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미국 주도의 대북 제재를 누가 어기고 있나?

 

안녕하세요. 중국 뉴스 속에 우리 모습을 보는 [중문 속 한국] 코너입니다. 
이번 코너를 통해 우리 모습을 중국과 아시아를 중심으로 한 시각으로 보고자 합니다. 

 

 

세계의 관심은 역시 평창 동계올림픽의 남북한 공동 참여입니다. 이제 공동 개최라고 해야 할 싶네요. 

 

 

설사 그렇다고 문제는 아닙니다. 손해인지, 득인지는 앞으로 어떻게 하느냐에 달렸습니다.

중국은 모두가 아시다시피 적극 환영입니다.
그래서 미국이 최근 캐나다에서 연 연합국 한국전쟁 참전국 회의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를 냈습니다. 
이에 대응이라도 하듯 미국은 중국이 몰래 최소 6개의 화물선을 이용해 해상에서 북한에 석유를 팔고 있다고 폭로했습니다.

 

 

 


 

중국은 앞서도 "우리는 연합국의 합의를 준수하고 있다"라고 강조해왔습니다.  

 

이런 가운데 중국 관영매체들은 일제히 북한이 한국전쟁 참전국 회의를 주최한 미국을 비난한 것을 발 빠르게 전했습니다. 환추스바오 기사로 소개합니다.

 

 


 

올림픽 위원회가 평창올림픽에 북한 참여를 논의하게 될 것이라고도 발 빠르게 전합니다. 이번 뉴스는 중궈신원왕입니다. 

 

 


 

 

중국은 그러면서도 시진핑 주석 대신 한정 상무위원을 개막식에 보내기로 했습니다. 다 아는 사실이지만 둬웨이가 한반도 주변 주요국 미국과 일본은 물론, 중국, 러시아 등 모두가 개막식에 참여하지 않는다며 득실을 분석했습니다.
한국, 문재인 대통령이 낙담을 금치 못하고 있다고 전했네요.

 

 

 


가장 뼈아픈 기사가 뉴욕타임스 기사입니다. 미국 입장에서 이야기한 기사입니다. 하지만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신문의 보도입니다. 주목할밖에 없죠.
제목은 "남북의 화해무드가 미국의 대북 정책을 뒤집고 있다"입니다.

 

 



 

이상 해동이었습니다. 한반도의 평화를, 여러분에게 행복을 기원합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를 만들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 즐기기 위한 소비에 주머니를 아낌없이 열고 있다. 중구 매체들은 가오카오 시험이 끝난 직후, 졸업생들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거나 부모에게서 ‘보상 선물’로 최신 스마트기기를 받는 모습이 흔해졌다고 전했다. 일부는 여름방학을 활용해 운전면허를 취득하거나 헬스장에서 체계적인