 가는걸까요? 우선, 4만에 달하는 중국 축구팬이 이번 월드컵으로 향합니다. 비록 중국 대표팀의 경기는 없지만, 이번 월드컵의 입장권 구매량 순위에서 중국이 9위를 차지했다고 하네요. 다음으로 10만 마리의 가재(小龙虾)가 러시아로 갑니다. 즉석에서 먹을 수 있게 조리된 가재를 수출한다고 하네요. 그리고 7개의 중국 기업이 이번 월드컵의 후원사로 함께하며, 9명의 중국 슈퍼리그 선수가 월드컵에 참가합니다. 또한 각종 월드컵 기념품이 중국에서 제작되었다고 하네요. 중국이 없지만, 또 중국이 함께 하는 이번 월드컵, 중국 네티즌의 반응은 과연 어떨까요?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 중국 축구 국가대표팀 : 나도 가고 싶어!!

 

- 많은 사람들이 축구 자체가 아닌, 도박을 하려고 월드컵을 봐. 4년에 한 번 있는 월드컵에서 관심을 갖는 것이 스포츠의 매력이 아니라 각종 도박 분석이니 참 마음이 아파. 4년마다 벌어지는 월드컵 축제가 너희들 덕에 엉망이 돼버렸잖아. 그들에게 한 마디만 하자. '오늘 저녁은 어디에 걸까?'

 

- 중국 축구 국가대표가 약하니까, 우리는 그저 자기가 알아서 해야지

 

- 살아있는 동안 중국 국가 대표가 월드컵에 나가는 것을 못 볼까 두렵다. 국가대표가 월드컵에 나가는 그 날을 제사 있을때  할아버지께 말씀드리는 걸 잊지 말도록

 

- 중국 축구 국가대표팀 빼고 다들 가는구나, 중국 상품이 참 자랑스럽다

 

이번 월드컵에 비록 축구 국가 대표팀이 참가하지 못하지만, 여전히 큰 영향을 미치는 중국에 대하여 아쉬움과 자랑스러움이 동시에 드러나는 반응들을 볼 수 있었습니다. 중국 축구 국가대표팀도 언젠가는 월드컵에 참가해서 중국 네티즌들의 아쉬움을 씻어줄 수 있었으면 합니다. 2018 러시아 월드컵은 7월 15일까지 32일 간의 일정으로 진행되는데요, 이번 월드컵을 통해 스포츠의 즐거움과 전 세계인이 하나 되는 감정을 느낄 수 있길 바랍니다.

글 = 유재일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