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북, 이동식발사차량 70대 부품 구매 의혹

美정보국, ICBM에 몇 대 투입된 지 파악 중

북한이 70여기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을 보유할 수도 있다는 관측이 제기되면서 동북아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다.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이동식발사차량(TEL·Transporter erector launcher) 대량 생산 지시를 내렸고, 북한 무역회사가 70대의 TEL 부품을 수입한 의혹이 제기되면서 미국 정보 당국이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TEL은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등을 싣고 발사할 수 있는 차량이라 미사일보유수만큼이나 중요한 전략 자산이다.

 

중국·북한 관계 소식통은 “23일 북한 최고지도자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2018년 2월 전후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등을 싣고 발사할 수 있는 이동식발사차량(TEL·Transporter erector launcher)을 대량 생산 하도록 명령했다”고 밝혔다.

 

일본 교도통신은 “김정은이 당 군수 공업부 산하 무역 회사들에 지시해 중국 등지 에서 약 70대 TEL부품의 구매비용으로 수천만 달러를 지출했다”고 전했다.

 

또 “이것은 북한이 북미협상을 진행하는 동시에 핵과 미사일 전력 강화를 추진하고 있는 북한의 실상을 반영했다”고 보도했다.

 

미국 정보당국도 이런 정보를 파악했고, 이미 70대 TEL중 몇 대가 ICBM에 투입했는지 파악하는 중이다.

 

TEL은 육상미사일 운용에 필수적이다. 미사일 전력 위협을 분석할 때 TEL 보유수는 미사일 자체의 보유수만큼이나 중요한 지표다.

 

이 소식통에 따르면 북한의 TEL은 주로 평양 북방 평성시의 '3월16일 공장'에서 조립되고 있다. 북한이 2017년 11월 발사한 ICBM '화성 15'용 TEL의 마지막 시험단계에도 이 공장을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 김정은이 시찰에 나섰다.

 

2019년 12월 새 건물이 완공돼 시설이 확장되고 있다고 미국 전문가들이 위성 분석했다.

 

북한이 2019년 5월 이래 여러 차례 신형 탄도미사일을 발사하면서 모델별 TEL이 등장했다.

 

그러나 이 소식통과 북한 인민군에서 물자 조달을 담당했던 전 간부는 북한의 엔진과 유압시스템의 부품 등이 중국 등 해외에 의존하고 있어 TEL의 완전 국산화가 아직 이뤄지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북한 ICBM이 2012년 열병식에서 처음 등장했을 때 사용된 TEL은 중국 업체에서 생산한 대형 차량을 개조한 것이다.

 

보도는 2017년 유엔 안보리 결의는 무기와 관련 물자뿐만 아니라 일반 기계와 수송용 차량의 수출도 전면 금지한다는 것을 지적했다.

 

중국 기업이 TEL 관련 부품 매각에 동의하면, 이것은 명백한 제재 결의 위반이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를 만들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 즐기기 위한 소비에 주머니를 아낌없이 열고 있다. 중구 매체들은 가오카오 시험이 끝난 직후, 졸업생들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거나 부모에게서 ‘보상 선물’로 최신 스마트기기를 받는 모습이 흔해졌다고 전했다. 일부는 여름방학을 활용해 운전면허를 취득하거나 헬스장에서 체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