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인도·태평양 경제프레임워크(IPEF) 출범 놓고 미중 갈등 고조

 

미국이 주도하는 '인도·태평양 경제프레임워크(IPEF)' 출범을 앞두고 미중 간 신경전이 고조되고 있다.

IPEF는 중국 중심의 세계 최대 자유무역협정인 '역내 포괄적 경제동반자협정(RCEP)'과 중국의 핵심 대외 정책인 일대일로(중국-중앙아시아-유럽을 연결하는 육상·해상 실크로드) 프로젝트를 견제하기 위해 미국이 고안한 경제 협의체다.

외신에 따르면 조 바이든 미 대통령은 최근 한국, 일본, 싱가포르, 필리핀 등 인도·태평양 지역 우방 국가들에게 한일 순방 기간(20∼24일)에 IPEF를 공식 출범하겠다는 계획을 알리며 참여를 독려했다.

외신들은 IPEF가 무역, 공급망, 탈탄소 및 인프라, 탈세 및 부패 방지 등 4개 주제를 중심으로 참여국의 경제 협력을 모색하는 협의체이지만 사실상 중국을 배제한 공급망 협력에 방점이 찍힐 것이라고 전망했다.

중국은 바이든 대통령의 아시아 순방을 앞두고 IPEF에 대해 견제하는 목소리를 강하게 쏟아내고 있다.

자오리젠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12일 정례 브리핑에서 IPEF 출범 움직임과 한국, 일본의 가입 가능성에 대해 "아시아·태평양은 지정학의 바둑판이 아니다"라며 "어떠한 아·태 지역 협력 틀이건 평화·발전의 시대적 조류에 순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관영 글로벌타임스는 11일 칼럼에서 "IPEF는 중국을 공급망 밖으로 밀어내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고 지적하며 "미국이 아·태 지역에서 소규모 경제권을 형성해 중국의 국익을 훼손하려는 시도는 중국의 보복 조치를 유발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