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한자 명상 – 쓸 용(用), 가장 짧은 판이 나무 양동이의 물의 양을 결정한다



 

나무로 물통을 만들어 쓴다.

물의 양을 얼마나 담느냐가

이 나무로 만든 물통의 활용도를 결정한다.

 

물통의 물의 양은

무엇이 결정하게 될까.

 

가장 긴 나무판일까? 아니다.

가장 수가 많은 크기가 비슷한 나무판일까? 아니다.

가장 짧은 나무판이다.

가장 짧은 나무판이 이 물통이 담을 수 있는

물의 양을 결정하게 된다.

 

바로 용도를 보는 법이다.

쓸모를 보는 법이다.

 

한자 쓸 용(用)이 가르쳐 주는 지혜다.

쓸 용(用)은 상용자다.

나무판을 이어서 만든 통이 바로 쓸 용의 의미다.

오래된 글자로 갑골문에 등장한다.

이미 갑골문에서 쓰다는 의미로 쓰인다.

 

중국의 첫 사전인 설문해자에서는

용(用)의 의미를 복(卜)과 가운데 중(中)에 따른다고 설명한다.

설문해자가 만들어질 당시

갑골자는 아직 땅 속에 있었다.

자연히 오류가 많다.

 

어떻게 나무통이 ‘쓰다’는 뜻이 됐을까.

중국 쪽 설명은

물통은 생활용품으로 자주 쓰이면서,

물통이라는 한자 용(用)에 쓰다는 뜻을 갖게 됐다고 한다.

 

설명이 좀 궁색해 보인다.

미술에서 형체를 만드는 데는 두 가지 방법이 있다.

겉에서 깎아 가는 법과 덧붙이는 방법이다.

 

‘쓸모’를 알려면 같은 방법이 유용하다.

쓸모를 결정하는 한가지 사실만 알면 된다.

물통 속 물의 양을 결정하는 건 나무 물통의 가장 짧은 판이다. 가장 짧은 판이 결정되면 나머지는 그 짧은 판보다 같거나 좀 크면 될 뿐이다.

가장 짧은 판의 길이가 결정됐는데 긴 판들만 고집하는 것 낭비다.

 

용(用)의 의미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것이다.

노자가 가장 극적으로 이 이치를 설명했다.

‘當無有用’(당무유용)

‘빈 곳이, 모자란 곳이 비로소 그 쓸모를 결정한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