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中웨이보, 한국 연예인 팬클럽 계정 21개 정지

 

중국판 트위터인 웨이보(微博)가 한국 연예인에 대한 중국 팬클럽 계정 21개에 대해 30일 정지 조치를 취했다. 최근 중국 당국이 분배를 강화하는 '공동부유'를 정책 기조로 삼으면서 대중문화계에 불고 있는 '홍색 정풍 운동'의 여파로 분석된다. 

웨이보가 정지한 21개 계정에는 방탄소년단(BTS), 엑소, NCT, 아이유 등 한국을 대표하는 가수들이 대거 포함됐다. 또 BTS의 RM·진·제이홉 개인 팬클럽 계정, 블랙핑크의 로제·리사 개인 팬클럽 계정, NCT의 재현·마크·재민·태용 개인 팬클럽 계정 등도 30일간 정지됐다.

펑파이(澎湃)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웨이보는 '비이성적인 스타 추종과 응원 전파'를 한국 연예인 팬클럽 계정 정지 이유로 들었다. 지난달 27일 중국 공산당 중앙인터넷안전정보화위원회 판공실이 발표한 '무질서한 팬덤에 대한 관리 강화' 방안의 후속 조치인 셈이다.  

웨이보는 앞으로도 연예인 팬클럽 콘텐츠 관리에 집중한다는 방침이다. 팬클럽 내 미성년자 회원들의 연예인 응원 모금이나 팬클럽끼리 비방하고 유언비어를 퍼뜨리는 행위 등이 모두 공산당 판공실의 지침에 어긋나 온라인 플랫폼인 웨이보가 처벌될 수 있기 때문이다.

 

 

웨이보는 앞서 방탄소년단(BTS) 멤버 지민의 중국 팬클럽 계정도 60일 정지시켰다. 지민의 생일을 앞두고 5일 중국 팬들이 돈을 모아 지민의 사진과 생일 축하 문구로 장식한 항공기를 띄우자 곧바로 60일 계정 정지와 생일 이벤트 관련 게시물 삭제 처분을 단행했다. 이날 웨이보는 "비이성적인 스타 추종 행위를 단호히 반대하고 엄정하게 처리할 것"이라고 밝혀 한국 연예인 팬클럽 계정에 대한 무더기 정지 조치를 사실상 예고했다.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