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中-솔로몬제도 안보협정 체결에 미국 즉각 대응

 

호주, 뉴질랜드 인근의 남태평양 국가들은 2차 세계대전 이후로 사실상 미국의 영향력 아래 있었다. 하지만 최근 중국이 솔로몬제도와 안보협정을 체결하는 등 이 지역에 대한 영향력을 확대하면서 미국이 즉각적인 대응에 나섰다.

미중 갈등이 경제에서 안보 분야로 확대하는 모습이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는 19일(현지시간) 대변인 성명을 통해 "미국, 호주, 뉴질랜드, 일본 등 4개국은 중국과 솔로몬제도의 협정 체결에 따른 안보 체계 변화가 자유롭고 개방된 인도·태평양 지역에 심각한 위험이 될 것이라는 데 인식을 같이했다"고 밝혔다.

미국은 그동안 인도·태평양 지역에서 대중 포위망을 구축해 견제 수위를 높여왔지만 이번 협정 체결이 완료될 경우 안보상 위험이 된다고 판단해 대응에 나선 것으로 분석된다.

미국은 중국-솔로몬제도 안보협정 서명 발표 후 곧바로 커트 캠벨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인도·태평양 조정관이 이끄는 고위급 대표단의 남태평양 파견을 결정한 바 있다.

미국의 즉각적인 대응에 대해 중국은 이해 못할 반응이라는 입장이다. 왕원빈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20일 정례 브리핑에서 "이번 협정은 어떠한 제3자도 겨냥하지 않는다"며 "태평양 도서국들은 미국 또는 미국을 포함한 동맹국 그룹하고만 안보 협력을 할 수 있다는 것인가?"라고 반문했다.

외신에 따르면 중국-솔로몬제도 안보 협정문에는 현지 중국인 보호 등 중국의 필요에 따라 함정과 병력을 솔로몬제도에 파견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머내시 소가바레 솔로몬제도 총리는 미국, 호주, 뉴질랜드 등 주변국들의 우려에 불쾌감을 표시하며 중국과의 협정 체결은 국익을 위한 결정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