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베이징동계올림픽 메달 디자인 공개

 

중국 당국의 2022년 베이징 동계올림픽 준비가 하나 둘 가시권에 들고 있다. 베이징대회 조직위원회는 최근 제24회 동계올림픽의 메달 디자인이 공개됐다.

26일 베이징올림픽 대회 조직위원회 발표에 따르면 이번 동계올림픽 때 선수들에게 수여될 메달의 이름은 ‘동심'(同心)이다. '한마음으로'(together as one)라는 뜻이다.

중국 발음으로는 '퉁신'이다. 이 발음은 가장 핫한 미래 기술, 모두를 연결하는 초연결시대의 '통신'(通信)과 해음이다. 통신 역시 중국 발음으로 퉁신이다.

메달 디자인을 살펴보면, 중국 고대 옥 목걸이의 펜던트 모양을 바탕으로 만들었다.

가운데 오륜 마크와 함께 중국에서 하늘, 땅, 사람의 조화를 의미하는 5개의 동심원이 들어 있다.  어찌보면 올림픽 정신이야 말로 미래의 초연결시대, 인류 문화를 밝히는 최고의 이데올로기일 수 있다.

동심원 주위에는 얼음, 눈, 구름 등의 무늬가 함께 새겨졌다. 또 2008년 베이징 하계올림픽 당시 메달 디자인을 가미해 베이징이 사상 최초의 동·하계 올림픽 개최 도시임을 부각했다. 중국 당국이 이 점을 부각한 점은 묘수다. 중국 베이징의 새로운 의미가 부여된 것이기 때문이다.

세계에서 하계, 동계 올림픽을 동시에 치를 수 있는 대도시는 몇개 되지 않는다. 겨울 스포츠를 위한 적당한 산이 도시 주변에 있어야 하는데, 서울도 그 같은 환경을 갖고 있지 못하다. 베이징은 도심에서 바로 만리장성에 오를 정도로 산악에 둘러쌓인 분지다. 

메달 뒷면에는 베이징 동계올림픽 엠블럼과 대회 명칭이 한자로 표기돼 있다. 세부 종목 이름은 영어로 메달 하단에 새겨 넣었다.

베이징 동계올림픽은 내년 2월 4일 개막해 2월 20일까지 7개 종목, 109개의 금메달을 놓고 열전을 벌인다. 올림픽 마스코트는 얼음 옷을 입은 판다를 형상화한 '빙둔둔', 대회 슬로건은 '함께하는 미래'(Together for a Shared Future)다. 퉁신의 의미를 다시 한 번 되새겼다.

지난 도쿄 하계올림픽이 무관중 대회로 열린 반면 베이징 동계올림픽은 중국 본토 거주자 가운데 코로나19 방역 조건을 충족한 경우 경기장 관람이 허용된다. 올림픽이 기대되는 대목이다.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