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프랑켄슈타인

 

프랑켄슈타인

2018.06.20()~08.26()

블루스퀘어 인터파크홀

 

 

ⓒ news1

 

한국 뮤지컬 시장은 미국과 영국에서 들여온 라이선스 뮤지컬 의존도가 상당한 편이다. 이러한 가운데 한국 창작 뮤지컬의 성공 신화를 써내려 가고 있는 작품이 있다. 뮤지컬 <프랑켄슈타인>이다.

영국 여성 작가 메리 셸리의 소설을 원작으로 한 이 작품은 19세기 유럽을 배경으로 한다. 과학자 빅터 프랑켄슈타인이 `죽지 않는 군인`을 연구하던 와중에 인조인간을 만들게 되면서 일어나는 이야기다.

초연과 앙코르 공연 당시 객석의 반응은 뜨거웠다. 2015년 앙코르 때에는 관객들의 요청으로 공연을 3주 연장하기도 했다. 출연진과 스텝들은 입을 모아 팬들의 열정이 대단하다고 말한다. 직접 뮤지컬 프랑켄슈타인 사전을 책 2권 분량으로 만들어 배포한 팬도 있을 정도다.


 ⓒ news1

 

이제 뜨거운 반응은 객석을 넘어섰다. <프랑켄슈타인>은 대극장 창작 뮤지컬 사상 최초로 일본의 대형 제작사 도호 프로덕션과 라이선스를 체결했다. 한국 뮤지컬 역사에 새로운 이정표를 세운 것이다. 또한 일본에 이어 최근 중국으로부터 100만 달러(108200만원) 규모의 투자를 받았다. <프랑켄슈타인>을 연출한 왕용범 연출가는 <프랑켄슈타인>의 흥행에 대해 초연을 하기 하기 전 주변에서 머리에 나사 못 박힌 괴물 이야기로 뭘 만들 수 있겠냐, 작품성이 보장된 것도 아닌데 아이돌 배우 한 명 없이 성공할 수 있겠냐는 얘기를 많이 들었다. 진솔하고 좋은 작품을 만들겠다는 마음이 통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기사=이동경 기자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