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베트남 난사군도서 충돌 우려

중국 석유탐사선 탐사활동…베트남 경계 태세 강화

 

난사군도(南沙群岛)를 놓고 중국과 베트남의 긴장이 또 다시 고조되고 있다.

앞서 양국은 난사군도 만안탄(万安滩)에서 격렬한 대치가 벌였다.

 

13일 둬웨이 등 중화권 매체들에 따르면 최근 베트남 관공서와 해경이 경계 태세를 강화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석유탐사선 '해양 지질 8호'가 지난 7월 이후 베트남과 논란이 있는 남해 만안탄에 들어가 탐사작업 중이다. 해양지질 8호가 만안탄으로 들어가 탐사하면서 최소한 3척의 중국 해경선이 경비를 서고 있으며 이 중 1척은 해경 37111함으로 확인됐다.

 

해경 37111함은 산동(山东)해경총대 소속으로 중국이 건조하는 차세대 718형 해경 초계함이다. 이 함은 총 길이 102m, 만재 배수량 2200t, 최대 항속 23노트로 76㎜ 함포도 장착했다.

 

중국 해경과 대치하고 있는 베트남 관공선은 Kn472선, Kn468선, 다남(Da Nam) 612883선, 남옛(Nam Yet)207008선 등이다. 이 중 Kn472 선박도 함포를 탑재하고 있다.

 

이 해역에는 또 다른 중·베트남 관공선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베트남은 본토와 가깝고, 중국은 난사(南沙) 7대 인공섬초 덕분에  대거 배치했다.

 

중국 측이 베트남과의 관계를 염두에 두고 만안탄 대치 사건과 관련된 이슈는 대부분 발표를 금지하고 있다. 그러나 베트남 측은 긴장의 신호를 보내고 있다.

 

 

베트남 중앙정부 홈페이지 월문판은 11일 응웬 쑤언 푹 총리가 해경과 화상회의를 했다고 발표했다. 홈페이지가 공개한 사진 여러 장에 따르면 응웬 쑤언 푹, 해경 고위 관리들이 심각한 표정을 짓고 있다.

 

베트남 홈페이지에는 베트남군과 해경대가 협력을 강화해 임무를 차질 없이 완수하고, 국가의 주권과 해양 권익을 확고히 수호할 것을 결의했다고 소개했다. 베트남이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 경계태세를 강화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에 비해  베트남 중앙정부 홈페이지 중국어판은 응웬 쑤언 푹 소식을 발표하지 않고 있어  양국 관계를 염두에 둔 듯 보인다. 양국이 외교적 노력을 계속하고 있다는 방증이다.

 

중국과 베트남의 난사군도 문제는 석유개발 문제까지 겹쳐 양국 어느 곳도 양보하기 힘든 난제 중의 난제다. 과거 중국은 주변 해양권에 대해서는 주장을 강하게 하지 않았지만, 시진핑 지도부 출범이후 해양강국을 선언하며 주변 해양권에 대한 통제력을 강화하고 있다.

실제 해동주말이 확보한 자료에 따르면 중국 공산당은 주변 해양권을 강화한 뒤 주변 해양에서는 미국을 배척할 수 있는 군사역량을 갖춘다는 목표를 가지고 있다. 이는 향후 우리나라와 해양권을놓고 갈등이 벌어질 공산이 크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이에 베트남과 일본의 대응 사례를 철저히 연구할 필요가 있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하고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를 만들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 즐기기 위한 소비에 주머니를 아낌없이 열고 있다. 중구 매체들은 가오카오 시험이 끝난 직후, 졸업생들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거나 부모에게서 ‘보상 선물’로 최신 스마트기기를 받는 모습이 흔해졌다고 전했다. 일부는 여름방학을 활용해 운전면허를 취득하거나 헬스장에서 체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