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올해 1분기 반도체 장비 투자액 세계 1위는 한국, 중국은 2위

 

73억 1천만 달러

한국의 반도체 투자액이다. 

 

반도체는 향후 10년간 부국과 빈국을 가르는 중요한 산업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런 반도체에 누가 얼마나 투자를 하느냐는 것은 향후 10년내 누가 부국이 되고 누가 빈국이 될지를 판단하는 주요 지표가 될 수 있다.

올 1분기 세계 최대 투자액은 73억 1천만 달러를 기록했다.

그리고 이 투자액을 지출한 나라는 다른 나라가 아닌 바로 '한국'이었다.

 

4일 중국 매체 등이 보도한 국제 반도체 장비 재료 협회(SEMI) 자료에 따르면 올해 1~3월 한국의 반도체 장비 투자액은 73억 1천만 달러로 전체 장비 구매의 31%를 차지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33억 6000만 달러에서 118% 증가한 수치다.

 

같은 기간 세계 반도체 장비 판매량의 3/10을 차지하며, 한국 기업이 글로벌 장비 투자의 가장 적극적인 구매자가 되었다.

 

2위는 중국으로, 중국의 투자액은 59억 6000만 달러로 작년 같은 기간에 비해 약 70% 증가했다. 3위인 대만의 투자액은 57억 10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42 % 증가했다. 흥미로운 점은 한국, 중국, 대만의 대폭 증가와는 대조적으로 일본의 경우 전년 대비 1% 감소한 미화 16억 6000만 달러에 불과했다. 또한 미국과 캐나다가 위치한 북미는 13억 40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30% 감소했으며 유럽은 5억 80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9% 감소했다.

 

1위: 한국

2위: 중국

3위: 대만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