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인기 음료 '중국 레드불‘, 상반기 매출만 127억 3천만 위안

 

'127억3000만 위안'

대략 2조2619억원 가량이다. 중국의 인기 음료 레드불의 올 상반기 매출이다. 음료 하나를 팔아서 2조원 이상의 매출을 올리는 시장이 바로 중국이다.

중국 현지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레드불의 올해 상반기 매출은 127억 3천만 위안으로 집계됐다.

중국 레드볼은 한국의 박카스 격이다. 맛도 유사한 면이 있다. 레드볼은 사람들에게 '에너지 음료'로 알려져 있다. 마시면 기력보충의 효력이 있다는 것이다. 

이런 점에서 중국 소비자의 환영을 받고 있다.

중국에서 레드볼을 맛 본 많은 한국인들이 박카스를 레드볼 식으로 팔면 소비자들의 접근이 더 쉽겠다고 조언한다. 

철저하게 스테미너 음료로 자리 매김하고 있다. 운동하고 가볍게 마시고 일을 하고 지칠 때 가볍게 마시는 음료로 소비자들에게 인정 받고 있는 것이다. 

이는 한국 바카스가 약품 인상이 짙은 것과는 차이가 있다. 

한국에서도 박카스의 무거운 인상을 걷어내고 젊은 층의 체력 보강 음료처럼 자리 잡고자 노력하는 모습이 보인다. 박카스 맛의 젤리도 만들어 파는 게 이 같은 노력의 일환으로 풀이된다. 

중국에서도 조만간 레드볼 젤리가 나오지 않을까 기대된다. 마케팅은 본래 '미투'에서 나왔다. 남들이 잘하는 것을 따라하는 것, 벤치마킹은 마케팅의 기본 전략이다. 

실제 중국에서는 레드볼의 인기에 힘입어 올 하반기에는 신제품도 나온다고 한다. 하반기 레드볼은 어떤 모습일지 소비자들의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소비자의 관심이 높아지면 기업 매출은 자연히 오른다. 레드불 음료수의 운영기업인 화빈그룹(华彬快消品)의 전체 매출액은 134.4억 위안이었다.

연간 목표의 53.3%가량이다. 화빈그룹은 레드볼 뿐 아니라 또 다른 에너지 드링크 브랜드 ‘잔마'(战马)도 있다. 화빈그룹은 잔마를 레브볼 수준의 브랜드로 만들기 위해 5년간 집중 투자할 계획이다.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