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대 아이폰 생산 공장 지역이 코로나19로 일시 폐쇄돼 애플의 아이폰14 생산에 차질이 불가피해졌다. 중국 당국은 2일 정오부터 허난성 정저우시의 폭스콘 공장이 있는 산업단지에 대해 7일간 폐쇄 명령을 내렸다. 코로나19 환자가 하루 만에 95명에서 359명으로 급증한 데 따른 조치다. 대만에 본사를 둔 폭스콘은 아이폰의 최대 생산업체다. 정저우 폭스콘 공장은 지난 9월 출시한 신제품 아이폰14 시리즈의 80%를, 아이폰14 프로의 85% 이상을 생산한다. 하지만 출시 두 달도 안 돼 생산에 차질이 빚어지면서 애플의 실적에 타격이 예상된다. 아이폰 판매는 애플 전체 매출의 약 절반을 차지한다. 올해 3분기 애플의 전체 매출 901억5000만 달러(약 128조 원) 중 아이폰 판매는 426억3000만 달러(약 60조5000억 원)를 기록했다. 다만, 애플이 아이폰 생산의 대부분을 중국에 많이 의존하면서도 공급망 다양화에 나서고 있다는 점은 어느 정도 폭스콘 공장 가동 중단을 상쇄할 수는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애플은 지난 9월 인도에서 아이폰14를 조립하고 있다고 발표한 바 있다.
홍콩이 3분기 경제 성장률 -4.5%를 기록하며 3개 분기 연속 마이너스 성장을 보였다. 금융과 번영의 상징, 홍콩의 몰락이 보이는 숫자라는 게 전문가들의 대체적인 평이다. 아시아 금융허브, 물류 허브 홍콩이 저물고 있는 것이다. 홍콩 정부가 31일 발표한 7∼9월 경제 성장률 사전 추정치에 따르면 3분기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은 전년 동기 대비 -4.5%를 기록했다. 이는 블룸버그통신의 시장 전망치 -0.8%보다 훨씬 낮으며, 2020년 2분기(-9%) 이후 최악의 지표다. 앞서 홍콩의 2분기 경제 성장률은 -1.3%, 1분기 경제 성장률은 -3.9%였다.통상 시장에서는 2개 분기 이상의 마이너스 성장을 경기 침체로 정의한다 홍콩 정부 대변인은 3분기 경제 성장률 악화에 대해 외부 환경 악화와 국내 수요 둔화를 꼽았다. 블룸버그통신은 "홍콩 경제가 제로 코로나 정책, 고금리, 약화한 외부 수요의 퍼펙트 스톰에 직면했다"며 "3분기 경제 성장률이 더 악화한 것은 부동산 시장 둔화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라고 분석했다. 홍콩은 중국과 유사한 제로 코로나 정책을 고수하면서 외국인 인재들의 이탈이 심화하자 지난 9월 말 3년 가까이 이어온 입국자에 대한 호텔 격
중국에서 2015년 금융시장 폭락 이후 가장 빠른 속도로 핫머니(투기성 자본)가 빠져나가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1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중국 헤지펀드 그로인베스트먼트 보고서를 인용해 이같이 밝히며 홍콩에서는 외국인 브로커들이 대거 이탈하고 있다고 전했다. 외국인 투자자들은 위안화 약세와 중국 경제에 대한 어두운 전망 속에서 지난 9월까지 8개월 연속으로 위안화 채권 보유량을 줄여나간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흐름은 1994년 10월 이후 최장기간이다. 그로인베스트먼트 보고서는 또한 중국 본토 펀드가 투기성 자금의 이탈에 대응하기 위해 홍콩에 상장된 주식을 사들이고 있으며, 일부는 홍콩 최대 상장지수펀드(ETF)인 '트래커 펀드'에 대규모 투자를 하고 있다고 밝혔다. 투기성 약한 손들이 중국 시장에서 빠져나가면서 트래커 펀드'로 유입된 누적 자금이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는 중국 펀드가 다시 중국 시장으로 흘러 들어가는 것을 의미한다. 다만 보고서는 지난 7년간 중국 경제와 시가 총액이 커진 것을 고려할 때 올해 벌어진 핫머니 이탈의 영향은 2015년보다 작다고 분석했다. 2015년 중국 주식시장에서는 외국인 자금이 6700억달러(
블록체인은 컴퓨터 보완 문제가 갈수록 첨예화하면서 부각되는 신기술이다. 중앙 컴퓨터의 해킹으로 인한 피해를 피해 개별 컴퓨터들이 서로가 보안코드를 공유하면서 문서의 복제를 지금까지 나온 어떤 기술보다 안전하게 보관하는 기술이다. 이 기술의 상용화를 위해 만들어진 게 비트코인이다. 보안코드를 공유하는 개별 컴퓨터들에게 보상을 해주기 위해 탄생했다. 아쉽게도 비트코인은 엉뚱하게 금융자산으로 인식되면서 각종 부작용을 낳고 있다. 기존 화폐를 대체하는 수단으로 거론되기도 한다. 흔히 현존 정부가 찍어내는 중앙 권위의 화폐에 대응해 비트코인을 탈 중앙화 화폐라고도 한다. 다만 이 점에서 비트코인은 각국 정부에게 환영을 받지 못하고 있다. 중앙 권위에 대한 도전을 병적으로 싫어하는 중국은 당연히 이 비트코인을 금지하고 있다. 그저 사용을 금지하는 정도가 아니라 개별 컴퓨터의 비트코인 채굴을 통한 블록체인망 참여 자체도 금지하고 있다. 다만 블록체인 기술 활용에는 세계 어느 정부보다 적극적이다. 중국의 경우 14억 명 인구 거의 모두가 온라인 활동에 참여하면서 광활한 토지에 거대한 인구를 통제하는 인터넷이 갈수록 중요해지는 상황에서 외부의 해킹에 대한 대응 역시 갈수록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의 장기 집권 체제 출범에 대한 시장의 우려가 확산하는 가운데 홍콩 증시가 24일 6% 이상 폭락했다. 상하이, 선전 등 중국 본토 증시도 급락했으며 위안화 가치도 2008년 이후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시 주석이 중국 공산당사의 불행으로 꼽히는 '독재의 길'을 열었다는 서방의 분석이 범중국 증시를 덮친 모양새다. 시 주석은 최근 20차 당 대회를 통해 완전한 친정체제를 구축했다는 평을 듣고 있다. 그동안 중국 공산당 지도부는 공청단, 상하이방 등 계파들 간 경쟁과 조율을 통해 집단 지도체제를 유지했지만, 지난 10년 간 시 주석의 친위그룹으로 꼽히는 시자쥔(習家軍)으로 하나 둘씩 채워지더니, 이번 당 대회를 통해 상무위원 7명 전원이 시 주석과 그의 최측근들로 구성되게 됐다. 중국 전문가들은 시 주석이 마오쩌둥의 길을 다시 걷고 있다고 분석했다. 마오 주석은 신중국을 건립했지만, 오만한 경제정책인 '대약진 운동'을 펼쳐 수백만명을 굶겨 죽였다는 평을 듣고 있다. 마오 주석은 대약진 운동의 실패로 정치적 곤궁에 처하자 홍위병을 동원한 '문화대혁명'을 일으켰고, 다시 수백만명을 죽음으로 내몰았다. 중국을 30년간 지구상에서 존재하지 않는
7235억 위안(약 143조 원). 중국 차이나모바일(中国移动)의 올 3개 분기 영업이익이다. 한국의 최고 기업인 삼성전자 올 3분기 영업이익이 10조를 조금 넘는 수준이다. 중국 이동통신의 영업 규모를 짐작케한다. 사실 결국 인구 덕이다. 인구가 많다보니 통화 이용량도 많고 영업 규모도 상상을 초월할 정도로 큰 것이다. 과거 SK에서 이 이동통신 지분을 확보하고 협력했지만 결국 중단되고 말았다. 많은 아쉬움을 남기는 투자사례다. 중국 차이나모바일은 중국 3대 통신사 중 선두를 유지하고 있다. 차이나모바일이 최근 3분기 보고서를 공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차이나모바일의 1~3분기 영업이익은 7235억 위안(약 143조 원)으로 작년 동기 대비 11.5% 증가했으며, 순이익은 985억 위안(약 19조 원)으로 작년 동기 대비 13.3% 증가했다. 올해 1~3분기 차이나모바일의 수입 구조는 지속해서 조정되어왔다. 주요 사업 매출은 6201억 위안으로 작년 동기 대비 8.3% 증가했으며, 기타 사업 매출은 1034억 위안으로 작년 동기 대비 36.4% 증가했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3분기 말까지 유선 광대역 고객 수는 2억6500만 가구로 1~3분기 동안 2482
자기부상 열차는 객차가 레일 위에 떠서 주행한다. 마찰, 공해, 소음, 진동이 적은 반면 속도는 끌어 올릴 수 있어 더욱 편안한 승차감을 제공할 수 있다. 중국이 시속 1000㎞ 이상으로 객차를 가속할 수 있는 세계 최강 자기부상 추진 시스템을 선보였다. 중국중앙TV(CCTV)는 중국과학원 산하 전기공학연구소가 음속의 바로 아래 단계인 시속 1030㎞로 달리는 '전자기 썰매(電磁橇)'가 최근 산둥성 지난시에서 시험 가동에 성공했다고 20일 보도했다. CCTV는 33억 위안(약 6500억 원)이 투입된 이번 프로젝트에서 전기공역연구소 과학자들이 객차를 기록적 속력으로 추진하기 위해 중요한 공학적·기술적 도전을 극복해야 했으며 레일건 무기에 사용되는 것과 유사한 메커니즘을 활용했다고 전했다. 레일건은 포탄이 음속의 7배 속도로 포신을 빠져나가 목표물을 타격하기 때문에 '슈퍼대포'로 불린다. CCTV는 속도 신기록을 세운 이번 '전자기 썰매'가 열차와 비행기 등 새로운 운송 기술의 개발을 촉진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 지난시에는 세계 최초 전자기 추진 지상 초고속 시험 시설이 구축돼 있다고 덧붙였다. 현재 세계에서 가장 빠른 상업 자기부상 열차는 상하이시에서 운행
중국 위안화의 달러 대비 가치가 14년여 만에 최저로 떨어졌다. 20일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전날 중국 역내 위안/달러 환율은 전장보다 0.42% 내려간 7.2279위안으로 마감했다. 이는 2008년 1월 이후 가장 높은 것이다. 블룸버그는 달러화 초강세와 함께 미 국채 금리 상승을 환율 상승의 배경으로 꼽았다. 각국의 공격적인 기준금리 인상에도 인플레이션(물가 상승) 통제가 쉽지 않다는 관측 속에, 이날 미국 2년물 국채금리는 2007년 이후 최고치인 4.56%로 올랐다. 10년물 국채 금리도 4% 선을 넘어 4.13%까지 치솟았다. 또한 최근 중국 기업들의 주가 약세에 따른 투자심리 약화가 위안화 환율에도 영향을 끼쳤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미국 증시에 상장된 중국 기업의 주가를 추종하는 '나스닥 골든 드래곤 차이나지수'는 이날 하루에만 7.1%나 급락, 종가 기준으로 2013년 7월 이후 9년여 만에 최저수준으로 떨어졌다. 블룸버그는 중국 공산당 20차 전국대표대회(당 대회)가 진행 중인 가운데 코로나19 확산과 중국 경기침체 우려 고조 등이 이 지수를 끌어내렸다고 분석했다. 18일 베이징의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가 최근 4개월 사이 최고로 늘면서 이
'회색시장'은 합법과 불법의 중간에 있는 시장으로, 생산자의 공식 유통채널을 벗어나 물건이 매매되는 통로를 말한다. 자동차용 반도체 공급 부족으로 중국 광둥성 선전 등지에 반도체 '회색시장'이 성행하고 있다고 19일 블룸버그통신이 보도했다. 반도체 수요는 치솟는데 공급 부족과 가격 상승이 이어지자 중국 자동차 업체들이 회색시장에서 다급하게 반도체를 사들이고 있다는 것이다. 중국 내 반도체 회색시장은 전부터 존재했으나 최근의 반도체 부족 사태로 인해 급격하게 커졌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회색시장의 반도체는 브로커들이 제조사들에게 초과 주문을 넣거나, 재고 반도체를 합법적으로 판매하는 업체가 이익을 늘리기 위해 생산업체와 계약을 위반하는 방법 등으로 확보된다. 브로커들은 반도체를 사재기해 두고 가격이 오를 때 판매해 더 큰 이익을 낸다. 중국에서 사재기는 불법으로 단속 대상이다. 회색시장 거래는 주로 위챗 메신저나 이메일 등으로 이뤄지고 현금거래만 가능하다고 알려져 있다. 브로커들은 반도체가 어디서 왔는지 추적할 수 없도록 포장에 있는 라벨이나 정보를 지운다. 가짜 칩은 거의 없지만, 폐차된 자동차 부품에서 중고 반도체를 재활용하는 경우는 종종 있다. 반도체는
중국 당국이 주식시장 부양책을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중국 증시는 CSI300 지수가 코로나19 팬데믹 초기 이후 최저점을 기록하는 등 부진을 면치 못하고 있다. 17일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중국 정부는 상장기업의 자사주 매입을 유도하고 해외 뮤추얼펀드의 단기 거래 규제를 완화하는 등 증시 띄우기에 나설 계획이다. 중국 증권감독관리위원회(CSRC)는 현재 기업공개(IPO) 이후 12개월인 자사주 매입 금지 기간을 6개월로 단축하고, 자사주 매입 허용 요건을 기존 '20거래일간 주가 30% 이상 하락'에서 '25% 이상 하락'으로 넓히기로 했다. 또 중국 당국은 해외 펀드의 단기간 주식 거래 제한도 완화할 방침이다. 이와 더불어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은 1년 만기 중기유동성지원창구(MLF) 대출 금리를 2.75%로 동결했다. 이날 5000억 위안(약 100조원) 규모의 1년 만기 MLF 대출 만기가 도래한 가운데 인민은행은 같은 규모의 MLF 대출을 전과 같은 금리로 내줬다. MLF는 인민은행이 시중 은행에 자금을 공급해 유동성과 금리를 조절하는 정책 수단이다. 인민은행의 이번 유동성 투입은 세금 납부와 지방 국채 발행 증가로 인한 자금 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