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에 대한 중국책임론과 함께 시작된 중국과 미국의 대립이 치열해지고 있는 가운데, 미국과 서방국가들이 2022년 베이징(北京) 동계올림픽에 대한 보이코트를 선언할 지 모른다는 보도가 나왔다. 홍콩의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오늘 20일, 신냉전으로 불리는 2020년 상황으로 보아, 미국을 위시한 서방국가들이, 최근 중국이 대회 개막일까지 남은 시간을 표시하는 '카운트다운 시계'까지 공개하면서 홍보를 시작한 베이징 동계올림픽의 흥행을 깨기 위해, 일찌감치 불참을 선언할 수도 있다는 내용을 보도했다. 베이징 동계올림픽은 중국이 완벽한 개최를 위해 지금까지 모두 약 31억 달러 (한화환산 약 3조7천억원)의 예산을 세워놓고 준비하고 있다. 중국은 또 베이징에서 멀리 떨어진 허베이성 장자커우(張家口)의 스키경기장 까지를 연결하는 특별 고속철도를 건설하기로 하는데에도 한화 약 10조원의 대규모투자를 진행하고 있다. 중국이 이처럼 대형투자로 준비하는 2022년 동계올림픽에 대해 미국의 상원의원이 브레이크를 걸고 나섰기 때문이다. 지난 3월 미국 상원 릭 스콧 의원은 중국의 신장 위구르 자치구의 인권침해사건들을 내세워, 2021년 1월까지 인권상황이 개선
영국주재 류샤오밍 중국대사가, 영국에 대해 미국과 함께 중국기업과 중국관리에 대한 제재나 불이익조치를 실행한다면, " 영국은 반드시 상응한 댓가를 감수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류샤오밍 (刘晓明)대사는 19일(현지시간) 영국의 BBC TV의 앤드류 마 쇼(The Andrew Marr Show)에 출연해, ' 현재 영국의 보수당정권이 화웨이를 제재하려는 것도 모자라, 미국의 요구에 따라 홍콩보안법실행과 관련해 영국과 홍콩의 범죄인인도조약을 파기하고, 미국의 중국 고위공무원 제재에 동참한다면, 분명히 댓가를 치르게 될 것' 이라고 경고했다. 류샤오밍 중국대사는, BBC TV와의 대담에서 미국의 중국고위공무원 제재에 대해 중국이 바로 미국 참의원을 제재한 것에서 알수 있듯이, '" 중국은 먼저 공격하진 않지만, 부당한 공격을 당하면 바로 보복한다" 는 점을 영국은 직시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날 아침 영국의 타임스와 데일리텔레그라프지는, 영국이 다음날 미국과 같이 홍콩과의 범죄인 인도조약의 파기를 선언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1956년생인 류샤오밍대사는 지난 2009년부터 올해 12년째 영국주재 중국대사를 역임하고 있는 영국통 베테랑 외교관이다. 류대사는, 부임후
미 국방장관 애스퍼( (Mark Esper) 가, 또 '중국 공산당'을 겨냥해 거센 비난을 쏟아냈다고 한다. 미국은 최근 들어 '중국'을 비난하는 대신에 '중국공산당'을 비난하는 전략으로 바꾼 것같다. 미국 트럼프는 , 자신의 재선을 위해 중국과 대결구도를 설정했던 올해 초부터 부쩍, 그 전과 달리, 그 동안 전통적으로 사용했던 ' 중국' 이라는 단어 대신 ' 중국 공산당' 이란 단어를 사용하며 비난할 때가 많아진 것 같다. 우리 언론도 미국정치인들의 이런 화법이 신기한 지, 이들이 중국공산당을 언급할 때는, 특별하게 비난의 강도가 센것처럼 의미를 부여해 전달하곤 한다. 이처럼 트럼프가 미중 무역전쟁과 코로나19 중국책임론을 거론하며 중국을 강도높게 공격할 때마자 주로 중국 이라는 말 대신 중국공산당을 거론하며 비난해 왔는데, 이같은 미 백악관의 기조변화의 배경에는, 20대 초에 미국유학을 갔다가 미국국적으로 바꾼 한 화교( 중국인으로서 외국에 나가 현지국적이 된 사람) 가 매우 큰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중국의 주요 관영매체의 하나인 환치우 스빠오 ( 环球 时报,환구 시보, Global Times ) 의 후시진( 胡锡进) 편집장은 지난 19일
홍콩보안법 발효를 전후해, 홍콩부유층과 유력기업들이 자신들의 자산을 싱가포르로 대량유출시켰다는 보도가 적지 않았는데, 이 모두 사실이 아니라고 싱가포르 통화청이 부인했다. 싱가포르의 통화문제를 전담하는 금융관리청의 라비메논 청장은 CNBC와의 16일(현지시간) 인터뷰에서, 올해 1월부터 싱가포르에 의미있는 규모의 자금이 유입됐거나 특이한 금융자본의 이전이 없었다고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싱가포르 금융관리청 MAS ( Monetary Authority of Singarpore) 는 싱가포르 중앙은행을 겸하고 있는데, 라비메논 청장겸 중앙은행장이 , 외신과의 인터뷰에서 그동안 홍콩내의 반중시위를 비롯해 정치적인 소요가 적지 않았던 가운데, 홍콩자본의 싱가포르 유출에 관한 많은 질문이 있었다며 이 같이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는, 이날 중앙은행이 발행하는 연례보고서의 발표와 기자회견을 겸한 자리에서, 싱가포르에는 비단 홍콩뿐만이 아니라 세계각국에서 항상 외부의 자금이 유입되거나 이동하는 등의 변화가 있지만, 홍콩으로부터 특별한 자본유입의 증가가 있었던 적은 없었다고 발표했다. 라빈 중앙은행장은 특히, 홍콩사태이후 그동안 꾸준히, 홍콩의 부유층이나 일부회사의 자본
미국이 홍콩에 이어 신장위구르 지역 흔들기에 나섰다 AP통신과 홍콩매체들은, 미국 국무부가 9일 (현지시각) 중국 서북부 신장위구르 자치구 (新疆维吾尔自治区) 의 당서기등 최고위 공무원 3명에 대해 미국 입국을 금지하는 비자제한조치를 발표했다고 보도했다. 미국 국무부의 비자제한조치의 대상이 된 인물은, 신장 위구르자치구의 천츄엔꿔( 陈全国) 당위원회 서기 와 주하이룬 ( 朱海仑) 전 자치구 당위원회 정법위원회 서기, 현 신장위구르자치구 인민대표대회 상임위원회 부주임) 그리고 왕민산( 王明山) 자치구 당위원회 정법위원회 부서기 겸 공안청 당서기 등 3명이다. 천츄엔꿔 당서기는, 중공중앙위원회 정치국원 25명의 일원으로 다른 성이나 자치구의 당서기에 비해 공산당 내의 권력서열이 비교적 높은 인물이기도 하다. 미 국무부의 이번 미국입국제한조치는 3명의 직계가족도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외신들에 따르면,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은 " 이번 미국입국제한조치를 받은 3 인은, 그동안 위구르족과 카자흐족, 신장의 다른 소수민족에 대한 부당한 억류와 탄압에 책임이 있는 사람들이다. 그리고 이 외에 다른 중국공산당 간부들에게도 추가 비자 제한을 가할 것이다" 라고 말한 것
홍콩정부는, 미국 의회가 자국의 정치적 목적을 위해 제정한 홍콩자치법은 실제적인 효력이 없을 뿐만 아니라, 중국의 일부라고 스스로 인정한 홍콩을 국내정치에 이용하려는 비열한 술책이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미국이 만든 홍콩자치법은, 중국의 홍콩 국가보안법를 제정한 것에 대해 홍콩을 제재할 수 있다는 세부조항을 담은 법으로 알려졌다. 홍콩정부는 어제 3일, 미국의회가 홍콩 사무에 대해 개입하려 하는 시도를 즉각 중단할 것을 강력하게 다시 한번 촉구했다. 홍콩정부는 이 성명에서, 미국의회가 홍콩자치법제정을 근거로 해서 향후 홍콩에 대한 제재를 시도하려는 시도는 결코 중국의 내정을 실질적으로 간섭할 수 없을 것이며 , 결국 미국의 홍콩에 대한 관계만 해칠 뿐이라면서 나아가 홍콩과 미국의 공통이익만을 저해하게 될 것이라고 성토했다. 홍콩에서는 이번 달 1일부터, 중국대륙의 중앙정부가 지난 양회가 제정한 홍콩보안법이 정식 발효돼 시행을 개시했다. 이 법은, 홍콩에서 홍콩인은 물론 어떤 외국인도, 홍콩과 중국의 국가분열과 정권의 전복을 위한 일체의 행위를 금지하고, 나아가 이를 위한 외국세력과의 결탁행위도 중대범죄로 엄벌에 처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중국정부는, 중국
미 트럼프 행정부가 중국 공무원들의 미국입국비자를 제한하고 박탈하겠다고 발표한데 대해 중국이 크게 반발하는 양상이다. 미국이 중국공무원의 비자제한조치는, 중국의 홍콩 국가보안법이 민주주의와 홍콩인권에 대한 중대한 침해로 봤기 때문이다. 중국매체들은 미국의 규제와 제한에 맞선, 중국정부의 보복조치가 조만간 나올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미국에 대한 항의는 먼저, 미국에 진출한 중국대사관이 가장 먼저 제기했다. 미 워싱턴의 주미 중국대사관은, ' 홍콩에 대한 중국정부의 모든 조치는 중국의 내정으로서, 중국은 미국을 비롯한 어떠한 외국의 중국내정에 대한 간섭을 용납할 수 없다고 밝히면서, 미국의회의 이번 법제정을 인정할 수없다' 는 강력한 성명을 발표했다. 주미 중국대사관측은 또, 중국이 자국의 일부인 홍콩의 주권을 지키기 위해, 홍콩보안법을 제정한 것은, 세계 어느나라에게나 부여된 고유한 주권의 행사라는 점을 분명히 했다. 그리고 이와같은 주권의 정당한 행사는, 오래전부터 통용되온 국제사회의 관례라고 강도높게 비난했다. 주미 중국대사관은 마지막으로, 미국정부가 잘못된 결정을 빨리 바로잡아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이후 중국에 대한 어떠한 형태의 내정간섭행위를 금지할
서방 선진 부유국들이, 미국과 유럽등 의료선진국에서 임상실험이 한창인 코로나 백신을 먼저 공급받기 위해 경쟁적으로 계약을 하고 있다는 소식이 알려지면서, 아프리카나 아시아 남미등 저개발 빈국들 국민들의 백신조달에 비상이 걸렸다. 홍콩의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 등유력매체들은 26일, 코로나 19의 백신개발이 막바지에 도달한 제품에 대해 영국과 미국등 이른바 서양 선진국들이 앞다투어 매점매석에 나서고 있다는 의혹등에 관해 연일 보도를 이어가고 있다. 공 ㅣㅆ일늡이 경은 한 을배랄 지ㅏㄴ지이 상"저개발 국가, 코로나19 백신 공급 못 받을 우려" / 영 1억명분·미 3억명분 계약…유럽 4개국은 '백신 동맹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개발이 막바지 단계에 접어들면서 개발되는 백신을 먼저 차지하기 위한 각국 간 경쟁이 치열하다고 가 26일 보도했다. 서방각국정부의 발표와 관련 보도를 종합하면, 영국 정부는 다국적 제약회사 아스트라제네카와 최고 1억 명에게 접종할 수 있는 코로나 19 백신을 공급받기 위한 계약을 체결한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 정부도 이 회사에 백신 개발 자금을 지원했다는 명분을 앞세워 그 댓가를 요구하면서, 무려 3억 명에게
미국 트럼프대통령의 국가안보보좌관을 사퇴하고 나간 존 볼턴이 연일 트럼프대통령을 궁지에 몰아넣는 발언으로 화제를 불러일으키고 있다. 볼턴은 출간 예정인 '그 일이 일어난 방'이라는 제목의 자신의 회고록에서, 지난해 크리스마스 만찬이 열린 백악관에서 캐나다에서 체포돼, 당시 만 1년째 자택 연금중인 화웨이 회장의 딸 멍완저우 부회장을 빗대서, "중국의 이방카"가 체포됐으니 당연히 중국이 압력을 느낄 것이라고, 외교관례를 무시하는 거친 말태도를 보였다고 주장했다. 존 볼턴 전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은, 바로 맞은편에서 자신에게 이런 말을 하는 트럼프대통령에게, ' 아니 그럼 당신의 딸이 이방카도 스파이? 아니면 사기꾼? ' 이라고 말할 뻔 했다는 비사를 소개했다. 볼턴 전 안보보좌관은, 트럼프의 이런 투의 말뽄새는 자신의 사위인 재러드 쿠슈너에게서 배운 것같다고 회고하며 주장했다. 그러면서 그는 이런 반박으로 그 자리가 어색해질 것을 우려해 간신히 참았다고 당시상황을 회고해 덧붙혔다. 화웨이 회장 런정페이(任正非)의 큰 딸인 멍완저우는 작년 12월 1일 밴쿠버에서 남미행항공기로 트랜짓하기 위해 공항에서 항공기를 기다리던, 미국 FBI의 연락을 받은 캐나다경찰
미국의 압박을 받고 있는 중국 정부가 코로나19에 집단 감염됐다는 미국회사가 수출한 가금육의 수입을 전면금지하고 나서, 본격적인 반격에 나섰다는 관측이 제기되고 있다. 중국의 시나차이징( sina财经) 등은, 중국의 관세청인 해관총서가 21일부터 미국 가금류도살전문회사인 타이슨이 수출한 육류에 대한 수입통관작업을 중단했다고 보도했다. 미국과 중국매체들은, 지난주 미국 타이슨사의 직원들이 코로나19에 집단감염됐다는 사실을 보도했었다. 미국의 타이슨사는 그동안, 자사의 도살시설에 부여된 고유번호를 중국의 해관총서에 등록시키고 해당 바코드가 인쇄된 라벨을 붙여 대중국수출을 진행해왔었다. 그런데 직원들의 집단감염사실이 언론을 통해 알져지자, 중국의 통관기관이 바로 이 타이슨사의 도살시설 고유번호가 붙은 수입육류에 대한 통관을 거부하면 세관을 넘을 수 없도록 조치해버린 것이다. 일부에서는 중국이 미국의 부당한 일방적인 압력에 항의하는 수단으로, 미국 트럼프가 자신의 공적로 널리 선전해온 중미간 1차 무역합의자체를 무산시키기위한 사전 정지작업이라는 시선을 보내고 있다. 이에 대해 중국외교부는 특별한 언급을 하지 않고 있다. 하지만 중국은 최근까지 기회있을 때마다, 중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