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로움은 홀로 있다고 느끼는 게 아니다. 문득 누군가 그리울 때 그 누군가가 몹시도 보고플 때 그 보고픈 이를 볼 수 없을 때 그 때 외로움은 검푸른 바다 밀물처럼 온 몸을 젖시어 온다. 그리움이 일상이 되면, 외로움도 일상이 된다. 일상이 된 외로움은 약도 없다. 그리운 이도 아직 나를 그리워한다는 믿음만이 외로움이 일상이 된 이를 버티게 할뿐이다. 그렇게 나온 싯구다. “持此谢高鸟,因之传远情。”(지차사고조, 인지전원정) “고마운 새야, 이 마음 전해다오” 당시인 장구령의 감우4수 중 3수다. 담담하지만 그래서 더 짙은 그리움이, 외로움이 묻어난다. 시정은 이렇다. 골목길 홀로 걸어 집에 들어와 마루에 걸터앉아 하늘을 보니, 저 높이 나는 새 “고마운 새야, 이 마음 전해주렴” 마치 저 노을이 내 마음과 같다. 누가 있어, 이 마음 알아나 줄까?
“들에 핀 이름 없는 꽃이라고 어찌 자존심마저 없으랴.” 홀로 들녘에 핀 꽃에게 이 보다 더 강한 말이 어디 있을까? 세상에 어떤 힘도 강한 바람도 잡초를 누이기는 해도 잡초를 꺾을수는 없다. 바로 잡초의 의지, 들녘에 핀 이름 모를 잡초의 마음 한 구석 녹지 않는 얼음 한 조각이 있기 때문이다. “혼자면 혼자지 어찌 미인의 손길을 기다릴 것인가.” “草木有本心,何求美人折!”(초목유본심, 하구미인절!) 당의 시인 장구령의 감우 4수 중 제 2수다. 자연 속에 만물을 아름답게 풍성하게 만드는 참 진리를 따르는 선비가 무엇이 아쉬워 세간의 인정을 황제의 선택을 기다릴 것인가. 바로 당의 선비, 장구령의 일갈이다. 사실 시가 그린 풍경이 너무도 예쁘고 아름다워 일갈이라 하기 힘들다. 시는 봄과 가을을 대표하는 이름 난 풀 나무에서 시작한다. 봄 바람 하늘거리는 난초잎새 풍성하고, “兰叶春葳蕤”(난엽춘위유) 가을 날 달 밝은 밤엔 계수나무 무성하니, “桂华秋皎洁”(규화추교결) 이 충일의 생명들 온 세상 가득히 계절 계절 아름답고 아름답구나 “欣欣此生意,自尔为佳节”(흔흔차생의, 자이위가절) “이 숲엔 누가 살까?” 봄 숲에 가을 풀에 묻는다. “谁知林栖者”(수지임서자
중국 자린고비 이야기다. 자린고비는 구두쇠를 뜻하는 순 우리말이다. 옛날 중국의 한 마을에 소문난 구두쇠가 있었다. 어느날 이 구두쇠가 옆 마을에 있는 구두쇠 선생의 이야기를 듣고 감탄한다. '내가 아낀다고 하는게 정말 하찮은 것이구나. 그 선생의 찾아 뵙고, 사부로 모셔 아끼는 방법을 배워야겠다.' 이리 결심한 구두쇠가 옆마을 구두쇠 선생을 사부로 모시기로 하고 찾아간다. 각종 예물을 준비했는데, 종이로 각종 과일을 그리고, 빈 술병에 물을 채워 사부에게 드리는 선물이라 준비했다. 하지만 찾아간 당일 아쉽게도 소문난 구두쇠 선생이 출타를 하고 없었다. 대신 사모가 있어, 구두쇠는 사모에게 온갖 예를 갖춰 인사를 하고 예물을 바쳤다. 그러자 사모 역시 종이로 그린 접시에 종이로 그린 과일과 과자를 얹어 내놓으며 말했다. "과일과 과자 좀 드시고 가시죠" 그 것을 본 구두쇠가 '역시 사모는 남다르군' 하고 감탄하고 돌아갔다. 얼마 뒤 그 유명한 구두쇠 선생이 집에 돌아왔다. 사모는 낮에 찾아온 구두쇠 이야기를 하나도 빼놓지 않고 이야기 했다. 내심 '대접은 잘했지요'라고 생각하며 구두쇠 사부의 칭찬을 기대하고 있었다. 하지만 웬걸. 칭찬 대신 떨어진 것은 '호
금은보화, 명예, 직위 이 모든 걸 한 번에 갖게 하는 게 있다. ‘성공’(成功)이다. 성공하면 원하는 걸 이룬다. 금은보화, 명예, 직위 원하는 걸 이룬 것, 그 것을 우린 성공이라 한다. 하지만 그 게 성공은 아니다. 정확히는 성공이 아니고 성공의 결과다. 사람들이 성공을 좋아하는 건 좋은 결과 때문이다. 금은보화, 명예, 직위 이런 게 좋은 게다. 하지만 성공은 그게 아니다. 금은보화, 명예, 직위 그게 성공이 아니라는 말이다. 진정한 성공(成功)은 말 그대로다. 공(功)을 이루는 것(成)이다. 그럼 공(功)이란 무엇인가? 공을 이루는 게 성공인데, 어떻게해야 공을 이루는 것일까? 역시 한자 공(功)에 숨은 뜻이 있다. 공이라는 한자는 비교적 일찌감치 쓰였다. 갑골문자에 나온 공(工)과 력(力)이 만든 회의자 겸 형성자다. 기록상 등장은 소전체에서 나온다. 소전은 진의 글씨다. 자형은 단순하지만, 그 의미가 깊다. 공(工)은 기술을 의미하고 력(力)은 쟁기로 발현되는 힘을 뜻한다. 둘 모두가 인간이 자연에 인간의 힘을 더해 새로운 가치를 만드는 것을 의미한다. 인간이 자연에 새롭게 가치를 더하는 것 그 것이 바로 공(功)인 것이다. 세상 만물 가운데 자
옛날 부가가치 생산이 극히 적었던 시절, 돈을 버는 방법은 간단했다. "버는 것보다 적게 써라. " 본래 과거 농사일은 자연에서 얻은 재료로 농사를 져서 수확하는 것으로, 투여되는 자본이 극히 적었다. 노동력이 대부분이었다. 간단히 그렇게 걷어들인 곡물을 시장에 내놔 돈을 얻으면 그 돈에서 생활비로 쓰고 남는 게 축적되는 자본이었다. 그러니 아껴쓰면 쓸수록 부자가 됐다. 이에 옛날 중국 유머에는 자린고비에 대한 일화가 많다. 읽다보면, '뭘 이렇게 까지' 하는 생각도 들지만, 한 푼이라도 더 아끼려는 이들의 서민들의 마음이 담겨져 있어 아련할 때가 많다. 옛날 중국에 인색하기로 유명한 부자가 둘이 있었다. 둘 다 술을 좋아했는데, 워낙 자린고비들이어서 술을 마시는 데 돈을 쓸 수가 없었다. 이 두 부자는 고심 끝에 이들만의 독특한 '음주법'을 만들었다. 지켜보는 사람들이 재미있었는지, 두 부자의 음주법은 동네를 넘어 이웃마을까지 전해졌을 정도다. 그럼 그 음주법은 뭘까? 술을 젓가락으로 마시는 방법이다. 술 한 잔을 놓고 젓가락으로 떠서 마시는 것이다. 젓가락을 너무 많이 적셔도 안된다. 적당한 깊이만 젓가락을 술에 적셔서 마시는 게 이들의 독특한 음주법이다
“美服患人指,高明逼神恶.” (미복환인지, 고명비신악) “비싼 옷은 질시를 사고, 잘난 척은 미움을 산다.” 물이 모든 웅덩이를 채우고 그제야 다시 흐르듯 물이 남의 더러움을 씻고 자신이 더러워진 채 다시 흐르듯 물이 낮고 낮은 곳으로 흘러 바닥을 채워 깊이를 알 수 없게 높아지듯 우리는 그리 물처럼 살 수야 없겠지만, 그래도 우리는 하나만은 기억하길... “美服患人指,高明逼神恶.” (미복환인지, 고명비신악) 굳이 왜 잘나야 하는지.
자본을 쌓는 과정에서 꼭 필요한 게 '자린고비' 정신이다. 무엇이든 아껴서 모아야, 그게 쌓이면 자본이 되는 것이다. 굳이 자본주의가 아니더라도, 재물을 쌓는 원리는 유교의 경전 가운데 하나인 '대학'에서도 나온다. '대학'은 나라가 부국이 되는 길을 하나로 제시하고 있다. "生之者众,食之者寡“ (생지자중, 식지자과: 생산하는 이가 많고, 소비자가 적으면 재물이 쌓인다.) 하지만 재물의 도리는 버는 도리만 있는 게 아니다. 아끼는 것도 도리가 있다. 이 도리를 모르면 아끼는 게 고통스럽기만 할 뿐이요, 아낀다고 자본이 쌓이는 것이 아니다. 중국 옛 이야기는 배거(裴璩)라는 자리고비면서 악독한 관리가 나온다. 이 관리는 보기 좋은 가구만 보면 탐을 내는 것으로 유명했는데, 매번 좋은 가구만 보면 사들였다. 하지만 한 번 산 가구는 아까워서 쓰지를 못했다. 매번 제대로 포장을 뜯지도 않았고 집 한귀퉁이에 쌓아 놓기만 했다. 그러다가 꼭 가구를 써야할 순간이 오면, 그 때는 어땠을까? 이 관리는 그래도 가구를 쓰지 못했다. 권력을 활용해 주변의 중고품을 빌려서 쓰곤 했다. 자신의 새 가구는 아까워서 쓰지 못하고 남이 쓰던 것을 쓴 것이다. 하지만 이 관료가 모르는
"草木本有心,何求美人折。" (초목본유심, 하구미인절) "잡초라고 원하는 게 없을까? 어찌 굳이 미인만 기다릴까?" 장구령의 감우 1수다. 감우는 느낌 감, 만날 우를 합친 단어다. 감성을 만나다로 읽어도 좋고, 만나 느낀 감성이라 해도 좋다. 둘 다 시인의 시의에 부합한다. 소개한 싯구는 당 시인 장구령의 감우 1수 가운데 마지막 구절이다. 시인은 생활 속에 만난 작은 사물을 보며 느낀 자신의 감성을 엮어서 시로 만들었다. 당시 300수의 수작 중 수작이다. 장구령(張九齡, 678년 - 740년)은 중국 광둥성 소주 출신으로 중국 당나라 중기의 유명한 시인이자 정치가다. 당 현종 치세에서 정치적으로도, 문학적으로도 큰 업적을 쌓았다. 오늘날 총리격인 중서령을 역임했다. 시는 이렇게 시작한다. "蘭葉春葳蕤,桂華秋皎潔。" (난엽춘위유, 규화추교결) "난초 잎은 봄에 풍성하고 계화 꽃은 가을에 맑은 법" 봄의 아름다움과 가을의 수려함을 이야기하는 것을 시는 시작한다. 봄과 가을은 흔히 한 해다. 한 해 계절을 보라, 어느 한 계절 아름답지 않은 날이 있던가? 시인 장구령은 위의 말을 이렇게 썼다. "欣欣此生意,自爾爲佳節。" (흔흔차생의, 자이위가절) "모두가 무럭
강함은 남을 이겨야 비로소 안다. 권위 수준은 내 말을 듣는 남의 태도에 달려 있다. 그럼 총명함은 어찌 아는가? 남의 우둔함을 보고 비로서 안다. 남의 잘못이 보이고 고칠 수 있을 때 비로소 총명함을 안다. 그럼 다시 부유함은 어찌 아는가? 마찬가지다. 남의 재산을 보고 안다. 남보다 많으면 스스로 부유하다 한다. 하지만 이 것들이 정답인가? 정말 아는 것인가? 정말 강한 것인가? 정말 총명한가? 정말 부유한가? 남을 통해야 비로서 아는 게 정말 아는 것인가? 맞을 수 있다. 하지만 비교의 남이 바뀌면, 답도 바뀌는 게 정말 정답인 것인가? 그럼 왜? 내가 강한데, 나보다 더 강한 사람이 있고, 내가 총명한데 왜? 나보다 더 총명한 사람이 있는가. 또 그럼 왜 내가 부유한데 항상 나 보다 더 부유한 사람이 있가. 그 앞에 왜 나는 항상 모자라기만 한 것인가? 도대체 어찌해야, 진정 강함을 알고, 어찌해야, 진정 총명함을 알고, 어찌해야, 진정 뜻이 있음을 알까? 또 어찌해야, 내가 진정 부유함을 알까? 동방의 성인 노자는 ‘내 자신에서 알라’ 했다. 남을 이기는 자는 그저 힘이 있는 자요, 진정한 강함은 스스로를 이기는 데 있다 했다. 남을 아는 이는 지혜
忙地铁 Máng dìtiě 바쁜 지하철 哇!人这么多! Wa!Rén zhème duō ! 와! 사람이 이렇게 많다니! 是啊,今天还是周六呢,平时人更多! Shì ā,jīntiān háishì zhōuliù ne ,píngshí rén gèngduō ! 그러게요. 오늘은 토요일이라 좀 나은 편이고, 평일에는 더 많아요! 唉!北京的地铁太忙了! Āi !Běijīng de dìtiě tài máng le ! 아이고! 베이징의 지하철은 정말 바쁘네요! *영어의 ‘busy’은 ‘바쁘다’라는 뜻도 있고 ‘번망하다’이라는 뜻도 있기 때문에 벌어진 실수이다. 맞는 문구: 唉!北京的地铁太繁忙了! Āi !Běijīng de dìtiě tài fánmáng le ! 作者:刘志刚 画家:宋海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