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세계여권지수에서 중국 68위, 한국은 3위

 

유엔세계여행기구 ( 联合国世界旅游组织 / United Nations World Tourism Organisation)가 지난 중순에 발표한 2021년도 자료에 따르면, 중국의 여권지수는 지난 10년동안 세계 90위 였으나 그동안 22 계단을 상승해 68위를 기록했다고, 왕이신원등이 보도했다.

 

각국의 여권지수는, 이른바 무비자로 얼마나 많은 나라를 여행할 수 있는가를 조사해 순위를 매긴 지수로, 무비자협정국이 많은 국가는 여권지수가 높다고 일컬어지고 있다.

 

 

유엔기구가 2021년 초 현재 자료에 근거해 이번 달 중순경에 발표한 여권지수의 순위를 보자면 , 1위가 일본여권으로 이 여권으로는 세계 191개 국을 별도의 입국비자없이 출입국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2위는 싱가폴여권이 190개국, 한국은 독일과 같이 189개국을 무비자입국할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됐고, 6위  프랑스와 스웨덴이 186개국을 , 8위인 호주와 체코 그리스등은 184개국을 무비자로 출입할 수 있는 것으로 발표됐고, 헝가리가 10위에 랭크됐다.

 

한편 중국은  지난 10년 전에는 40개 국가와 무비자협정을 맺었는데, 지난 10년동안 꾸준히 늘어 현재는 77개국으로 비자없이 출입국할 수 있는 나라가 크게 늘어났고, 이에 따른 소위 여권지수이 순위도 90위 에서 68위로 껑충 진일보 했다고 왕이신원등이 보도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