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일대일로 사업 보고서 공개 "패권 플랫폼 아닌 경제 협력의 장"

중국이 베이징서 열리는 일대일로 국제협력 정상포럼에 앞서 일대일로 사업 관련 보고서를 공개했다.

 

25~27일 베이징에서 열리는 ‘제2회 일대일로 국제협력 정상포럼’을 앞두고 중국 정부는 일대일로(一帶一路: 육상·해상 실크로드) 사업의 진행 상황과 기여, 전망 등을 담은 보고서를 공개했다. 미국 등 서방 국가를 중심으로 중국이 국제사회 영향력을 확대하는 수단으로 일대일로를 활용해 참여국들에 감당할 수 없는 부채를 떠안기고 있다는 비판이 높아지는 것을 의식한 결과물이라고 외신들은 분석하고 있다.

 

23일 관영 신화통신은 “중국 일대일로 건설 영도소조(태스크포스) 사무처는 전날 발간한 보고서를 통해 일대일로 사업에 대한 비판을 적극 반박하고 나섰다”고 보도했다.

 

이 보고서는 “일대일로 이니셔티브는 평화적 발전과 경제 협력을 위한 것으로, 지정학적 또는 군사적 동맹이 목표가 아니다”라고 밝혔다. 이어 “개방적이고 포용적이며 공동의 발전을 위한 과정이지 배타적인 블록을 조성하거나 ‘차이나 클럽’을 만들기 위한 게 아니다”고 설명했다.

 

덧붙여 “일대일로는 이데올로기로 국가들을 나누거나 제로섬 게임을 하지 않는다. 아이디어를 행동으로 옮기고 비전을 실행시켜 그 자체로 국제사회의 폭넓은 환영을 받고 있다”고 강조했다.

 

보고서는 일대일로가 2013년부터 참여국 간 정책 협력과 인프라 연결, 원활한 무역, 금융 통합, 인적 교류, 산업 협력 등 핵심 영역에서 좋은 결과를 보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지난달 기준으로 중국 정부는 아시아, 아프리카, 유럽, 남아메리카 등 125개 국가 및 29개 국제단체 등과 173건의 일대일로 협력 협정을 체결한 바 있다. 중국과 일대일로 참가국 간 무역 및 투자 규모는 지난해 1조3000억 달러를 기록해 1년 전보다 16.4%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중국 기업들은 일대일로 참여국에 직접 투자로 약 900억 달러 규모를 진행한 것으로 집계됐다.

 

보고서는 “일대일로는 평화와 개방, 번영, 녹색 발전, 혁신, 깨끗한 정부로 가는 길을 열어준다”며 “경제적 세계화를 더욱 균형 잡히게 해 모두에게 이익이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왕이 중국 외교담당 국무위원 겸 외교부 장관도 미국을 겨냥해 “일대일로는 중국이 패권을 추구하는 플랫폼이 아니라 경제적 협력의 장”이라고 단언하며 “참여하지 않을 것이면 비난을 삼가 달라”고 강하게 지적했다. 그는 전날 기자회견에서 “미국이 일대일로 포럼에 참가하지 않는 것은 자유지만 다른 나라가 참석하는 것을 방해하지 말라”고 비판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를 만들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 즐기기 위한 소비에 주머니를 아낌없이 열고 있다. 중구 매체들은 가오카오 시험이 끝난 직후, 졸업생들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거나 부모에게서 ‘보상 선물’로 최신 스마트기기를 받는 모습이 흔해졌다고 전했다. 일부는 여름방학을 활용해 운전면허를 취득하거나 헬스장에서 체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