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춘제(春節)를 전후해 유동성 공급에 나설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한국의 설에 해당하는 춘제(春節)는 중국 최대 명절로 꼽힌다. 올해 춘제 특별수송기간(1월17일~2월25일)에 중국 내 이동 인구는 2020년 14억8000만 명을 웃도는 15억 명으로 전망된다. 그만큼 소비도 큰데, 시중 유동성이 그 소비에 비해 모자르다는 분석이 나오는 것이다. 블룸버그통신이 중국 인민은행이 춘제를 앞두고 유동성 공급 압력을 받아 추가 통화완화 조치를 내놓을 수 있다고 4일 보도했다. 블룸버그통신은 춘제에 쓸 현금 확보, 세금 납부, 부채 만기 도래 등으로 1월 중국 내 유동성 수요가 총 4조5000억 위안(약 840조 원)에 이를 수 있다고 추산했다. 작년 12월 인민은행이 지급준비율을 인하했지만 춘제를 앞두고 유동성 부족 사태를 막기 위해 추가 통화완화에 나설 수 있다고 전망했다. 인민은행은 2019년과 2020년에도 춘제를 앞두고 지급준비율을 낮춰 현금을 공급했다. 하지만 지난해 춘제 때는 추가 자금을 공급하지 않았다. 블룸버그통신은 인민은행이 현금 공급량을 조절하기 위해 단기·중기 창구를 통한 유동성 공급에 나설 가능성이 크다고 예상했다. 한편, 추가 통화완화
올해도 신기록이 나올까? 중국 베이징시 신규 번호판이 배정됐다. 10만개 가운데 7만 개가 신에너지 차량에 할당됐다. 현재 베이징은 차량 급증을 막기 위해 '번호판 추첨제'를 시행 중이다. 매년 특정 순서의 번호들은 경매가 이뤄진다. 예컨대 8888 등 중국인이 특히 좋아하는 번호값은 억대가 넘는다. 중국 관영 신화통신은 1일 베이징시가 올해 신규로 배정할 차량 번호판 10만 개 중 7만 개를 신에너지차에 할당했다고 보도했다. 신에너지차는 순수 전기차(BEV), 플러그인하이브리드 차량(PHEV), 수소전기차 등을 말한다. 베이징시는 신에너지차에 대한 높은 수요를 감안해 지난해보다 1만 개 늘어난 7만 개를 배정했다고 밝혔다. 반면 내연기관 차량은 지난해 4만 개에서 올해 3만 개로 줄였다. 신화통신은 베이징시 신규 번호판 배정에서 보듯 중국 자동차 시장이 신에너지차를 중심으로 빠르게 변환중이라고 전했다. 중국자동차공업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 자동차 시장 판매량은 전년 대비 3.1% 증가한 2610만 대로 예상되는데, 이 중 신에너지차 판매량은 340만대로 전년 대비 150% 증가했다. 신에너지차 판매 성장세에는 중국 정부의 보조금 정책이 큰 역할을 한 것으
2060년 탄소중립 달성 목표에 맞춰 중국의 해상 풍력 시설이 급증하고 있다. 중국은 탄소중립에 찬성하면서 자신들의 처지를 생각해 시기에 혜택을 받아야 한다는 입장이다. 중국신문망은 중국화넝그룹이 랴오닝(遼寧)성 다롄(大連)시 좡허(庄河) 앞바다에 건설한 북방지역 최대 규모의 해상 풍력 발전소가 본격적인 가동에 들어갔다고 30일 보도했다. 좡허 해상 풍력 발전소는 평균 수심 30m, 면적 114.2㎢의 해수면에 초대형 풍력 발전기 25대가 설치됐다. 총 전력 생산 용량은 650㎿로 144만 가구가 1년 동안 사용할 수 있는 전기를 공급할 수 있다. 중국신문망은 좡허 해방 풍력 발전소 가동으로 연간 54만t의 석탄 사용이 줄어들고 오염물질 배출량도 112만t 감소하는 효과를 거둘 것으로 분석했다. 또한 보하이(渤海)만 일대 해양목장 건설도 탄력을 받게 될 전망이다. 중국 국가에너지국 자료에 따르면 지난 10월 기준 중국 내 재생에너지 발전설비의 전력 생산 용량은 10억㎾를 넘어섰다. 이는 중국 전체 발전설비 총량의 43.5%에 해당되며 발전 유형별로 보면 수력 3억8500만㎾, 풍력 2억9900만㎾, 태양광 2억8200만㎾, 바이오매스 3534만㎾이다.
중국 최대 인공지능(AI) 기업 센스타임(상탕커지<商湯科技>)이 30일 홍콩 증권거래소에 상장한다. 29일 중국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센스타임 공모가는 희망밴드 하단인 3.85홍콩달러(약 585원)로 확정됐다. 센스타임은 이번 기업공개(IPO)를 통해 총 15억 주를 새로 발행해 57억7500만 홍콩달러(약 8800억 원)의 자금을 확보한다. 시장 가치는 160억 달러(약 19조 원)로 추정된다. 2014년 매사추세츠공대(MIT) 박사 출신 탕샤오어우(湯曉鷗) 홍콩중문대학 정보기술 교수 등이 설립한 센스타임은 안면 인식, 영상 분석, 자율주행 등 여러 분야에서 세계 정상급의 AI 기술을 보유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한편, 미국 정부는 인권 침해를 이유로 센스타임을 제재 대상에 올려놓고 있다. 2019년 트럼프 행정부는 중국 정부의 신장 내 소수민족 탄압에 센스타임의 얼굴 인식 기술 등이 활용됐다며 미국 기업들이 센스타임과 거래할 수 없도록 하는 제재를 부과했다. 또 바이든 정부도 지난 10일 신장(新疆)위구르자치구 내 인권 유린과 관련된 투자 제한 블랙리스트에 센스타임을 올려 상장 절차가 일시 중단된 바 있다. 미국의 제재로 미국 자본의 투자가
내년부터 외국 자본이 중국에서 승용차 생산 공장을 설립할 때 중국 기업과 합작을 하지 않아도 된다. 그동안 중국에 진출한 모든 자동차 제조사, 예컨대 현대차 등은 중국 기업과 1대1의 합작사를 세워야 했다. 현대차는 베이징자동차와 합작해 중국 현대차 법인을 만들었다. 환구시보, 펑파이(澎湃) 등 현지 매체에 따르면 중국 상무부와 국가발전개혁위원회는 내년부터 중국 승용차 제조 부문에서 외국인 투자 지분을 제한하지 않기로 한 '2021년 외상투자 진입 특별관리 조치'를 27일 발표했다. 이번 조치는 중국 자동차 업체의 성장을 반영한 것으로 분석된다. 올해 11월 기준 중국 내 주요 합작기업의 자동차 판매량은 78만 대로 전년 동기 대비 23% 급감했지만, 중국 자국 브랜드 판매량은 83만 대로 2% 증가했다. 중국은 자국 자동차 산업 초창기인 1994년 ‘자동차 공업 산업 정책’을 발표하면서 완성차 제조 기업의 경우 외국인 지분이 50%를 넘지 못하도록 제한했었다. 이후 시장 개방 압력이 강해지면서 2018년 전기차 등 친환경차 지분 제한을 폐지했고, 2020년에는 상용차 지분 제한을 폐지했다. 중국은 현재 희토류, 담배, 영화 제작 및 유통 등 31개 부문에
'제23회 중국 하이테크 페어(CHTF)'가 27일 광둥(廣東)성 선전(深圳)에서 막을 올렸다. 코로나19 재확산으로 연기된 지 한 달만의 일이다. 이번 CHTF에서는 IT, 바이오, 신에너지, 신소재 등과 관련된 전시 부스가 마련됐다. CHTF의 전시 면적은 15만7000㎡ 이상으로 역대 최대 규모다. '고품질 발전을 촉진하고 새로운 발전 모델을 구축하자'는 주제로 개최된 이번 CHTF에서는 ▲스마트 제조 ▲메타버스▲탄소중립 등과 관련된 다양한 제품과 기술이 선보였다. 오프라인(29일까지)과 가상공간(31일까지) 전시회로 구성된 이번 CHTF에는 26개 국가, 13개 국제기구가 참여했다.
중국 전역의 5G 기지국 수가 130만 개를 넘어서면서 관련 이용자도 급증하고 있다. 중국 공업정보화부가 최근 발표한 통계에 따르면 중국에서 개통된 5G 기지국은 약 130만개, 5G 이용자는 4억9700만명에 달했다. 중국 정부는 5G 단말기의 보급과 기술 상용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5G 네트워크 커버리지는 도시에서 농촌 지역까지 확대됐으며 올해 5G 스마트폰 출하량도 2억5000만 대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5G 스마트폰의 시장 점유율은 이미 전체의 75%를 돌파했다. 중국에서 5G는 디지털 경제와 실물 경제의 끊임없는 융합을 추진하면서 시너지 효과를 창출하고 있다. 중국 정보통신연구원이 최근 발표한 ‘중국 5G발전 및 경제사회영향 백서’에 따르면 2021년 5G가 가져온 직접적인 경제효과는 1조3000억 위안(약 242조 원), 간접적 경제효과는 3조3800억 위안(약 629조 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두 수치 모두 전년 대비 30%이상 증가했다. 이미 세계 최대 5G 기반을 구축한 중국은 2025년까지 5G 기술을 활성화시켜 산업의 디지털화 수준을 대폭 끌어올릴 계획이다. 특히 5G 응용 발전을 체계적으로 추진하면서 네트워크 커버
중국의 올해 1인당 국내총생산(GDP)가 1만2000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됐다. 한원슈(韓文秀) 중앙재정경제위원회 판공실 부주임은 최근 열린 '2021~2022 중국경제연례회의'에서 이같이 밝히며 올해 중국의 경제성장률은 8%를 상회할 것으로 예상했다. 한 부주임은 "내년도 중국 경제정책이 '안정을 최우선으로 하되 안정 속에서 성장을 추구해 나가는 것'을 기본 방향으로 삼을 것"이라며 "경제 안정에 도움이 되는 정책도 적극적으로 시행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안정적인 성장' 정책 기조는 최근 베이징에서 열린 '중국 중앙경제공작회의'에서도 핵심 사안으로 강조됐다. 매년 연말 개최되는 중앙경제공작회의는 다음해 중국 경제 운영 청사진을 제시하는 중요한 회의다. 이번 회의에서는 각 지역과 부문이 거시경제를 안정적으로 운영해 나가야 한다면서 온건한 경제성장을 도모할 수 있는 다양한 정책도 적극 검토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중국이 돌연 희토류 생산을 5배 늘리겠다고 밝혔다. 그동안 중국은 세계 희토류 생산의 90% 이상을 차지하지만, 생산과정에서 오염 등을 이유로 생산량을 일정 수준 유지해왔다. 희토류는 첨단 제품 생산에 가장 중요한 자원이다. 중국이 이처럼 희토류 생산을 늘리는 것은 첨단 자재분야 산업을 키워 미국의 공급망 재편계획에 맞서려는 것으로 보인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특히 중국 네이멍구(內蒙古) 바오터우(包頭)는 '중국 희토류의 수도'로 불린다. 희토류 매장량이 풍부하고 채굴 시설이 밀집돼 있다. 바옌 오보 광산의 경우 중국 희토류 매장량의 약 84%, 세계 희토류 매장량의 약 38%를 차지한다. 네이멍구 공업정보화부가 희토류 생산 규모를 2025년까지 지난해 금액 기준 5배로 늘리겠다고 밝혔다. 14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네이멍구 당국은 2025년까지 바오터우의 희토류 생산가치를 1000억 위안(약 18조5900억원)까지 끌어올린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서는 연간 최소 30%씩 생산가치를 신장시켜야한다. SCMP는 네이멍구 당국이 희토류 산업망의 통합을 추진하는 한편 신에너지 차량과 풍력 발전기에 사용되는 희토류 영구자석에 초점을
중국이 은행들의 달러예금 준비금비율을 2%포인트 높였다. 달러 대비 위안화 환율이 급락하는 데 따른 대책이다. 국제 외환시장에서 달러를 팔고 위안화를 사기 때문에 중국 은행에게 달러를 더 보유하도록 조치를 취한 것이다. 현재 외환시장은 달러와 위안화의 경쟁이 가열하는 상황이다. 양국간의 화폐전쟁의 전운이 감도는 상황에서 나오는 현상이어서 주목된다. 인민은행은 오는 15일부터 중국 내 금융기관의 외화예금 준비금 비율을 7%에서 9%로 2%포인트 상향 조정한다고 9일 밝혔다. 이번 조치는 올해 들어 수출 호조 등의 영향으로 급등한 위안화 가치 흐름에 제동을 걸기 위한 것으로 분석된다. 금융기관의 외화예금 준비금 비율이 올라가면 중국 내 외화 유동성이 떨어져 위안화 평가 절상 압력이 줄어들게 된다. 인민은행은 위안화 가치가 급등한 지난 5월에도 외화예금 준비금 비율을 5%에서 7%로 올린 바 있다. 위안화 가치는 올해 들어 약 2.6% 급등했다. 8일 기준으로 환율이 달러당 6.3456위안까지 내려가 위안화 가치는 2018년 5월 15일 이후 3년 반 만에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중국의 수출 호조는 위안화 강세의 가장 큰 원인으로 꼽힌다. 올해 1∼3분기 중국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